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궜던 압구정 아파트 옥상정원의 이름
유튜브 채널 디에이건축 갈무리
아파트 가치를 높이기 위한 차별화된 콘셉트다. 이뿐만이 아니다. 올해 초에는 스무자가 넘는 아파트 이름 때문에 시끄럽기도 했다. 문제의 아파트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빛가람대방엘리움로얄카운티' 총 23자다. 이렇게 아파트 이름이 길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아파트에 지역, 건설사 브랜드, 아파트 브랜드명을 다 포함시키기 때문이다.
덧붙여 대다수 아파트 이름에는 외국어가 포함되어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아파트 이름을 떠올려보자. 더샵, 롯데캐슬, 아이파크, 자이, 힐스테이트 등 아파트가 온통 외국어에 물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래미안, 푸르지오는 본래 한자명, 한글명이지만 아파트 벽면과 출입 등이 온통 영어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외국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는 없다).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는 주거로서만 기능할뿐만 아니라 자산으로서도 기능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주거 목적의 사용가치만 지닌 것이 아니라 자산으로서 교환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교환가치를 높이는 방법 중 하나가 상품의 차별화다. 아파트 시설과 기능의 차별화는 기본이고 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로 독특한 이름이다.
아파트 상품화
국내에서 아파트는 언제부터 자산으로서 기능했을까? 어쩌다 돈 좀 있는 사람들만이 거주할 수 있는 주거 형태가 된 걸까? 이 모든 의문을 해소해주는 데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였던 박철수가 쓴 <아파트>가 큰 도움이 되었다.
결국 프랑스의 도시주택이 미국으로 유입되었고, 그곳에서 좋은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일본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되었다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 <아파트> 43p
우리나라 아파트는 일본, 미국 그리고 프랑스의 공동주택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규모와 입주 계층은 확연히 다르다. 프랑스에서는 높이 규제로 인해 6층을 넘는 경우가 거의 없었고, 중요한 건 폭넓은 소득계층의 거주자를 수용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고층 아파트가 즐비하다. 다른 나라에 비해 소득이 높은 계층이 아파트에 밀집해 거주한다. 공공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이나 임대를 운영하고 있지만 그 수가 적다. 문제는 공공주택의 입지가 매우 열악하다는 것이다. 특히 서울에서는 도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이다.
중산층 밀집지역 되어버린 아파트 단지
이번에는 아파트라는 주거 형태가 중산층의 주요 거주지가 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초기 아파트 건설 역사를 따라가보자.
1960년대 말까지 건설된 아파트는 호화 아파트와는 거리가 멀었다. 1962년 서울시가 공급한 건설된 단지형 아파트는 규모가 작았다. 서울시 예산 부족으로 골조와 주요 설비만 공급했다. 나머지는 입주자들의 몫이었다.
별다른 금융 지원도 없었다. 따라서 지불능력이 있는 계층만이 아파트에 거주할 수 있었다. 결국 남서울아파트 개발에 이르러서는 아파트 공급 대상이 중산층으로 선회했다.
더불어 1970년대 후반에는 도시계획 제도의 변화로 인해 아파트단지가 활발하게 형성되기 시작했다. 1977년 개정된 주택건설촉진법에는 아파트지구가 지정되면 지자체 장은 6개월 이내에 '아파트 지구개발 기본계획'을 반드시 수립하고 토지 소유자들은 개발계획 이후 1년 이내에 사업 인가신청을 해야만 했다. 이후 1979년까지 서울에만 총 14개의 아파트지구가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