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통역사 고인경씨가 '행복합니다'를 수어로 표현하고 있다. 고씨는 수어통역사로 일하는 것이 즐겁지만 국내 농인들의 교육환경에 대해서는 안타까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자영
TV 방송을 보면 화면 오른쪽 아래에서 누군가 열심히 손짓할 때가 있다. 청각장애가 있는 사람, 즉 농인을 위해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수어통역사'다. 과거에는 '수화통역사'로 불렸는데 2016년 제정된 한국수화언어법에 따라 수어가 공식 명칭이 됐다. 이들은 32만 명가량인 국내 농인들에게 세상의 소리를 전해주는 통신원이다.
고인경(35)씨는 국내에서 활동하는 국가공인 수어통역사 1600여 명 중 한 사람이다. 충남 천안의 나사렛대학교에서 수어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하며 수어통역학과 학생들에게 강의도 하고 있다.
또 'MBC TV 특강'과 'EBS 뉴스' 등 방송프로그램에서 수어통역을 해왔고 한국수어 관련 강의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 '수어생각'을 운영하고 있다. 수어통역사의 세계를 엿보기 위해, 고씨를 천안 나사렛대학 부근 카페에서 만나고 지난 26일 이메일로 추가 인터뷰했다.
농인 부모에게서 한국어보다 먼저 배운 수어
"어렸을 때 한국어보다 수어를 먼저 배웠어요. 보통 아기들이 '맘마' '엄마' '아빠'를 말로 배울 때 저는 수어를 배운 거죠."
고씨의 부모는 둘 다 농인이다. 고씨처럼 농인 부모를 가진 청인(들을 수 있는 사람)을 '코다(CODA·Children of Deaf Adults)'라고 한다. 고씨는 다른 코다가 그렇듯 부모가 아닌 친척, 이웃이나 교회사람, TV 등을 통해 '말소리'에 노출됐고 자연스럽게 수어와 한국어를 함께 배웠다. 조부모의 권유에 따라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했고 졸업 후 한국농아인협회에서 일을 시작했다.
"부모님이 농인이고 제가 수어를 할 수 있으니 수어통역사가 되어 다리 역할을 하겠다는 생각을 했던 건 아니에요. (협회에서 일하며) 수어를 쓰고 수어통역교육을 받으면서 이 일에 매력을 느끼게 됐죠."
그는 2007년에 국가공인 수어통역사 자격시험에 합격했고, 대학원에 진학해 전문지식을 쌓으며 활동을 시작했다. 함께 일하는 수어통역사들 중에는 부모가 농인이거나, 동아리 활동 중 수어를 배웠거나, 교회에서 농인 관련 봉사활동을 했던 사람 등 특별한 계기를 가진 사람이 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