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관권부정 묻히고 단일화 실패 책임만

[평화민주당 연구 22] 야권의 분열로 정권교체를 이루지 못한 것처럼 여론을 몰아간 보수언론

등록 2021.11.07 17:14수정 2021.11.09 11:32
0
원고료로 응원
a

구로을 우편 투표함 낡고 찌그러진 1987년 구로구청 사건의 구로을 우편 투표함 ⓒ 안단테사랑제공

 
전두환 정권의 부정선거는 전국적으로 자행되었다.

구로구청 사례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었다. 종교계와 대학생, 시민단체에서 선거부정에 대한 강한 저항이 일어났다. 국민운동본부는 유령투표용지적발(서울 효자동), 릴레이투표(경기 광명시 하안동, 서울 용산 청파2동, 강남구 청담동)가 행해졌다고 주장하고, 서울구로구청사건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대표 김승훈 신부) 은 "개표과정의 컴퓨터조작설이 사실이라는 증거를 포착했다"고 주장하고, "대통령 선거가 관권개입과 국민매수ㆍ강제동원 등 각종 선거부정으로 원천적인 무효임을 확신하다"고 밝혔다.
a

구로구청 사건을 접하고 구로구청으로 향하는 (왼쪽부터) 이해찬 민통련 기획실장, 문익환 민통련 의장, 임채정 민통련 사무처장 ⓒ 민청련동지회

 

또 개표과정의 컴퓨터조작설과 관련, 개표결과를 TV집계를 분석해 제시한 모순점을 보면 △ 개표가 끝나기도 전에 개표결과를 TV에 보도하는 경우가 무수히 많았고(아직 출구조사가 시작되기 전이다) △ 일부 시간대의 TV집계수와 선관위의 집계가 일치하지 않았으며 △ 특정후보의 득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히려 줄어드는 경우가 많았다고 '컴퓨터부정'을 규탄했다.

제13대 대선을 부정선거로 단정한 평민당은 1988년 1월 공식기구를 통해 "노태우 후보는 최소한 4백만 표 이상을 부정득표했으며 김대중 후보의 표는 3백만표 이상 삭감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노태우의 부정득표 내용을 △ 주민등록 위조로 인한 대리투표와 사전투표, 무더기투표 등 최소 50만표 △ 각 투표구당 1백여 표씩 모두 1백 50만표 이상의 릴레이투표 △ 정신박약자 27만 명중 대리투표 △ 환표, 투표함 바꾸기 및 부정개표 30만표 등이라고 적시했다.

백서는 김후보 표의 삭감내용은 △ 선거인명부 누락으로 인한 60만표 △ 무효표 조작 40만표 △ 투표방해 50만표 △ 부재자투표 20만표 △ 기권조작 80만표 △ 환표, 투표함 바꾸기 및 컴퓨터부정조작 50만표 등이라고 밝혔다.

평민당은 145건의 증거품을 제시하면서 "정부 여당이 이 백서의 주장에 이의를 갖는다면 국회에 동수로 국정조사위원회를 구성, 그 진상을 조사하자" 고 제의하고, "이것이 규명되지 않으면 노태우 정권의 정통성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선언했다.
 

민추협 시절의 김영삼과 김대중 ⓒ 자료사진

 
선거과정에서 편향적인 보도를 일삼았던 보수언론들은 선거부정에는 눈을 감은 채 야권의 분열로 정권교체를 이루지 못한 것처럼 여론을 몰아갔다. 그 표적은 김대중이었다.


김대중이 평민당을 만들어 출마함으로써 대선에서 패배한 것으로 매도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1988년 1월 하순 양순직ㆍ유제현ㆍ김현수ㆍ김성식ㆍ장기욱 의원 등이 탈당하여, 이탈자가 생기면서 대선 패배에 이어 내부에 깊은 상처를 입혔다.
 
덧붙이는 글 [김삼웅의 평화민주당 연구]는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연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 1천여 조객 참석한 영결식

AD

AD

AD

인기기사

  1. 1 '판도라의 상자' 만지작거리는 교육부... 감당 가능한가
  2. 2 [단독] "문재인 전 대통령과 엮으려는 시도 있었다"
  3. 3 쌍방울이 이재명 위해 돈 보냈다? 다른 정황 나왔다
  4. 4 복숭아·포도 풍년 예상되지만 농가는 '기대반, 걱정반' 왜냐면
  5. 5 환경부도 "지켜달라"는데 멈추지 않는 표범장지뱀 강제 이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