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곰칫국은 어떤 물고기로 끓인 국인가?

곰치이다가 물곰이다가 미거지이다가

등록 2021.03.22 08:43수정 2021.03.22 08:43
0
원고료로 응원
 곰치와 미거지와 꼼치와 물메기 (국립수산과학원 자료 인용)
곰치와 미거지와 꼼치와 물메기 (국립수산과학원 자료 인용)이무완
 
동해·삼척에서는 '곰치', 속초·고성에서는 '물곰'이라 하는 물고기가 있다. 둘 다 곰처럼 미련하게 생겼다고 하여 바닷가 사람들이 붙여준 이름이다. 곰치로 끓이면 '곰칫국'이고 물곰으로 끓이면 '물곰탕'이다. 이름을 얻은 물고기나 '곰'을 빌려준 곰은 어떤 마음이 들까. 물어볼 수 없지만 곰이든 곰치든 병아리 눈곱만큼도 반갑거나 기쁘지 않을 이름일 듯하다.

내가 어려서부터 들어온 이름이 '곰치'인데, 사전을 찾으면 전혀 다른 물고기가 나온다.
 
몸의 길이는 60cm 정도이며, 누런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의 불규칙한 가로띠가 있다. 뱀장어처럼 가늘고 길지만 살이 많으며 두껍고 비늘이 없다. 날카로운 이가 발달하였고 탐식성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뜻매김이다. 뱀장어처럼 가늘고 길며, 날카로운 이가 발달한 물고기라니, 바닷가 사람들이 '곰치'라고 하는 물고기가 아니다. 사실 곰치는 흔하게 보는 물고기가 아닌 데다 껍질이 두껍고 질겨서 가죽을 만든다면 모를까 사람이 먹으려고 일부러 잡지는 않는다. 무엇보다 곰치는 미거지나 꼼치, 물메기 배에는 빨판이 없다.

짐작했겠지만 우리가 아는 곰치는 지역말이다. 동해·삼척에서는 곰치 라고 하지만, 그 밖에도 꼼치, 물곰, 물텀벙이, 미거지, 물메기, 물잠뱅이 따위 이름이 더 있다. 나름 물고기 안다니들이 나서서 한마디씩 해대니 더욱더 어지럽다.

곰치와 곰치 사촌들 

지역에 따라 물메기, 물텀벙, 물고미, 물미거지라고도 한다. 민물 메기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살이 물렁하다고 '물메기', 살이 흐물거리고 곰처럼 둔하다고 '곰치', 물에 사는 곰이라고 '물곰(물고미)', 미거지하고 비슷한데 살은 반투명하고 더 물컹거려서 '물미거지'라고 한다. 이런저런 사전과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나온 자료를 살펴보고 곰치의 본명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결론부터 앞질러 말하면 곰칫국으로 끓여내는 바닷물고기는 '미거지'다. 미거지는 80~90㎝까지 자란다. 꼼치는 다 자라도 50㎝, 물메기는 30㎝쯤 된다. 예전 동해 바다에는 명태나 꽁치, 대구, 오징어, 도루묵이 넘쳐났다. 그러니 잘 팔리지도 않는 데다 살은 물커덩해서 잡으면 주르륵 흘러 뼈가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못생긴 것으로 치면 맨 앞자리를 다툴 만큼 인물도 없다. 더구나 큰놈이 1미터 가까이 되는 물고기니 무게도 만만찮아 그물을 망가뜨리는 골칫거리였다. 그딴 놈이 끌그물에 걸려 뱃전에 올라오면 어부 마음이 어땠겠나. 에이, 퉤퉤퉤 하고 바다에 미련 없이 텀벙 내던질 수밖에 없지 않겠나. 물텀벙이란 이름이 이래서 붙은 거다.


세상이 달라졌다. 대구, 명태, 오징어, 도루묵으로 넘쳐나던 동해 바다에 고기 씨가 마르면서 천대받던 미거지가 대접을 받는 세상이 왔다. 암미거지(붉은 곰치)는 밝은 보랏빛을 띠지만 수미거지는 거무튀튀해서 따로 '흑곰'이라고 한다. 살이 단단하고 알주머니가 없어 맛이 더 좋아서 같은 크기라도 흑곰(수미거지)가 조금 더 비싸게 팔린다. 암수 가리지 않고 몸이 흐물흐물한 까닭에 실제로 곰치를 본 사람이라면 먹고 싶은 마음이 싹 달아난다.

