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문수사 단풍 숲이 왜 이럴까요

노랗고 빨간 단풍 대신 건조하게 메말라 있는 이파리들

등록 2023.11.23 08:42수정 2023.11.23 08:42
3
원고료로 응원
고창은 선운사의 그곳이다. 도솔산의 설화와 수많은 선운사 동백 시가 우리에게 익숙해서일 것이다. 이 고창에 저무는 가을 단풍이 절경인 곳이 있단다. 고창 문수사.

낯선 이름과는 달리 천연기념물 463호로 지정된 '문수사 단풍나무 숲'은 다녀온 사람들의 감탄으로 SNS가 가득했다. 설레는 기대로 11월의 하루 그곳으로 향했다.
 
a

건강하게 물든 단풍 잎은 별로 없었습니다. ⓒ 정미란

 
바람 끝에서 겨울을 느끼던 귀 시리게 세찬 바람 부는 날, 문수사로 항하는 길은 추웠지만 고즈넉한 산길이 주는 정감은 아늑했다. 가파른 길가의 단풍나무들과 이름 모를 나무들은 아직 가을을 맞지 않은 듯 찌뿌둥한 빛깔로 우리들을 맞이했다.


기후변화가 만든 자연의 역린 같은 모습일까. 믿기지 않았던 11월의 유채꽃과 봄꽃개화 소식에도 그러려니 했지만 천연기념물인 문수사의 단풍 숲은 놀라움과 속상함으로 다가왔다.

단풍 이파리들은 11월의 이상 기온 탓이었는지 건조하게 메말라 있었다. 나무 안쪽의 잎들은 아직도 푸릇한 녹색을 띠어 가을 단풍과는 거리가 멀어 보였다.
 
a

퇴락한 듯 세월의 모습을 간직한 문수사 대웅전 ⓒ 정미란

 
한참을 걸어 올라가 시골집 문 같은 조그마한 문수사 입구를 지나 대웅전을 마주한 순간, 불편했던 가슴이 맑아짐을 느꼈다.

'아.. 대웅전의 모습이 이럴 수도 있구나.'

그동안 보아왔던 많은 사찰 대웅전은 이름처럼 크고 웅장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이날 내가 마주한 문수사 대웅전은 아픔과 절절한 슬픔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고색창연'이란 표현이 떠올랐지만 색 바랜 단청의 모습에 문수사를 창건한 백제시대 자장스님의 손길마저 느껴졌다. 조선시대 효종과 영조를 거쳐 고종 13년(1876)에 다시 지어졌으니 내 앞의 대웅전은 백제 때 그 모습은 당연히 아니었다.


하지만 150여 년이 지난 지금의 대웅전은 그 시간 동안의 격동을 고스란히 간직한 듯했다. 쓸쓸하고 초라한 모습이 감동과 슬픔으로 교차하며 내 발길을 멈추게 했다.

세월의 흔적은 훈장 같은 명예이기도, 감추고 싶은 상처일 수도 있다. 두 모습의 대웅전은 저무는 가을이 내게 준 선물 같아 다시 온다는 마음의 약속을 뒤로 한 채 발길을 돌렸다. 내년의 가을을 기대해 본다. 쇠락을 넘어 허무를 느낀 하루가 오늘을 위한 영양제가 될 거라 믿으며.
#문수사 #대웅전 #가을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잘 사는 인생을 꿈꾸는 모두와 재미있는 하루를 만들고 싶은 지금을 위하여!

AD

AD

AD

인기기사

  1. 1 금반지 찾아준 사람이 뽑힐 줄이야, 500분의 1 기적
  2. 2 '윤석열 안방' 무너지나... 박근혜보다 안 좋은 징후
  3. 3 '조중동 논리' 읊어대던 민주당 의원들, 왜 반성 안 하나
  4. 4 검찰의 돌변... 특수활동비가 아킬레스건인 이유
  5. 5 "미국·일본에게 '호구' 된 윤 정부... 3년 진짜 길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