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외국인관광특구, 보산동 미군클럽거리 조형탑
임성용
동두천시 보산동에 가면 '외국인관광특구'로 지정된 거리가 있다. 이곳은 동두천에서 가장 큰 미군 주둔지인 '캠프 케이시'를 비롯해서 동두천 일대에 산재한 미군부대 병사들이 이용하는 클럽거리다. 이 거리를 '기지촌'이라고 불렀다. 보산 캠프 건너편, 보산역 인근 골목에는 곳곳에 '미군클럽'이 들어섰고 클럽과 함께 운영된 성매매 업소가 있었다. 미군기지 주변 마을에도 촌락 형태의 기지촌이 들어서기도 했다. 기지촌은 1970~80년대까지 한창 번성을 누리다가 9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부터 차츰 쇠락했다.
동두천은 본래 이담면이라고 하는 시골 마을(동두천리)이었는데, 한국전쟁이 끝나고 미군이 들어오면서 군사도시로 성장했다. 그러나 2010년 이후 미군 평택기지가 건설되면서 도시의 입지가 흔들렸다.
미군 평택기지는 '대추리 투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농민들과 시민단체의 극력한 반대에 부딪쳤지만 공권력을 동원한 정부는 미군의 새 기지 건설을 강행했다. 그 배경을 살펴보면 미군의 단순한 재배치가 아니었다.
한국과 미국 정부는 국토의 균형발전과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주둔여건'을 보장하기 위해 전국의 미군기지를 재배치할 것에 합의했다. 미군의 평택 기지(캠프 험프리스)는 해외 주둔 미군기지 중에서 최대 규모이며 여의도 면적의 다섯 배에 달했다. '한국 속 작은 미국 도시' 수준으로 미군과 가족 등 4만 5천 명이 거주할 수 있는 규모였다. 평택기지가 들어서자 용산에 있는 미군 핵심 지휘부와 한강 이북의 미 제2사단 예하부대가 차례로 입주했다. 2021년 무렵에는 의정부 미2사단 본부와 동두천의 미군부대 역시 주력전투부대와 병력, 시설을 대부분 평택으로 이전했다.
미군에게 의존하여 살아온 동두천시는 미군이 떠나고 기지촌 상권이 몰락하면서 경제적 타격을 받게 되었다. 생산기반이 거의 없고 미군의 소비에만 매달린 주민들의 생계가 막막해졌다. 가게들은 문을 닫고 인구수는 날로 줄었다.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동두천시는 '소요산 확대 개발 계획'을 입안하고 추진해 왔다.
그동안 동두천은 대북 접경지와 가까운 경기북부지역의 특성상 모든 것이 안보에 저당 잡혀 있었다. 재산권 제약은 물론이고 개발 자체가 어려웠다. 지역 상인들에겐 위기론이 현실로 다가왔다. 낙후된 '지역경제살리기'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계획한 구상안이 바로 소요산 개발이었다.
하지만 동두천은 숙박시설 부족뿐만 아니라 내세울 만한 마땅한 볼거리도 없었다. 그나마 서울에서 전철이 닿는 소요산을 찾아오는 사람들도 동두천에 머물지 않고 잠시 들렀다 지나가는 등산객들이었다. 이같은 실정을 바꾸고 관광객을 모으고자 관광 인프라 구축이 필요했다. 소요산 확대 개발은 그 중심 과제로 떠올랐다. 소요산 개발 예정 부지는 60만㎥으로 약 20만 평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동두천시는 개발 연구 용역을 외주업체에 의뢰했고, 지난해 12월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그런데 개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소요산 입구에는 '성병관리소'가 있다. 성병관리소는 미군 기지촌(주로 미군 전용클럽, 성매매업소)에서 일하는 여성들의 성병 진료 및 관리를 위해 정부가 만든 시설인데, 보건 검사에서 통과하지 못한 여성들을 가두는 '낙검자 수용소'였다. 미군에게 성병 전염을 막고 '미군을 위해 여성들의 몸을 깨끗하고 건강하게 관리한다'는 명목이었다. 이것은 사실상 기지촌 여성들에 대한 국가의 '강제 구금'이었다.
일명 '몽키 하우스'라고 불리던 성병관리소는 1996년 폐쇄되었다. 그리고 20년이 넘도록 오랜 세월 방치되었다. 동두천 주민들은 소요산 숲속에 음산하게 남은 성병관리소 건물을 지역 이미지를 해치는 대표적인 흉물로 여겼다. 그러던 차에 소요산 개발이 진행되면서 성병관리소를 철거해야 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주민들은 이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철거와 개발이 동두천 시민들 전체의 여론이라고는 볼 수 없었다. 단지 개발을 위해 성병관리소를 철거해야 한다는 것은 "저걸 보기 싫게 왜 놔두느냐?"고 고개를 돌리는 사람들의 역정일 뿐이었다. 또한 개발이라는 상업적 이득에 따른 요구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철거 위기에 놓인 성병관리소 문제를 고민하고 동두천의 역사와 미군의 역사를 상징하는 성병관리소를 보존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북부평회시민행동'을 중심으로 여성, 인권, 문화단체와 시민들은 '성병관리소 보존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를 출범시켰다. 2023년부터 시민토론회 개최(1~4차), 동두천 시의회 정담회, 경기도 의회 토론회, 기자회견 등을 열었다. 토론과 간담회를 통해 성병관리소 보존의 필요성과 역사문화 공간으로 활용하자는 방안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