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한국환경한림원 주최 제23차 환경정책심포지엄이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심포지엄은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주제로 개최됐다.
그리니엄
"새로운 외교협약이 이렇게 빠르게 진행되는 것도, 과학이 이를 따라잡으려고 노력하는 것도 처음 본다."
지난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23차 환경정책심포지엄'에 참석한 이소라 한국환경연구원 자원순환연구실장은 이같이 말했습니다. 여기서 새로운 외교협약은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말합니다.
협약은 총 5차례의 회의를 거쳐 체결될 예정입니다. 마지막 회의인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가 오는 11월 부산에서 개최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환경한림원 주최로 'UN 플라스틱 국제협약, 마지막 단계에서 우리의 대응 전략과 역할은'을 주제로 열렸습니다. 학계·산업계 등에서 11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현 플라스틱 정책 동향은? 2023년 HAC·OECD 야심찬 제안 쏟아져
현재 논의 중인 플라스틱 국제협약은 전(全) 주기를 다룬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플라스틱이 식음료·화학·건설·섬유·전자기기 등 거의 모든 업종에 걸쳐 사용되는 만큼, 협약 발효 시 거의 모든 산업이 규제 영향권에 들어갑니다.
이에 산유국과 플라스틱 생산국, 소비국, 중간국 등 각국의 입장에 따라 논쟁이 치열합니다. 2023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차 회의(INC-2)까지만 해도 회의 진행이 더뎠던 이유입니다. 이 실장은 "아무리 열심히 해도 (플라스틱 오염) 종식은 어렵다"며 "다운스트림만 잘 관리하자"가 주요 흐름이었다고 당시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그러던 지난해 9월과 11월을 계기로, 회의 흐름이 달라졌습니다.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하기 위한 야심찬 목표 연합(HAC)'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연이어 정책 보고서를 내놓으면서입니다. HAC는 2040년까지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목표로 하는 국가 간 연합체입니다. 한국을 포함해 총 65개국이 가입돼 있습니다.
시점은 다르나 두 기관의 보고서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2040년까지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국제사회 정책 개입 전략이 담겼습니다. HAC는 1차 폴리머(플라스틱 원료) 감량·감축을 제시한 것이 특징입니다. OECD는 더 나아가 화석연료 보조금을 폐지하자는 야심찬 조치를 제안했습니다. 플라스틱 감축을 위해 그 원료인 화석연료의 규제를 가하자는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