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중앙청과 경기도청(1980)조선 총독부가 중앙청으로 사용될 당시 모습. 일제 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경성을 경기도에 예속시키면서, 옛 의정부 터 자리에 지은 경기도청사(사진 좌측 하단)가 남아 있음. 이 두 건물은 1990년대 순차적으로 해체됨.
서울역사박물관
광복 50주년(1995)에 철거된 옛 중앙청을 두고 벌인 해묵은 논쟁이 떠오른다. 철거와 보존으로 나뉘어 오랜 시간 입씨름했다. 이 논쟁으로 우리 안에 뿌리내린 식민사관 무게가 얼마나 무거운 것인지 새삼 실감했다.
2022년 이 사안으로 다시 논쟁을 벌인다면, 상반된 한두 가지 의견이 부딪힐 듯하다. 일제가 뿌리 깊게 심어놓은 식민성이 여전히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직 이를 청산하지 못했고, 그 수렁에서 아직도 헤어나지 못했다.
답은 간단명료하다. 건물은 깨끗이 철거해야 할 현시(顯示)고, 치욕스러운 역사는 영원히 기억해야 할 아픔이기 때문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치욕마저 망각해 버린다면, 민족의 미래를 어디서 찾을 수 있겠는가?
조선 창업 이래, 경복궁과 남산은 도시 조영과 통치 공간을 상징하는 핵심적 장소성(場所性)을 가진 곳이었다. 일제가 이 두 공간을 훼철하는 과정이, 흡사 우리 혼과 정신을 야금야금 갉아먹는 것 같아 소름 돋는다.
남산 통치공간
일제 침략이 가능했던 배경에 '군사력 우위'가 있었다는 건 불문가지다. 남산자락을 깔고 앉은 서양식 공사관이 완공(1893)되고, 일제는 청일전쟁에서 승리한다. 그러나 새로운 경쟁자 러시아를 맞이해야 했다. 일제는 한반도에서 군사적 균형을 유지하려 늘 노심초사다.
아관파천 후 '고무라-베베르 협정(1896.05)'으로 군대 상시 주둔이 가능하게 조치한다. 한국주차대 편성이다. 이때 필동에 군사기지가 터를 잡는다. 이를 러일전쟁에 임박해 한국주차대사령부(1903.12)로, 전쟁 중엔 한국주차군사령부(1904.04)로 확대 개편한다.
을사늑약 후 광화문 외부(外部)에 통감부를 개청(1906.02)해 업무를 개시한다. 공사관은 통감 관저가 된다. 한국 정부와 비합법 최고 의사결정기구 '한국시정개선에관한협의회'를 구성한다. 통감부가 결정한 제반 정책과 법령을 한국 정부에 일방적으로 지시 강제하는 이원적 지배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