이 미거지를 주재료로 삼아 동해·삼척에서는 곰칫국을 끓인다. 묵은김치를 썰어 넣고 김칫국물로 간해서 칼칼하게 끓여낸다. 고기 맛은 흐물거리는 부위가 적은 수컷이 좋다고 하지만 사실 씹을 만한 게 없다. 끓이다 보면 살이 연하고 살갗이 젤리 같아서 가시와 속살이 절로 나누어져 그냥 들이마셔도 된다.
 
잎 진 겨울나무에 /뽀얗게 내린 무서리처럼/ 오래 끓이며 우려낸 솥 안에서/ 곰치는 가시와 속살이 제각기 나뉜다
 
이동순이 쓴 시 <곰칫국> 일부인데, 이 시에 나오는 곰치는 '미거지'인 셈이다. 무엇보다 비린 맛이 없고 담백하다. 살이 연해서 숟가락으로 떠서 먹어야 한다. 무엇보다 껍질과 살 사이 뜨끈하면서 물컹한 부분을 숟가락으로 떠서 후르릅 소리 내며 삼키면 배 속이 뜨끈해지면서 온몸이 환하게 풀리는 듯하다.


이 같은 목 넘김으로 곰칫국을 즐기는 사람도 있지만 오히려 이게 싫어서 고개를 잘래잘래 흔드는 사람도 있다. 속초·고성에서는 무와 대파, 마늘을 넣고 소름으로 간을 맞춘 맑은 탕으로 내는데 '물곰탕'이라고 한다.
 
 곰치(물곰, 미거지)와 꼼치와 물메기
곰치(물곰, 미거지)와 꼼치와 물메기이무완
 
'곰치'라고 오해받는 물고기가 또 있는데 '꼼치'다. 꼼치는 본명이다. 물론 꼼치한테도 물메기, 물꽁, 물곰, 미거지, 물텀벙이, 물잠뱅이라는 별명이 있다. 생긴 것으로 치면 꼼치도 미거지에 뒤지지 않는다. 꼼치는 주로 영일만부터 부산 앞바다에 이르는 동해와 남해, 남해 서쪽 지역에서 두루 잡힌다. 등은 보랏빛이 도는 옅은 갈색을 띠고 배은 하얗다.

우리나라 동해 남부 쪽과 남해, 서해안에서 물메기, 미거지, 물미거지, 물텀벙, 물잠뱅이라는 이름으로 말하는 바닷물고기는 '꼼치'라고 보면 틀림없다. 남해나 서해 바닷가 식당에서 내놓는 '물메기탕'이나 '미거지탕'에는 '물메기'가 아니라 대개 '꼼치'가 주재료다.

물메기는 주로 동해바다 특산종이다. 양이 많지도 않고 맛도 별로 없다. 정약전이 <자산어보>에서 '해점어(海鮎魚)'라는 이름이 나오는데 해점어는 말 그대로 '바다메기'다. 다만 물메기는 동해안 특산종으로 보면 정약전이 말한 '해점어'는 꼼치일 가능성이 크다.

등 쪽은 검거나 갈빛이 나고 배 쪽은 하얗다. 꼬리지느러미가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와 둥글게 이어져 있다면 틀림없는 '물메기'다. 미거지나 꼼치는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꼬리지느러미가 갈라져 있다. 미거지와 꼼치도 생김새로 보면 조금 다른데, 꼼치는 가슴지느러미 끝이 둥그렇고 꼬리지느러미 바로 앞에 하얀 줄이 희미하게 보인다.

미거지든 꼼치든 물메기든 알을 낳을 때가 되면 물이 얕고 바위틈이 많은 곳으로 나오는데, 이때 많이 잡힌다. 미거지는 11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꼼치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물메기는 1월부터 4월까지가 산란기다. 그때를 지나면 깊은 바다로 가서 자취를 감춘다.

