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족하다"... 고산의 1평 집, 사랑받은 이유를 알겠다

윤선도 유적지 답사... 보길도 세연정과 동천석실서 한 사람을 그리다

등록 2024.09.18 14:18수정 2024.09.19 17:07
0
원고료로 응원
수국(水國)에 가을이 드니 고기마다 살져 있다 / 닻 들어라 닻 들어라 / 만경창파에 실컷 배 띄워 가자 /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 인간 세상을 돌아보니 멀수록 더욱 좋다
- 고산 윤선도 <어부사시사> '가을' 가운데

고산 윤선도(1587-1671)가 이 시를 지은 것은 64살 되던 1651년(효종2) 9월로 보길도 세연정(洗然亭)에서다. 이름 중 세연(洗然)이란 '주변 경관이 물에 씻은 듯 단정하여 마음이 상쾌해지는 곳'이란 뜻이다.


고산의 발자취를 따라 앞서 서울에서 해남 고택으로 달렸다가, 다시금 보길도로 가기 위해 차를 몰아 완도 화흥포항에 닿았다(관련 기사: 74세 아버지의 편지 당부 '네 불행에 남 탓 마라' https://omn.kr/2a380 ).

이곳에서 노화도행 배를 타고 동천항에서 내려 배에 실었던 차를 타고 다시 보길도로 내달았다. 교통이 좋아진 지금도 가는 길이 쉽지 않은 땅끝마을 보길도(甫吉島)에서 고산은 여생을 마쳤다.

물이 마른 세연정 물이 마른 세연정은 날이 약간 흐려서인지 명경지수 위의 모습이 아니었다.
물이 마른 세연정물이 마른 세연정은 날이 약간 흐려서인지 명경지수 위의 모습이 아니었다.이윤옥

초가을이지만 여전한 무더위 속에 세연정으로 가기 위해 원림(原林)을 걷는다. 가뭄이 들어 원림 속 계곡물은 말라 있었고 숲속 늦매미 울음소리가 더 무덥게 느껴졌다. 평일에 찾아서인지 세연정에는 사람 하나 얼씬하지 않았다.

고즈넉한 시간을 오롯이 보낼 수 있다는 기쁨에 시선을 연못 쪽으로 돌리니, 부용동팔경(芙蓉洞八景) 가운데 제3경이라는 연정고송(然亭孤松)이 운치를 더한다. 고산도 오늘 나처럼 이 자리에서 노송을 바라다보았으리라. 정자에 앉아 400여 년 전 고산의 마음을 헤아려본다.

노송과 세연정 노송에 둘러 싸인 세연정 모습
노송과 세연정노송에 둘러 싸인 세연정 모습이윤옥

고산은 직신(直臣: 마음이 강직한 신하)으로 불릴 만큼 자기 신념과 철학이 확실한 선비였다. 그가 집권세력에 맞서 왕권 강화를 주장하다가 20여 년의 유배 생활과 19년의 은거 생활을 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말년에 고산은 또다시 모함을 받고 파직되어 해남 고택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던 중, 병자호란으로 인조임금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자, 육지에서 살아가는 것도 부끄럽다고 하여 제주도로 은거지를 옮기고자 길을 떠나다가 그만 이곳 보길도의 비경에 이끌려 정착하게 된다.

'하늘이 나를 기다린 것이니 이곳에 머무는 것이 족하다'
- 윤위(尹威), <보길도지 (甫吉島識)>


삶의 말년을 보길도에서 보내기로 작심한 고산은, 이 세연정을 직접 짓고 계곡물을 가두기 위해 널빤지 같은 돌 판석(板石)으로 물을 가두는 계담(溪潭)을 만들었다. 그 물을 이용하여 세연정 주변에 자연스러운 연못이 만들어졌다.

연못 속에 비친 세연정 모습은 그야말로 선경(仙境) 가운데 선경이었으리라. 하지만 기자가 세연정을 찾은 날은 여름 가뭄이 오래된 듯 연못 물이 말라버려, 일전의 그 경치는 느끼기에 어려웠다.

들어열개문 세연정은 들어열개(문짝을 위로 들어 올려 들쇠에 얹어서 여는 창호) 문으로 사방이 탁트여 멀리 산까지 다 보인다.
들어열개문세연정은 들어열개(문짝을 위로 들어 올려 들쇠에 얹어서 여는 창호) 문으로 사방이 탁트여 멀리 산까지 다 보인다.이윤옥

"내 어찌 세상을 저 버리랴 /세상이 나를 저버렸네 / 이름은 중서 위에 있는 것이 아니거니 / 삶은 항시 녹야의 규범과 같았다네."

이는 고산이 이곳 세연정에서 지은 시로 '동하각(同何閣)'이란 이름이 붙어있다. 고산은 세연정에 동서남북과 중앙, 모두 다섯 곳에 현판을 달았는데 남쪽에는 일곱 암석이 있어 정자 서쪽의 편액을 칠암헌(七岩軒)이라 하였고, 중앙은 세연정(洗然亭), 남쪽에는 낙기란(樂飢欄), 서쪽에 동하각(同何閣), 동쪽에는 호광루(呼光樓)라 하였다.

흔히 사람들은 고산이 이곳에 세연정을 지어놓고 '주로 연회와 유희를 즐겼다'고들 얘기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동하각 시'에서 보듯이, '자신을 버린 세상'에 대한 고뇌가 엿보이기도 한다. 이곳에서 지은 봄, 여름, 가을을 노래한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에도 그러한 성정은 충분히 느낄 수 있다.

