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까페 씨앗의 풍경. (사진출처: 신휘 시인 페이스북)
신휘
경북 김천에서 신휘 시인이 운영하는 카페 씨앗의 창가에는 많은 시집들이 놓여있다. 오전에 포도밭 일을 마친 시인은 오후에 카페로 출근한단다.
시 강연을 하러 외부에 나가는 날만 아니면 대부분 카페에서 시간을 보내는 듯하다. 책을 읽으며 창 너머의 정원과 그 정원에 놓인 낮달 조형물을 바라보는 듯하다.
"영혼이 맑은 것들은 몸이 아니라 슬픔으로 눈을 자주 씻은 것들이라고 한다. 눈을 씻는 일은 눈물을 흘리는 일. 걸핏하면 나는 새처럼 앉아 우는 날 많은데 눈물이 아주 마른 날은 억지로라도 내 안에 꼬깃 꼬깃 접어둔 타인의 아픔과 슬픔까지를 끄집어내 내 일마냥 한 타래로 엮어놓고 따라 줄줄이 우는 것이다."(슬픔을 엮었다 중에서)
나는 이 시를 읽고, 허수경 시인의 "농담 한 송이"가 떠올랐다. 사람의 가장 서러운 곳으로 가서 따온 농담 한 송이와, 타인의 아픔도 내 일인 것 마냥 한 타래로 엮은 굴비 한 두름은 닮았다. 슬픔으로 눈을 자주 씻으며, 울다가 울다가 시인은, 울어야 맑아진다는 진실에 이르렀을지도 모르겠다.
나는 나를 울게 하는 시들이 좋다. 울게 함으로써, 비 온 후 개인 하늘처럼 나를 맑아지게 만드는 시들이 좋았다. 이 시집에는 그런 시가 여럿 있었다. "뻘밭", "낙타 둘 - 우물", "숫돌" 등. 그중에서도 읽고 또 읽을수록 잠잠히 눈물이 고이던 시는 "사랑은 괜시리 어룽대는 저 물빛 위에"였다.
"호영 형님이 아픈 다리를 끌고 평생 꽃밭을 일구는 / 일 같기도 하고 / 아버지가 경운기 하나로 저 큰 무논을 써레질하는 / 일 같기도 하고 / 어머니가 젖은 짚단에 불을 댕겨 생전 밥 짓던 / 일 같기도 하거니와, / 때론 성자들의 장난과도 같이 아주 서툰 듯 지긋이 / 아름다운 것이리 / 사랑은 잠시만 눈을 떼도 흔들리는 못줄처럼 / 저 물 위에, 괜시리 어룽대는 저 물빛위에"(사랑은 괜시리 어룽대는 저 물빛 위에 전문)
물빛이 무슨 색인지 정확하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물빛 위에 어룽거리는 것이 사랑이라면, 사랑은 물빛인가 아니면 그 물빛 위에 흩날리는 안개인가 아니면 그 순간 때마침 지나가던 바람의 그림자인가. "사랑"의 감정이 무엇인지,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면 정확히 깨달을 수 있을까.
시인들의 답은 사전적이지도 과학적이지도 않지만 영혼을 일깨운다. 모두가 알고 있으나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그 '무엇'에 대하여 노래하는 사람이 시인이기 때문이다. 사랑이 어룽대는 물빛처럼 어렴풋이 흔적만을 남겼는데, 그 흔적 속에서 사랑의 단서를 찾아낸 그의 시가 내 마음을 물빛으로 물들였다.
오전에는 밀짚모자를 눌러쓰고 밭으로 출근하는 그는 포도밭 농부다. 밭일을 다 마치고 카페 씨앗으로 출근하는 그는 카페 씨앗의 사장님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어떤 이름보다도 그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이름은 따로 있다. 슬픔으로 눈을 씻어 사람들의 마음을 맑게 해주는, 꽃 같은 시를 짓는 사람. 그는 천상 시인이다.
꽃이라는 말이 있다
신휘 (지은이),
모악, 2019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시인/ 문화예술기획자/
『오늘이라는 계절』 (2022.04, 새새벽출판사)
울산북구예술창작소 감성갱도2020 활동예술가 역임(2022)
『사는 게 만약 뜨거운 연주라면』 (2023.10, 학이사)
장생포 아트 스테이 문학 레지던시 작가(2024)
(주)비커밍웨이브 대표
공유하기
슬픔이 주는 효용, 덕분에 영혼이 다 맑아졌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