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게 탈탄소화 관련 애로사항을 물은 설문조사 결과, 대응 자금 부족 등이 주요 문제로 꼽혔다.
그리니엄
한국 중소기업 77.8% "탈탄소화 지원사업 잘 몰라"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중소·중견기업 탈탄소화 지원 정책은 어떨까요?
김 전문연구원은 한국의 기업 탈탄소화 지원 정책을 크게 4가지로 구분했습니다. ① 감축설비 도입 및 연료 전환 지원 ② 기술혁신 및 R&D 지원 ③ 융자·보증 등 금융 지원 ④ 기타 순입니다.
그는 "한국 역시 탈탄소화 지원 정책이 정말 많다"며 "우리나라는 대개 감축설비 지원이나 기술혁신 지원이 많다"고 소개했습니다. 또 지원이 패키지 형식으로 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업의 현황을 진단한 후 컨설팅을 통해 탈탄소화 계획 수립까지 제공한단 뜻입니다.
그러나 정책이 많다고 좋은 뜻은 아닙니다. 정작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은 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김 전문연구원의 말입니다.
2023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250곳 중 189곳이 '지원사업에 대해 제대로 모르고 있어서' 탈탄소화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이라고 답했습니다. 전체 응답의 77.8%에 이릅니다.
또 어떤 사업이 자사에게 적합한지 판단하기 어려워 탈탄소화 사업에 지원하지 못한다는 응답도 18.9%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중소기업 스스로 정보를 수집해 자사에 적합한 사업을 선별해 신청하는 일부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자본과 대응 인력 모두 현저히 부족한 상황에서 지원사업을 찾는 일부터가 큰 과제라고 김 전문연구원은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설문조사에서 온실가스 감축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대응 자금 부족'과 '어떤 감축 노력이 자사에게 적합한지 판단하기 어려움'이란 선택 비중이 각각 21.3%와 17.5%로 가장 높았습니다.
R&D 확대…"배출량 저감 효과 평가해야"
이에 김 전문연구원은 국내 중소·중견기업 탈탄소화 지원 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단 점을 강조했습니다.
탄소중립 관련 정보와 제조 역량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의 필요성도 언급했습니다.
나아가 중소·중견기업이 실제로 지원 정책을 통해 배출량을 감축했는지 그 효과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단 점도 강조됐습니다.
기후테크 산업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제언도 내놓았습니다. 구체적으로 기업 규모가 1000억 원 미만인 중소기업이나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투자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기후테크 산업 내 중소기업들 역시 R&D 규모를 이어가고 있고, 정부 역시 지원하고 있으나 그 기간이 5년 미만으로 짧다는 것이 김 전문연구원의 지적입니다.
김 전문연구원은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상용화되지 않은 기술에 대한 지원 기간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국내에서 시장이 없으면 국외 진출 역시 어렵다"고 피력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본이나 EU와 마찬가지로 탈탄소화와 기후테크와 관련된 다자협의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기술협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그는 전했습니다. 모든 협의체에 참여하자는 뜻은 아닙니다.
수많은 기후테크 중에서 어느 기술 분야에 힘을 쓸지 방향성이 갖춰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컨대 그린수소·재생 플라스틱 등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에 있어 파트너 국가를 찾아야 한다고 김 전문연구원은 덧붙였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우리 세대가 직면한 가장 큰 위기는 기후위기라고 생각함.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기술과 토론이 답이라고 생각. 사실과 이야기 그리고 문제의 간극을 좁히고자 열심히 글을 쓰고 있는 중. ■ 이메일 주소: yoon365@greenpulse.kr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