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창원시가 지난 95년부터 총 사업비 3500여억원을 들여 진행하고 있는 토월천 복개공사를 두고 마창환경운동연합과 지역주민들이 무자비한 복개공사는 결국 하천을 죽이는 일이라며 공사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창원시는 창원병원 앞 사거리 교통체증을 완화시킨다는 계획 아래 지난 94년부터 타당성 조사, 실시설계, 하천정비 기본계획심의, 여론수렴 등의 절차를 마치고 95년부터 토월동 시민생활체육관 앞에서 남천에 이르는 2562m에 대해 단계적인 공사를 추진, 현재 (구)상남시장까지 573m 1구간공사를 완료하고 지난 4월 25일 대우아파트 앞에서 창원대로에 이르는 718m 공사를 발주했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환경전문가들은 “하천을 콘크리트로 덮어놓으면 태양에너지 전달이 차단되어 먹이사슬이 깨지고 수질 악화로 인해 결국 하천은 하수구로 전락하여 마산만을 죽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며 복개공사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전흥만(58·창원시 상남동) 씨는 “창원시가 1차 공사를 마친 상남동 복개천은 겨울에도 수온이 상승하여 모기가 들끓는다. 이는 곧 완공될 복개천은 이미 태양에너지가 차단되어 각종 병균이 서식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라고 말하며 현재 진행 중에 있는 공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열변했다.

또 C대 생물학과 김모 교수는 “하천을 콘크리트로 복개하면 주변에서 흘러드는 생활폐수가 자연정화 되지 못해 썩은 하천으로 변한다. 또 콘크리트와 아스콘을 이용한 무분별한 도시개발이 가져다주는 부작용은 아무리 비가 많이 와도 토양으로 스며드는 물의 양이 적어 건기에 하천으로 물이 흐르는 기능이 약화된다. 따라서 생활폐수를 자연 정화시켜주는 기능 상실과 함께 하천은 더욱 죽어가며 생태공간을 잃어간다. 그렇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이미 완공된 복개시설도 철거하고 하천주변의 무분별한 개발을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마창환경연합 강종철 공동대표는 “건교부는 이러한 부작용을 인식하고 올해부터 하천복개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지만 창원시는 94년 당시 모든 절차를 마쳤기에 공사를 지속해야 한다는 답변으로 일관하고 있다.

창원시는 지금부터라도 관내 모든 하천에 대해 생태하천조성 기본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창원병원 앞 교통체증 완화를 위해서는 생태계 파괴를 억제하고 교통흐름도 원만하게 해결되는 효율적인 양면성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창원시 도시과 담당자는 “창원은 공업도시로서 공단근로자 약 7만여명이 출·퇴근 시 창원병원 앞 사거리를 경유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일대 교통정체는 날로 심각해져 주거지역과 공업지역 간 도로망을 확충하고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창원시는 지난 94년 모든 절차를 마치고 95년부터 공사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창원시는 환경단체와 시민들이 우려하고 있는 생태계 파괴 충고에 귀를 기울여 양면성 효과를 얻기 위한 공법(복개천 중간 길이 약 100m 환기구 절개)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도시의 삶을 고려하지 않는 무분별한 개발론적 정책집행이라고 생각하는 환경단체와 창원시의 뜨거운 공방은 점점 더 심화될 조짐이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은 경남연합일보 사회부기자로 사회 모순을 바로 잡기 위한 열망을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