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경 선생주시경 선생
한글학회
국어 국문의 과학적 개척자요 획기적 선구자로 우리 국민 모두가 추앙해 받드는 주시경 선생은, 오로지 위대한 국어학자이기 앞서 그는 실로 민족 국가의 현실과 장래를 깊이 걱정하는 일념으로 온갖 정성과 힘을 몸이 마르도록 겨레 위하는 길에 바친 참다운 애국자이었던 사실을, 우리 후진들에게 좀 더 깊이 인식하게 하고, 좀 더 성실히 그 유지를 받아 조국 부흥에 정진하기를 염원하는 뜻에서…. (주석 1)
주시경은 1876년 11월 7일 황해도 봉산군 쌍산면 무릉골에서 아버지 주학원(周鶴苑)과 어머니 전주 이씨 사이에서 6남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청빈한 시골 선비였다고 한다.
부모의 고향은 황해도 평산군 인산면 차돌개였는데, 아버지는 청빈한 문필가로서 『구암집(龜岩集)』을 짓고 82살까지 장수하였다. 나중에 봉산군 무릉골로 이사하여 주시경을 비롯 6남매를 낳았다. 아버지는 32살, 어머니는 29살에 주시경을 낳고, 둘째 아들이었다.
"형제들이 연년생임과 집이 가난함과 젖이 넉넉하지 못함과 낳던 다음해에 큰 흉년이었던 때문에, 그 작은 양도 채우지 못하여 몇 번인가 기절한 일도 있었으며, 그 어머니와 누님이 도라지를 뜯어다가 죽을 쑤어서 어린 형제들의 나이 차례로 분배하였다고 한다." (주석 2)
주시경의 어릴적 이름은 주상호(周相鎬)였는데 나중에 시경(時經)이라 고치고 아호를 한힌샘(白泉)이라 지었다. 시경이란 때때로 경전을 읽는다는, 즉, 글공부를 열심히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고, 한힌샘은 결코 마르지 않는 깨끗한 샘물을 의미한다. 어릴 때부터 성격이 너무 어질어서 울지도 않고 보채지도 않아 안순(安順)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황해도 봉산군은 동쪽으로 서흥군, 남동쪽으로 평산군, 남서쪽으로 재령군, 북쪽으로 황주군과 접해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재령강을 건너 안악군과 마주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만수가 봉산의 의병을 지휘하여 왜군의 임진강 도하를 저지하기 위해 참전하고, 조선 후기의 인물로는 실학자로서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를 펴낸 김정호가 꼽힌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서 상하이 『독립신문』의 창간에 참여하고 대한의용단을 조직해 활약한 김석황과 임시정부 의정원의원을 지냈으며 통의부와 정의부 등에서 항일전을 지휘한 강명규 등이 이 지역 인물이다.
주시경이 태어나고 자란 쌍산면은 군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멸악산맥의 주맥이 미쳐 남쪽에 국사봉, 북쪽에 장재산, 서쪽에 삼봉산이 솟아있고, 구릉 사이를 은파천이 흐르는 풍광이 아름다운 곳이다. 경작지가 적고 밭농사가 중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