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그라운드 제로에서 열린 9·11 테러 23주년 추모행사에 민주당과 공화당 거물 정치인들이 대거 참석했다. 왼쪽부터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조 바이든 대통령,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J.D 밴스 상원의원.
연합뉴스
미국 외교안보 정책의 근본적인 목표는 글로벌 패권 유지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의 확산, 그리고 강한 국방력은 이를 위한 수단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 국방부, 국무부, 중앙정보국(CIA) 등 주요 기관들은 미국의 국제적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일관된 전략을 추구해 왔으며, 이러한 방향성은 대통령이 누구냐에 따라 급격히 바뀌지 않는다.
이번 대선 토론에서도 트럼프와 해리스가 외교안보 정책에서 큰 차이를 보인 듯하지만, 사실은 공통점에 더 주목해야 한다. 두 후보 모두 미국의 국가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며, 강력한 국방력과 글로벌 영향력 유지를 중시한다. 예를 들어, 트럼프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빠르게 끝낼 수 있다고 주장하고, 해리스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동맹 보호를 강조하지만, 두 사람 모두 미국의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려는 점에서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트럼프는 관세를 통해 중국을 압박하고자 하며, 해리스는 트럼프식 관세정책의 인플레이션 악영향을 지적했지만, 결국 중국의 부상을 막아야 한다는 점에서 공감대를 이룬다. 이란 문제에서도 강경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입장은 같고 차이는 그 방식에 불과하다.
트럼프의 경우, 본인 집권 시 왕처럼 군림하며 워싱턴의 '기득권 카르텔'을 완전히 무너뜨릴 수 있을 것처럼 호언장담하지만, 오히려 트럼프와 그의 측근들이 포위되고 고립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은 미 대선 정국의 화려한 수사 이면에서 조용히 영향력을 행사하는 세력과 그들의 '침묵의 소리'에 주목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늘 아쉽게 생각하는 점은, 한국에서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을 논할 때 국무부보다 국방부와 CIA 같은 안보 및 정보 관련 기관들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는 점을 상대적으로 간과하는 것이다.
단적인 예로, 워싱턴 주요 싱크탱크의 한반도 전문가들의 경력을 살펴보면 된다. 대다수가 CIA나 국방부 출신이다. 이들도 한국의 정책 네트워크처럼 자금과 인적 관계로 얽혀있어 개인의 소신 발언이 어렵다. 따라서 그 정책 네트워크 전체 구조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대통령 교체로 쉽게 바뀌지 않는 시스템이다.
이들의 영향력에 의해 한미 간 가장 첨예한 이슈도 항상 안보 문제였다. 경제 문제조차도 본질적으로는 미국의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접근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이 개방형 통상 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의 패권 전략과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이 추진된 것이다.
바이든 정부의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도 마찬가지다. 이들 안보 및 정보 관련 종사자들의 오랜 목표다. 이는 특정 정부의 일시적 정책이 아니라, 국방부, CIA, 군산복합체, 그리고 이들과 긴밀히 연결된 워싱턴의 정책 네트워크가 중국 견제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미국 영향력 유지를 위해 추진하는 장기 계획이다. 따라서 트럼프와 해리스 중 누가 당선되든 지속될 전략이다. 한국의 외교안보 전략도 이러한 큰 틀을 이해한 바탕 위에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
윤 정부의 서툰 외교로 놓친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