▲HIV/AIDS관련 기사제목으로 만든 워드클라우드[환자는 왜 범죄자가 되었는가? - 조현병과 에이즈기사로 본 언론보도의 인권침해] 자료집, 건강세상네트워크 주최 토론회, 2017.11.22, 국가인권위원회.
타리(나영정)
이는 곧 HIV검사에 대한 접근성과 초기 HIV 감염인의 치료 접근성에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 HIV치료는 HIV감염인의 체내 바이러스의 수를 줄이고 이는 곧 HIV전염력을 낮추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HIV감염인의 항레트로바이러스치료가 국가의 HIV예방에 가장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신의 HIV감염사실을 모르는 HIV감염인이 자신의 HIV감염사실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실천하도록 해야 한다.
자신의 HIV감염사실을 확인하는 것도 부담스러울뿐더러 HIV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염사실을 병원에 알려야 하는데 이마저 부담스럽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한 장벽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HIV감염인이 치료에 접근하기 힘들다는 것은 곧 사회적으로 HIV예방에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전파력과 파급력이 크고 시청자가 쉽게 신뢰할 수 있는 언론이 보다 신중하게 기사를 작성할 수 있도록 법이 마련돼야 한다. 지금의 언론은 주제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누군가에게 너무나 쉽게 혐오와 편견, 차별을 조장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에이즈 인식개선사업을 대대적으로 확대해야 한다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HIV/AIDS예방교육에 감염인 인권 관련 내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강당에 몰아넣고 진행하는 등 질 낮은 교육을 탈피하고 좀 더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교육방침을 마련해야 한다. 학생들을 직접적으로 보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자리인 만큼 정부에서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부분임에도 대부분의 교육이 민간단체에 맡겨진다.
고착화된 HIV/AIDS인식을 해소 할 수 있는 각종 캠페인에 더 신경 쓰고 확대해야 한다. 길거리캠페인과 좀 더 진취적인 공익광고, HIV/AIDS관련 행사를 정부가 마련해서 진행해야 한다. 12월 1일 세계에이즈의날에 맞춰 정부의 예산을 받아 에이즈퇴치연맹에서 진행하는 행사는 매년 진행을 하는지, 진행을 한다면 어디에서 하는지, 시민들은 아무것도 모른다. 때문에 시민들이 12월 1일이 에이즈의 날인지도 모른다. 세계에이즈의날은 관계자들이 즐거우라고 지정한 날이 아니다.
사회적으로 HIV/AIDS에 대한 예방을 논하고 HIV감염인과 AIDS환자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날이 돼야한다. 해외에 가까운 일본에만 가도 세계에이즈의날에 정부가 주도적으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에이즈위크(AIDS Week)를 개최한다.
올해는 나카노 구청에 대형 레드리본 현수막을 걸었다. 세계에이즈의날에 미국의 백악관에서는 매년 거대한 레드리본을 달고 시민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서 노력하는데 한국 정부는 그 어떤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 세계에이즈의날 마저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어느 누가 HIV/AIDS에 관심을 갖고 문제인식을 가질까? 정부가 좀 더 적극적인 행동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감염인 의료차별 진료거부 문제를 반드시 해소해야 한다의료차별과 진료거부문제는 HIV감염인과 AIDS환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당장 건강하게 살 수 있어야 함에도, 전파력이 약한 질병임에도 HIV/AIDS는 늘 거부의 대상이다.
노인요양병원협회의 입원반대로 인해 AIDS환자들이 갈 수 있는 장기요양병원은 거의 없다. 이 병원 저 병원 전전긍긍하며 몇 개월에 한 번씩 병원을 옮겨 다니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의료법을 개정했으니 괜찮을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지만 정말 그 어떤 AIDS환자도 제대로 된 요양병원에 입원한 사람이 없다.
괜찮지 않은 현실이 펼쳐지고 있는데 정부는 그 어떤 대책도 세우지 않는다. 얼마 전에 발생한 국립재활원에서 HIV감염인이 진료거부를 당한 문제만 봐도 그렇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병원마저 HIV감염인을 차별하는데 그 어떤 민간병원이 HIV감염인을 제대로 치료하고 돌봐 주려고 할까? 진료거부에 있어서 더 강경한 입장과 정책을 펼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