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생가정약용 생가
이종원
조선인의 눈을 밝히는 별 하나가 홀연히 떴다.
1762년(영조 38) 6월 16일(음력) 한양(서울)에서 가까운 한강 상류의 마재(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나타난 별이다.
낡은 존명사상과 비루한 중화주의가 조선의 하늘을 덮은 지 오래, 그래선지 이 땅에 어둠을 밝히는 큰 별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았다. 아니다. 간혹 별은 떴으나 시기심과 정쟁에 찌든 권력의 칼질과 이를 추종하는 유생들의 붓 끝으로 회칠되어 사라지곤 하였다.
'별'이 나타나서 21년이 지난 뒤 그 별은 자신의 손으로, 자신이 살게되는 '공간'을 그렸다.
「술지이수(述志二首)」의 제2연이다.
슬퍼라, 우리나라 사람들이여
자루 속에 갇힌 듯 너무 외져라
삼면은 바다로 둘러싸이고
북쪽엔 높은 산이 주름졌어라
팔 다리가 언제나 굽어 있으니
큰 뜻이 있다 한들 무엇으로 채울건가
성현께선 만리 밖 먼 곳에 계시니
그 누가 이 어둠을 열어 주려나
머리들어 인간세상 바라다봐도
밝은 마음 가진 사람 보기 드물고
남의 것 본뜨기에만 정신 없으니
정성껏 자기 몸 닦을 틈이 없어라
무리들이 어리석어 바보 하나 떠받들고
야단스레 다 같이 숭배케 하니
질박하고 옛 스런 단군 세상의
그 시절 옛 풍습만 못한 듯해라. (주석 1)
조선의 지배층은 '남의 것(중국 것)'의 본뜨기에만 정신이 없었고, 세상은 짙은 어둠에 깔려 있었다. 정약용이 21세 때 지은 이 시에서 당시 조선사회상의 일면이 읽힌다.
그나마 그때는 영조가 집권하면서 현종→숙종→경종 이래의 난정이 어느 정도 정리되고, 탕평책을 실시하여 인재등용이 가능했으나 국정 전반에 걸친 적폐는 여전히 심각한 상태였다.
정약용은 아버지 정재원(丁載遠)과 둘째부인 어머니 해남 윤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위로 정약전ㆍ정약종과 누이가 있었고, 아버지의 첫 부인 남씨 사이에 큰 아들 정약현이 있었다. 아버지 정재원과 친모 해남 윤씨는 이들 외에 4남 2녀를 더 두었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어머니 윤씨 집안은 고산 윤선도의 가문이다. 노론의 영수 송시열에 맞서 남인의 영수였던 윤선도는 노년에 전라도 보길도에 머물며 「오우가」와 「어부사시가」 등을 지은 문사이고, 증손자 윤두서는 '조선시대 회화의 삼재'로 불린다. 윤두서의 아들 윤덕렬의 딸이 바로 정약용의 어머니다. 뒷날 정약용이 강진에서 귀양살이를 할 때 외가인 해남 윤씨들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정약용의 직계 선대는 8대가 계속하여 옥당(玉堂, 홍문관)에 오를 만큼 대대로 학자를 배출한 명예로운 가문이었다. 정약용은 이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자랑하였다. 5대조 정시윤이 숙종 연간의 극렬한 정쟁에서도 초연하다가 만년에 산수가 빼어난 남양주 마재에 터를 닦고, 정약용의 고조부ㆍ조부까지는 벼슬에 나가지 않고 이곳에서 평범하게 살았다.
정약용이 내어나던 해 아버지 정재원이 진사 시험에 합격하고 영조 앞에서 『예기(禮記)』를 강론한 것이 계기가 되어 임금의 특지로 연천현감, 화순현감, 예천군수에 이어 중앙 정계에 들어와 호조좌랑과 한성서윤이 되었다. 정재원의 집안은 전통적인 남인계열이고 노론이 집권하고 있었으나 영조의 탕평책으로 미관이지만 관직에 오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