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 축제가 열리던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지난 10월 29일 밤 10시22분경 대규모 압사사고가 발생해 1백여명이 사망하고 다수가 부상을 당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참사가 발생한 좁은 골목길 바닥에 사람들의 소지품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
권우성
2014년 4월 16일의 기억과 트라우마가 아직 아물지도 않았는데, 또 모든 것이 되살아나고 있다. 내가 세월호에 타고 죽어가고 있는 것 같은 기분, 아무도 구하러 오지 않을 것 같은 기분은 이제 내가 이태원 골목에 함께 끼어 있고, 아무도 구해주지 않을 것 같은 기분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다시 우리 모두가 끝을 알 수 없는 거대한 슬픔 속으로 가라앉고 있는데, 그것을 함께 느끼면서 위로하고 나누려고 하는 게 아니라 더 큰 슬픔과 분노를 일으키려고 작정한 것 같은 사람들이 있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것은 '저기에 마약한 사람들이 있었다'는 헛소문이나, 소셜미디어에서 드물게 보이는 악플들이 아니다. 주목할 가치나 퍼나를 의미도 없는 그런 반응들은 언제나 어디에나 있었다. 하지만 함께 슬퍼하고 고통받는 이들을 도우려는 훨씬 더 수많은 이들의 목소리와 존재를 보면서 얼마든지 무시해 버릴 수 있다.
이해할 수 없는 정부와 책임자들의 태도와 주장
문제는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인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어서 자꾸 볼 수밖에 없는 언론과 방송, 거기에 나오는 '전문가'들, 정부와 책임자들의 태도와 주장들이다. 토요일 저녁에 너무 비현실적이어서 영화의 한 장면인 줄 알았던 속보부터 시작해, 일요일 온종일 뉴스를 틀어놓고 언론을 뒤지면서 이 사태를 조금이라도 이해해 보려고 했다.
그런데 결국 모아지는 이야기는 '주최 측이 없는 자율적 행사이기에 누구의 책임을 묻기가 애매하고 어렵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도 '책임'을 묻고 있었다. '외국의 종교적 전통이 상업적으로 뒤틀려 젊은이들이 술먹고 클럽가는 날'로 변질됐다는 것이다. '주변 상인들이 돈벌이 기회로 삼았고, 사고가 났는데도 음악을 멈추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안전불감증이 있었고, 유명인이 왔다는 이야기에 몰려가다가 사고가 났다'는 것이다. '사고가 났는데도 옆에서 춤추고 떼창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결국 젊은이들에게, 상인들에게, 술먹고 놀다가 조심하지 않은 개인들에게 '책임'이 있다는 이야기로 귀결됐다. 그리고 30일 저녁부터는 더 직접적인 '책임자'들을 찍어내려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그 골목길 바닥에 누군가 '술을 뿌려서 더 미끄럽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젊은 남성들 대여섯 명이 밀어라고 소리치는 것'을 본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경찰이 CCTV를 입수하고 분석에 들어갔다고 한다.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의 말에 이 모든 이야기들의 핵심이 있는 것 같다.
"예년보다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더 많은 인원이 몰린 것은 아니고, 미리 경찰을 더 배치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 당시 서울 곳곳에 소요와 시위가 있어서 경찰이 분산된 측면이 있었다."
결국 한 마디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