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정대가 묵게될 위트레흐트 호텔에서의 풍경위트레흐트 중심부에 위치한 'Leonardo Hotel Utrecht City Center'. 일정중 이곳에서 3박의 여정을 보내게 된다. 붉은색 아스콘의 포장과 노란색 굴절 버스, 그리고 자전거를 통한 일상적 이동이 분주하게 이뤄지는 장면을 3일간 계속 목격하게 된다.
Leonardo Hotel Utrecht
"현지 공관(파리)으로부터 연락이 왔어요. 민간단체 섭외가 긍정적이라며 시청과 일정조율 후 협의하면 될 것 같다고 합니다"라고 하자 원정 준비 실무진 단체대화방에서 환호성이 울렸다. 왜일까?
긴 시간의 연락을 통해 대략적 윤곽은 그렸지만 2월 1일 현재 확정된 일정이 없었다. 복잡한 퍼즐 끼우기는 2월 5일을 전후해서야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
우리 팀엔 여러 단위가 포함돼 있지만 '전주시의회+전라북도의회+광주시의회+국회+시민'으로 구성된 연합연수단으로 좁게 볼 수는 없다. 시민사회 영역에서 먼저 이 계획을 세웠다. 그에 호응하는 제도권이 합류하고 팀을 이룬 것이라는 표현이 더욱 정확하다.
10여 일 후면 시작될 여정에 대해 원정대원들은 어떠한 포부와 계획을 가지고 임하고 있는지 준비과정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
각급 지방의회나 국회의원들의 해외 공무연수는 '선진지의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떠난다'고 표방하지만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연수를 빙자한 '외유성 연수'라고 바라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기획자로서 이런 유형의 '연수'에 관해 살펴 보았다.
사전에 목적과 일정 등에 관한 계획서를 제출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심사를 받는다. 심의를 통과하면 여비를 지급받아 공무상 일정을 다녀오게 된다. 사후에 '계획한 대로 진행하였고 목적에 충실하였는지'를 보고 하게 되어 있는 모양이다. 공무 연수는 이런 형식을 거친다. 많은 결과 보고서를 살펴보건대 그럴듯한 보고서와 성과물로 가득해 보인다. 하지만 정말 충실한 결과를 담은 보고서들일까? 준비하면서 가진 큰 원칙 중 하나는 '시청이나 기관 등의 방문'에 관해서는 원정대가 책임지고 그 밖의 사항에 관한(이동 및 여행상의 편의제공)것들을 여행사가 맡아 진행하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기관 섭외도 보통 여행사가 책임지는 경우가 많은데 왜 우리가 그것까지 해야 해요?'라는 의아함이 누군가에게서 나왔다. 기존 관행이 그랬던 모양이다. 하지만 기획자로서 내가 내린 결론은 이렇다. '원정의 목적과 기획의도, 그것에 적합한 나라나 도시는 어디인지, 막상 찾게되면 누구를 만나고 무엇을 물을지'등에 관한 사전학습은 전적으로 함께 할 팀의 몫일 것이다.
현지와의 조율을 통해 '실제 일정으로 확정할지' '변경할 것들은 없는지' 등에 관한 판단과 결정의 몫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런 조율과정에서 공적인 채널을 통한 접근은 지극히 상식적인 일이다.
그런데 '이런 과정 자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수행할 여행사가 존재하고 그곳에 맡긴다?', '그런 역량을 가진 여행사가 존재한다면 그 팀을 불러 이야기를 들으면 될 일이지 굳이 해외까지 찾아가서 시간과 비용을 들인단 말인가?' 이런 생각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이걸 의도하지 않았지만 우리는 이 점에서 매우 충실하게 임했다고 자부한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면 직관적으로 이해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