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란 교육자적 열정을 가슴에 품고 사는 사람들이다. 그 열정이 봇물 터지듯 발현될 수 있을 때라야 비로소 우리 교육이 살고, 공동체도 산다
pixabay
그렇듯 띠동갑 선배 교사에게조차 귀감이 된 그가 내년에 학교를 떠나려 한다. 기간제 교사는, 말뜻 그대로, 계약 기간이 종료되면 그만두는 게 맞다. 계속 학교에 근무하려면, 다시 기간제로 재계약하거나 임용시험에 응시해 합격해야 한다.
언제까지 기간제 교사로 근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가 임용시험 응시를 생각해보지 않은 건 아니지만, 두 아이의 아빠로서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없다고 했다. 실상 기간제 교사로 근무하면서 바늘구멍이라는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그는 나가서 학원을 차리겠다고 했다. 나름 오랫동안 심사숙고한 결론일 테지만, 그의 표정으로 미루어 흔쾌한 선택이 아닌 건 분명해 보였다. 장담하건대, 그의 맑고 고운 심성은 진학 실적에 목매단 정글 같은 사교육 시장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부러 그에게 찾아가 동료 교사로 남아주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평교사 주제에 그의 선택을 되돌릴 아무런 힘도 능력도 없지만, 그를 향한 아이들의 간절한 눈빛을 대신 전하고 싶었다. 그의 부재를 알게 된다면 아이들도 적잖은 충격을 받을 것이다.
공교육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는 그의 다짐은 마음에도 없는 흰소리다. 알다시피, 사교육의 광풍은 공교육의 '보완재'가 아니라 '대체재'라는 인식이 뿌리내린 결과다. 그의 선택과는 달리, 여전히 학교에서 아이들과 만나고 싶다는 걸 에둘러 표현한 것일 뿐이다.
동료 교사 열이면 열, 그를 잃는 건 학교의 크나큰 손실이라고 말한다. 없는 정원까지 만들어서라도 그를 붙잡아야 한다는 이들도 있다. 하나같이 안타까운 심정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러자면 그가 임용시험을 통과하는 것 외에는 딱히 방법이 없다.
천생 교사인 그의 사교육행은 내게 두 가지의 숙제를 던져주었다. 하나는 기간제 교사에 대한 차별이 여전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교사 임용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서둘러 대안을 모색해야 할 문제라고 본다.
그는 기간제 교사라는 사회적 낙인에 무척 힘들어했다. 흔히 학벌 구조에 길들어진 아이들에게 기간제 교사는 '2등급 교사'로 치부된다. 당장 내년이면 그만둘지도 모르는 교사에게 자녀의 생활기록부를 맡기는 건 곤란하다며 항의하는 학부모도 적지 않다.
학교에서 그는 기간제 교사라는 걸 잊고 지냈다고 한다. 동료 교사와 아이들로부터 무한 신뢰를 받고 있는 까닭이다. 몇몇은 그에게 다른 교사에게는 없는 '까방권'이 있다고 귀띔했다. 교사에 대한 조롱과 욕설이 난무하는 SNS에 그의 이름 뒤에는 깍듯이 존칭이 붙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교 밖에선 달랐다. 사회에서 기간제 교사라는 낙인은 그에게 무시로 모멸감을 안겼다. '교사 아닌 교사'로 얕잡아 보는 인식이 팽배해 어딜 가나 주눅이 든다고 했다. 기간제 교사가 적시된 재직 증명서를 유치원에 제출할 땐 아이 앞에서 괜히 어깨가 움츠러들었단다.
교사보다 기간제라는 글자에 더 주목하는 사회에서, 자신의 주눅 든 모습이 아이에게 전이될까 노심초사하는 얼굴이었다. 아이가 기간제라는 말의 의미를 알게 되기 전에 굴레를 벗어나고 싶다고 했다. 어쩌면 이는 아이에게 기간제를 물려주지 않겠다는 다짐일지도 모른다.
새삼스럽지만, 기간제 교사는 결코 2등급 교사가 아니다. 그들 중엔 교육에 대한 열정과 수업 능력에서 선배 교사들을 부끄럽게 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들을 통해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과 수업 기술을 깨치는 등, 젊은 그들은 매너리즘에 빠진 교사 집단의 매서운 죽비다.
단지 그들은 임용시험이라는 바늘구멍을 통과하지 못했을 뿐, 교사로서 자질과 역량이 부족한 건 아니다. 다 그렇다고 말하긴 뭣하지만, 당당히 임용시험에 합격한 교사 중에도 도저히 학교에 있어서는 안 될 것 같은 분들도 존재한다. 마치 복불복 같은 느낌이라고나 할까.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은 임용시험과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 단언컨대, 이를 부정하는 교사는 단 한 명도 없다. 교직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보니 경쟁이 치열해지고, 극소수의 합격자를 변별하려다 보니 시험 문제가 갈수록 시시콜콜해지는 양상이다.
누구도 그걸 알아야만 좋은 교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그런 걸 달달 외울 시간에 요즘 아이들이 쓰는 '급식체'를 공부하는 것이 차라리 교육적이라고 말할 정도다. 다만, 점수를 매겨 서열을 정하는 것이 공정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시험만이 과연 공정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