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용우 의원실 제공
- 물가가 무서운 속도로 인상되고 있잖아요. 현재 경제 흐름은 어떻게 보세요?
"두 가지 요인이 있는데 하나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돈을 많이 풀었다는 거죠. 돈 풀었던 걸 정상화 하기 위해 돈을 회수하려면 고금리 현상이 발생하는 게 있고요. 또 하나는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그 다음에 글로벌 밸류체인의 변화 쪽에 요인이 있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두 가지가 겹쳐 있는 상황입니다.
근데 물가가 올라가면 소비가 줄게 돼 있어요. 소비가 줄면 또다시 경제가 더 안 좋아질 수 있죠. 그러니 굉장히 어려운 국면을 가고 있고 이 상황에서 잘 대응을 안 하면 오히려 경기 침체로 갈 수 있는 위험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 지금 어떤 게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물가가 올라갈 때 금리가 올라가면 누가 제일 피해를 볼까요? 서민이죠. 서민이 쓸 돈도 없어지면 소비가 죽는데 그러면 국가가 해야 할 일은 서민의 소득을 보전해주고 좌절하지 않도록 보호해야죠. 그게 가장 중요한 과제예요."
- 유류세 인하했는데 체감할 수 없잖아요. 왜 그럴까요?
"유류세 인하는 임시방편이죠. 사실은 국가 재정으로 서민들에게 어느 정도 보전해주면서 버티게 해주는 거거든요. 그런 의미에서는 지금도 국가 재정이 굉장히 필요한 시점에 와 있습니다. 그런 것들을 하지 않은 채 유류세 50원 100원 인하해줘봤자 이렇게 올라온 상태에서는 크게 영향이 없어요. 그래도 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을 하고 동시에 준비해야 될 건... 오늘(30일)도 기사가 나오기 시작하는데 에너지 바우처를 확대한다고 해요. 이런 것들이 차곡차곡 만들어져야 합니다."
- 윤석열 정부 경제 정책에 대해 MB정부 시즌 2라고 하셨더라고요. 가장 문제는 뭐라고 보세요?
"아까 그런 것들을 했어야 되는데, 감세해서 민간의 소비를 늘리겠다, 민간 자율로 하겠다고 하고 있어요. 위기가 올 때는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투자를 안 하게 돼 있어요. 투자를 안 하려고 하는데 투자를 하게 만들려면 큰 위기가 지나가게 만든다든지, 그 위기를 정부가 흡수해 주면서 같이 가줘야 경제가 돌아가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그런 게 전혀 없다는 거예요. 단지 감세해 주고 법인세 낮춰주면 민간이 알아서 투자를 많이 할 것이라는, 흘러간 레코드판을 계속 틀고 있는 거죠. 이 정부의 중요 경제정책 라인을 보면 바로 이명박·박근혜 정부 라인밖에 없어요. 그 십몇 년 동안 세상이 변했음에도 그 변화를 인지하지 못 한 채 옛날 노래를 틀고 있다고 봅니다."
- 윤석열 정부는 낙수효과 기대하는 것 같은데 낙수효과 있을까요?
"낙수 효과는 경제 성장이 되는 과정에서 부유층의 소득증대가 유발하는 소비와 투자가 경제성장으로 이어져 저소득층에도 영향을 주는 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2008년 위기를 지나면서 불평등이 심화된 사회에서의 낙수 효과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게 경제학 일반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이미 세상이 15년 이상 지나면서 바뀌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15년 전에 나와 있던 것들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에 낙수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다고 봅니다."
-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 시절 전기요금 동결을 약속했지만 6월 27일 인상하겠다고 했는데 이건 어떻게 보세요?
"우리나라 전기요금 체계는 기본적으로 유가와 가스값 같은 화석 연료 수입 비중에 좌우됩니다. 그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전기요금 올라가는 건 불가피하다고 생각합니다. 가격 요인에 따라서 화석 연료를 적게 쓰는 일도 필요하겠죠. 그러나 아까 말했듯이 취약한 계층을 보듬는 걸 같이 해야 됩니다.
그리고 전기요금도 원전 때문에 올라간 게 아니거든요. 유가 때문인데 '기승전 탈원전' 이건 말이 안 되는 정치 공세입니다. 또 하나 이 분이 후보 때 동결을 약속했다면 전기요금 체계가 어떻게 결정이 되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된 거예요. 잘못 이해하고 공약한 것에 불과한 거죠."
- 우리나라 전기 요금이 너무 낮다는 지적도 있는데.
"그것도 맞는 이야기입니다. 글로벌하게 비교했을 때 전기요금이 너무 싸서 에너지를 과소비하는 국가이긴 합니다. 에너지를 절감하고 RE100이나 탄소 중립 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에너지 가격을 고려하면서 사람들이 적게 써야 되거든요. 하지만, 많이 쓰는 겁니다. 많이 쓰는 걸 줄이려면 값을 올려주는 것도 맞고요. 그런데 올려줬을 때 타격을 입는 쪽을 어떻게 보완해 주냐가 중요한데 그런 것 없이 이야기한다면 문제죠."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월 28일 국경영자총협회(경총)를 만나 과도한 임금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말한 건 어떻게 보세요?
"굉장히 부적절하죠. 그리고 기업의 비용 중에서 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판매 관리비라든지 재료비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있는데 물가가 올라간 것을 임금만으로 표현한다는 건 말이 안 되는 거거든요. 실제로 확인해 보면 전체 코스트 중에 임금이 10%도 안 됩니다, 제 기억에는요.
그런데 거기서 얼마 올라간 것 때문에 물가가 다 올라갔다는 주장은 과도한 거고요. 물가는 올랐는데 임금을 안 올리면 노동자 희생을 강요한 꼴이 되는 겁니다. 한쪽에 일방적으로 위기가 오는데 희생을 강요하면서 위기를 극복한다고 하면 불평등과 사회적 갈등은 더 심화될 겁니다. 정부 정책 당국자로서 올바른 태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아까 말씀드렸듯이 임금이 안 오른 상태 속에서 물가가 계속 올라가면 노동자가 쓸 수 있는 가처분 소득이 줄잖아요. 줄면 소비를 적게 하고요. 소비를 적게 하면 산업이 안 좋고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이 있어요. 그럴 때 기업이 할 수 없다면 국가가 소득을 지원해 줌으로 해서 소비가 줄지 않게 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죠. 소득주도 성장을 계속하라는 뜻이 아니고 정책 수단으로서 그런 것들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걸 지적하고 싶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8
독자들의 궁금증을 속시원하게 풀어주는 이영광의 거침없이 묻는 인터뷰와 이영광의 '온에어'를 연재히고 있는 이영광 시민기자입니다.
공유하기
"'흘러간 레코드판' 돌리는 윤 정부, 경제 악순환 빠질 것"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