배롱나무 세연정에서 바라다 보이는 한그루 배롱나무가 화사하다.
배롱나무세연정에서 바라다 보이는 한그루 배롱나무가 화사하다.이윤옥

세연정을 나와 낙서재(樂書齎)와 곡수당(曲水堂)에 이어 동천석실(洞天石室)로 발걸음을 재촉했다. 낙서재는 고산의 옛 살림 집터이고 곡수당은 고산의 다섯째아들 학관이 머물렀던 공간이다.

낙서재와 곡수당 일원의 건축물들은 당시 초당(草堂)이 허물어져 집터만 있던 것을 후에 다시 기와집으로 말끔하게 정비한 곳으로 사방팔방의 산림 속에 자리 잡은 아늑한 곳이다.

가기 힘들지만, 가보면 그 가치를 알게 되는 곳

곡수당 곡수당은 고산의 다섯째아들 학관이 거처하던 공간이다.
곡수당곡수당은 고산의 다섯째아들 학관이 거처하던 공간이다.이윤옥

낙서재와 곡수당 등은 세연정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는데 이곳에서 주목하고 싶은 곳은 낙서재 맞은편 산 중턱에 있는 동천석실(洞天石室)이다.

보통 이러한 산중턱의 돌바위에는 불교의 암자가 자리할 법한데, 이곳에 고산은 작은 정자 두 채를 짓고 하나는 침실로 하나는 독서공간으로 삼았다.

동천석실의 침실 동천석실의 침실 전각이다. 한평짜리 침실에는 구들이 놓여있어 겨울에도 머물수 있도록 해놓았다. 멀리 산아래 건너편에 살림집인 낙서재와 곡수당 등이 있다.
동천석실의 침실동천석실의 침실 전각이다. 한평짜리 침실에는 구들이 놓여있어 겨울에도 머물수 있도록 해놓았다. 멀리 산아래 건너편에 살림집인 낙서재와 곡수당 등이 있다.이윤옥

작은 연못 동천석실(붉은 네모 속) 옆에도 고산은 바위를 막아 작은 연못을 만들었다. 동천석실 주변에는 너럭바위가 있어 그곳에서 차를 즐기기도 하는 등 고산은 하늘아래 바위틈에 터전을 잡고 몸과 마음 수양을 했다.
작은 연못동천석실(붉은 네모 속) 옆에도 고산은 바위를 막아 작은 연못을 만들었다. 동천석실 주변에는 너럭바위가 있어 그곳에서 차를 즐기기도 하는 등 고산은 하늘아래 바위틈에 터전을 잡고 몸과 마음 수양을 했다.이윤옥

차를 산 밑 주차장에 세우고 녹음이 우거진 자갈길을 20여 분 올라야 동천석실에 다다를 수 있다.

여름 무더위 속이라 발걸음이 더욱 무거웠다. 이 비탈진 산길을 짚신으로 올랐을 고산 선생, 젊은 나이가 아니라 당시 환갑도 훨씬 지났을 나이에 동천석실을 춘하추동 오르내렸다니 상상이 가질 않는다.

나부터도 헉헉 거리며 숨이 턱밑까지 차오르는 것을 참고 산길을 올라가니 동천석실이 나타났다. 저 아래 발밑에 펼쳐진 부용동보다 오히려 하늘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느껴지는 곳에 동천석실은 자리하고 있었다.

이 높고 험한 바위 위에 지어진 한 평짜리 집을 사랑한 고산의 마음을, 이곳에 오르니 그제서야 알 것 같았다.

시퍼렇게 살아있는 권력을 쥔 궁궐의 임금에게 바른말을 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주저 없이 직언을 서슴지 않았던 고산.

직신(直臣)이라는 게 다 지난 지금의 눈으로 보면 강직한 일이겠지만, 당시의 당사자에게는 고통이 수반되는 일이었다는 것을, 왜 고산인들 몰랐을까? 그래도 역사는 간신보다는 직신을 기억해주고 있으니, '사필귀정'이라는 말은 시대를 초월해 들어맞는 말인 듯싶다.

부용정 8경의 하나인 노송나무 보길도 세연정 앞 부용정 8경의 하나인 노송나무를 안아보는 기자
부용정 8경의 하나인 노송나무보길도 세연정 앞 부용정 8경의 하나인 노송나무를 안아보는 기자이윤옥

보길도는 고산 윤선도를 빼고는 이야기할 수 없는 역사 현장이다. 그러나 땅끝마을 섬이다 보니 선뜻 다가서기도 쉽지 않은 곳임은 틀림없다. 그래도 그 섬에 우리가 가야 하는 것은 고산 윤선도의 삶의 자취를 오롯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우리문화신문에도 실립니다.

주요 지리정보

#윤선도 #보길도 #동천석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학박사. 시인.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한국외대 외국어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객원연구원, 국립국어원 국어순화위원,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냄 저서 《사쿠라 훈민정음》, 《오염된국어사전》,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시집《서간도에 들꽃 피다 》전 10권, 《인물로 보는 여성독립운동사》외 다수


AD

AD

AD

인기기사

  1. 1 은퇴로 소득 줄어 고민이라면 이렇게 사는 것도 방법 은퇴로 소득 줄어 고민이라면 이렇게 사는 것도 방법
  2. 2 남자를 좋아해서, '아빠'는 한국을 떠났다 남자를 좋아해서, '아빠'는 한국을 떠났다
  3. 3 서울중앙지검 4차장 "내가 탄핵되면, 이재명 사건 대응 어렵다" 서울중앙지검 4차장 "내가 탄핵되면, 이재명 사건 대응 어렵다"
  4. 4 32살 '군포 청년'의 죽음... 대한민국이 참 부끄럽습니다 32살 '군포 청년'의 죽음... 대한민국이 참 부끄럽습니다
  5. 5 소 먹이의 정체... 헌옷수거함에 들어간 옷들이 왜? 소 먹이의 정체... 헌옷수거함에 들어간 옷들이 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