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최근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개방형직위인 제주시장후보로 김완근 전 제주도의원을 지명한 가운데 고부건 변호사가 이에 대한 비판 의견을 보내왔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이 사안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환영합니다.[편집자말]
오영훈 제주지사가 지난 4월 16일 열린 제42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도정질문 과정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오영훈 제주지사가 지난 4월 16일 열린 제42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도정질문 과정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제주도의회 제공

관련사진보기

 
대권 지지율 1위를 달리던 이낙연이 무너진 것은 한순간이었다. 이낙연은 대선 14개월 전인 2021년 1월 이명박‧박근혜 사면건의를 불쑥 꺼냈다. "지가 뭔데 이명박‧박근혜 사면을 들먹이나?"라는 민주당 당원들의 비난이 빗발쳤다. 이후 이낙연은 속절없이 무너져내렸다. 그 당시 비서실장이 오영훈 현 제주도지사다.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신임 제주시장에 한나라당 출신 김완근을 지명했다. 발탁배경에 대한 설명이나 당원들의 양해를 구하는 과정은 당연히 없다. 그냥 그렇다면 그런 줄 알아야 한다. 

오영훈 지사는 보수진영과의 협치를 내세우겠지만, 이번 지명의 문제는 한둘이 아니다. 우선 대한민국 전체의 정치상황과 맞지 않다. 민주당 등 야권은 윤석열 정권과의 일전을 벼르고 있다. '윤석열 탄핵'이라는 말이 주요 정치지도자들의 입에서 거침없이 나온다. 과거에는 대통령 탄핵을 언급하면 역풍이 불었지만 지금은 역풍은커녕 좀 더 강하게 몰아붙이라는 요구가 빗발친다. 현 정국에서 여‧야간 협치가 들어설 공간은 없다. 이재명‧윤석열간 여야영수회담 실패가 이를 증명한다. 이런 상황에서 제주도지사가 한나라당 인사를 제주시장으로 기용하는 것은 전국적인 조롱거리가 될 뿐이다.

김완근은 보수진영을 설득할 힘이 없다
 
개방형직위인 제주시장 후보자로 지명된 김완근 전 제주도의원
 개방형직위인 제주시장 후보자로 지명된 김완근 전 제주도의원
ⓒ 제주도청

관련사진보기

 
국민의힘 제주도당 내부사정을 들여다봐도 이번 지명은 납득되지 않는다. 공천파동으로 도당위원장이 탈당하는 극심한 내분 상태인 국민의힘 제주도당은 민주당과의 협치는커녕 내분수습도 벅찬 상황이다. 내분 중인 국민의힘이 쓸 수 있는 카드는 외부의 적을 통해 내부결속을 도모하는 강경책 밖에 없다. 국민의힘은 협치를 할래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완근의 보수진영에서의 위치를 고려해도 이번 지명은 납득되지 않는다. 김완근은 국민의힘도, 미래통합당도, 자유한국당도, 새누리당도 아닌, 한나라당 출신이다. 도대체 언제적 한나라당인가? MZ세대들이 한나라당을 들어보기라도 했을까? 김완근은 보수진영을 설득할 힘이 없다. 

도정과제들을 둘러싼 갈등상황을 보아도 이번 지명은 납득되지 않는다. 제2공항, 월정리 동부하수처리장, 도두하수처리장, 양돈분뇨, 한화의 중산간 개발, 버스 준공영제 등 시민사회와 도정이 충돌하는 굵직한 도정과제들이 한둘이 아니다. 오영훈 지사가 진실로 협치를 원한다면 시민사회와 적극 소통할 수 있는 인물을 기용해야 한다. 

결국 이번 지명은 협치를 위한 것이 아니다. 오영훈 지사는 지난 2년간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한 일이 전혀 없다보니 2026년 재선 도전 시에 2022년 공약집을 그대로 베껴 써도 될 지경이다. 정당의 책무에는 차세대 정치지도자 발굴‧육성도 있다. 하지만 오영훈 지사는 유능하고 개혁적인 인물을 제주시장으로 기용하는 것이 두려워하는 것 같다. 오영훈이 유능한 지도자라면 라이벌들을 토론과 정치력으로 제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오영훈에게 그런 실력은 없다. 민주당 내에 그리고 시민사회 진영에 훌륭한 능력을 갖춘 인사는 많다. 그러나 오영훈 지사는 이들에게 기회를 줄 생각이 없다. 

지금 민주당원들은 속이 부글부글이다. 아예 오영훈 지사의 정체성을 의심하고 있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변호사입니다.


태그:#오영훈, #제주도지사, #인사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제주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변호사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