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티(Paraty)의 로컬 식당에서 먹었던 페이조아다
김상희
'페이조아다'란 이름 자체가 '콩 요리, 콩으로 만들었다'는 뜻을 갖고 있다고 한다. 내가 먹은 페이조아다는 콩과 돼지갈비를 넣어 같이 끓인 스튜 요리였다. 옛날 흑인 노예들이 주인이 먹지 않는 고기의 특수 부위나 부산물을 콩과 함께 끓여 먹던 데서 유래한 음식이라고 한다. 요즘은 쇠고기를 쓰기도 하고 돼지고기 중 특별히 맛있는 부위를 콩과 함께 뭉근히 오래 끓여 만들고 주말 특별 가정요리로 먹는다고 한다.
상파울루를 거쳐 파라티(Paraty)와 리우데자네이로(Rio de Janeiro)까지 보름을 여행했다. 막연히 축구의 나라, 커피의 나라로 알았던 브라질은 인구 2억이 넘고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심의 내수경제가 탄탄한 경제대국이라고 한다. 건물과 도로, 버스와 지하철 등 각종 인프라도 현대도시다웠고 국민소득도 높다고 한다.
신용카드 결제가 어찌나 잘 되는지 현금 쓸 일이 거의 없었다. 길거리 과일 노점상도 카드 리더기를 갖다 놓고 장사하고 있었다. 베를린보다 파리보다 카드 결제가 잘 되었다. 리우데자네이로 지하철은 한국에서 만든 언택트 체크카드로 찍고 탔다. 지구 반대편 도시의 지하철 인식기에서 내 카드가 작동한다는 게 신기했다.
한편 길거리에는 노숙자와 남루한 차림의 사람들이 많았다. 그들이 구걸을 하거나 길가는 사람을 위협하지 않았고 그 사람들 때문에 직접적으로 위험하다고 느낀 적은 없었다. 그러나 여행자로서 다분히 신경이 쓰였다. 고급 상점과 세련된 쇼핑몰, 초고층 빌딩과 잘 가꿔진 도심 공원 이면에 '빈부격차'라는 어두운 그늘을 갖고 있었다.
나는 여행지를 떠날 때마다 다음에 다시 온다면 이 나라의 어떤 음식을 맨 처음으로 먹게 될까를 떠올려보곤 한다. 멕시코가 타코, 페루가 세비체라면 브라질에 다시 온다면 브라질식 가정식 백반, 페이조아다를 먹고 싶다. 그리고 노숙자가 사라진 상파울루를 걸어보고 싶다. 과거 두 차례의 재임기 동안 빈부격차 해소에 공이 컸던 룰라 대통령이 다시 3선 대통령이 되었다고 하니 그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생활여행자입니다. 여행이 일상이고 생활이 여행인 날들을 살아갑니다. 흘러가는 시간과 기억을 '쌓기 위해' 기록합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