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현습지가 가을로 물들어간다.
정수근
팔현습지에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팔현습지도 가을빛으로 성큼 물들어갑니다. 이 가을 팔현습지를 다시 찾지 않을 수 없는 이유입니다. 대구 동구 방촌동 강촌햇살교 좌우의 금호강이 이른바 팔현습지 핵심 구간입니다. 청석이 깔려 있고, 물길이 낮아 강촌햇살교에서 보면 강바닥이 훤히 보입니다.
완벽히 부활한 금호강의 가을 팔현습지
그 낮은 물길 속에 물고기들이 떼로 몰려다닙니다. 팔현습지에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야생의 존재들입니다. 누치떼가 은빛을 뽐내며 환상적인 장면을 연출해줍니다. 마치 금호강 팔현습지 환영 인사를 보내는 것 같습니다.
play
▲ 팔현습지 누치떼의 환영 인사 팔현습지로 들어가는 대구 동구 강촌햇살교에서 만나게 되는 누치떼의 화려한 군무 ⓒ 정수근
누치떼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피라미도 떼로 몰려다니고, 어른 팔뚝만한 큰 잉어들도 서너 마리씩 유영합니다. 다큐 <야생의 팔현습지> 예고편이라고나 할까요?
강촌햇살교를 건너 들어가면서부터 이곳이 가을로 물들어가는 것을 보게 됩니다. 인근 제봉의 줄기인 야트막한 야산들의 다양한 나무들이 단풍으로 물들면서 잎을 떨구고 있습니다. 예쁘게 꾸민 산책길을 버리고 하천숲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들어가면 원시 자연의 금호강을 만나게 됩니다. 인간이 손을 전혀 대지 않은, 금호강 물길과 신의 숨결이 만들어낸 금호강 원형의 모습입니다.
금호강 속으로 들어가면 맑은 강물 속에서 또 다른 야생의 존재들을 만납니다. 어른 손바닥 만한 민물조개 '대칭이'와 '말조개'. '펄조개' 그리고 재첩과 다슬기 같은 이른바 저서생물입니다. 이들의 존재는 금호강의 수질이 거의 2급수 이상으로 돌아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금호강은 사실 산업화의 아픔을 온몸으로 겪은 대표적인 하천입니다. 섬유산업이 발달한 이곳 대구의 본격적인 산업화 시기인 70~80년대 금호강은 시궁창을 방불케했습니다. 그 시절 금호강의 모습을 기억하는 많은 대구사람들에게 민물조개와 다슬기 같은 친구들이 사는 금호강의 모습은 경천동지한 변화일 것입니다. 금호강은 거의 '혁명적 변화'를 통해 거의 완벽히 부활했습니다. 그것을 증명하는 그 결정적 존재가 바로 이들 다양한 물고기와 저서생물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