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연금 특위 공론화위원회 위원 명단
김진웅
다만 향후 30년, 50년, 100년을 내다봐야 하는 국민연금 제도 개혁을 위해 모인 전문가들 중 국민연금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그간의 논의가 성과로 나타나 연금개혁에 초석을 놓았거나, 의미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등의 성과가 뚜렷하지 않다는 게 문제다.
대통령실은 또 어떤가? 당장 대통령만 하더라도 국민연금 대상자가 아니다. 검찰 생활을 오래해 온 공무원 출신으로서 공무원 연금 대상자다. 국회의원실 보좌진 또한 공무원연금 대상자다. 어찌보면, 아이러니하게도 국민연금 개혁을 위해 머리를 맡대고, 아이디어를 생산하며, 제도 개선안 제안, 입법 노력을 하는 이해당사자들이 모두 국민연금과 관계가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만일, 현행 대한민국의 연금체제와 달리 ▲ 군인연금 ▲ 공무원연금 ▲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과 ▲ 국민연금이 통합으로 운영된 체제이었다면, 연금개혁이 이렇게 지지부진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 26일 국회의장실에서는 연금개혁을 미룰 경우 현행 제도(보험료율 9%, 소득대체율 40%)하에서 향후 70년 동안 누적될 기금 적자는 2156조 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매년 연금 지급액이 30조8000억원씩 늘어나는 것으로, 월 단위로는 2조6000억 원, 일 단위로는 856억 원씩 증가한다는 계산이다.
현재 합계 출산율이 0.7 이하로 하락된 후, 저출생 현상이 지속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연금개혁 논의가 지지부진 하다는 것은 결국, 정치권과 대통령실, 관계부처는 연금개혁이 우선순위가 아니라는 것의 방증과 다름 없다.
이제는 국민연금을 놓고 모수개혁이니, 구조개혁이니 하면서 다툴 것이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구조적 상황을 진지하게 고찰하여, 모든 연금을 통합해야 한다고 필자는 주장한다. 그게 아니라면, 일본과 같이 공무원 연금과 국민연금제도를 똑같게 운영해야 할 것이다.
2023년 7월 17일자 <한국일보>의 "공무원연금을 시급히 국민연금과 통합해야 할 많은 이유"에서 일본의 경우, 공무원 연금과 민간연금 수급액은 완전 동일하게 지급되도록 운영 중이며, 혹시라도 공무원연금이 조금 더 많이 지급된 것이 발견될 시 차감한다고 설명했다.
2022년 발간된 OECD 발간물(Reviews of Pension Systems - KOREA)은 OECD 회원국 중에서 일반 국민과 공무원연금을 완전히 분리해서 운영하는 나라가 우리를 포함해서 단 4개국에 불과하다는 점을 들어, 통합 운영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해당 보고서에서는 국민연금 가입자가 20세부터 연금을 가입하여 40년을 보험료를 납부하여도 소득대체율 자체가 40%에 불과한 반면, 공무원 연금은 61.2%,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의 62.7%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점을 지적하였다(OECD 보고서 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