동해바다 곰치는 미거지다!

말이 길었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오는 곰치는 곰칫국에 넣는 곰치가 아니다. 곰칫국의 '곰치'는 '미거지'라는 바닷물고기를 달리 이르는 지역말이다. 안타까운 건 이 물고기를 잡고 곰칫국을 끓이고 사 먹는 사람들은 너나없이 '곰치'니 '물곰'이니 말하지만 사전에서는 버림 받는다는 데 있다.

우리 말 사전이라는 이름만 달았지 우리 말을 알뜰히 모아야겠다는 관심도 사랑도 없다. 우리네 삶이나 독자는 눈곱만큼도 생각하지 않은 뜻매김이다. 실제로 고기를 잡고 곰칫국을 끓이는 사람들은 곰치라고 하는데 전혀 다른 물고기 한 가지만 고집하는 까닭을 모르겠다. 지금이라도 '꼼치'보다는 '곰치, 물곰'을 더 많이 쓰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미거지'도 없는 말이다. 사전에 올리고 '곰치를 달리 이르는 말'로 뜻매김해야 한다. 높은 단상에서 딱딱한 얼굴로 이게 표준어인지 방언인지 , ○○의 잘못이네 하고 판가름만 하려는 권위를 버려야 한다. 말의 주인이 누구인가. 언중이다. 그 곁에 다가가 귀 기울이고 친절하게 말해주어야 한다. 이미 '곰치'라는 본명을 쓰는 물고기가 있는 까닭에 그 아래에 하나 더 써주면 어떨까?

곰치 1 「동물」 곰칫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60cm 정도이며, 누런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의 불규칙한 가로띠가 있다. 뱀장어처럼 가늘고 길지만 살이 많으며 두껍고 비늘이 없다. 날카로운 이가 발달하였고 탐식성이 있다. 한국, 일본,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Gymnothorax kidako)

곰치 2 「동물」 꼼칫과 바닷물고기. 동해안 특산종인 '미거지'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강원 북부에서는 '물곰'이라고, 강원 남부에서는 '곰치'라고 하며, 민물에 사는 메기 닮았다고 '물메기', '물미거지', 옛날엔 끌그물에 곰치가 함께 잡혀 올라왔는데, 못생긴 데다 미끌대고 흐물거려 징그럽다고 바닷물에 내던지면 텀벙, 텀벙 소리가 났다고 해서 '물텅벙(이)'이라고도 한다. 다 자라면 몸 길이가 80∼90센티미터 정도 되는데, 꼼칫과에 드는 꼼치는 50센티미터, 물메기는 30센티미터 정도까지 자란다. 머리는 세모로 납작하고 몸은 옆으로 납작하다. 살이 물렁물렁한데다 살갗은 젤리같이 흐늘흐늘하다.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배지느러미가 변한 빨판이 있어서 모래로 된 바다 밑바닥에 착 붙어살면서 새우나 조개,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꼬리지느러미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하고 구분 없이 둥그렇게 붙어서 물메기와 구분되며, 가슴지느러미 끝이 둥그런 꼼치와는 달리 미거지는 홈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수심 50∼200미터가 되는 곳에서 살다가 11월에서 1월 사이 얕은 곳으로 나와서 바다풀이나 바위에 몽글몽글 알을 낳는 까닭에 겨울에 많이 잡힌다. 동해·삼척 쪽에서는 묵은김치로 '곰칫국'을 끓이고 고성·속초 쪽에서는 무, 파, 마늘을 넣어 맑게 끓인 물곰탕으로 해서 먹는데, 속풀이 해장국으로 유명하다. (≒꼼치, 물곰, 물꽁, 물메기, 물미거지, 물텀벙이, 물잠뱅이) (Liparis ochotensis)
#곰치 #물곰 #곰칫국 #동해삼척말 #강원도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 말과 글쓰기 교육, 어린이문학에 관심이 많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4. 4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5. 5 "10만4천원 결제 충분히 인식"... 김혜경 1심 '유죄' 벌금 150만원 "10만4천원 결제 충분히 인식"... 김혜경 1심 '유죄' 벌금 150만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