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첨단 안전 운전 지원 기술로드맵(안
경기연구원
뇌파 정보를 활용한 버스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으로 버스운전자의 부주의(졸음) 발생이 25~30%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와 경기연구원은 지난 2017년 '경부고속도로 광역버스 졸음운전 사고'로 18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자, 공공버스 운전자의 졸음운전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뇌파 정보 이용 졸음 예방 시범사업'을 도입했다.
현대모비스의 제안으로 엠브레인(뇌파 측정 이어셋형 부주의 경고장치) 시범사업을 준비했고, 지난해 10~11월 도내 공공버스 운전직 20명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엠브레인은 이어셋형 센서로 운전자의 뇌파 정보를 수집해 부주의(졸음) 상태일 때 경고하는 알림을 주는 방식이다.
18일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졸음운전 없는 더 안전한 공공버스 만들기' 보고서에 따르면, 뇌파 정보를 활용한 버스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이 졸음운전 예방적 정책보다 비용 대비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주행거리 15m당 부주의 상태 횟수를 확인했는데, 엠브레인을 작동하지 않았을 때보다 작동했을 때 부주의 발생이 25.3% 줄었다. 특히 가장 운전자들의 졸음이 쏠리는 식후에는 29.7%까지 집계됐다. 특히 부주의 발생 후 정상 운전이 가능한 주의력 복귀까지 평상시에는 6.7초가 걸렸으나, 엠브레인 알람을 켜니 2.3초 만에 돌아왔다.
이에 연구원은 운전자 근로 시간 단축 등 예방적 대안보다 직접적으로 사고를 관리할 수 있는 '뇌파 측정 이어셋형 부주의 경고장치'가 효과적인 대처 방안이라며, 경기도 공공버스 단계적 도입 추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