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용 비닐봉투는 연간 150억 장이나 생산되지만 재활용율은 '0'에 가까워 토양과 대기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그러나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1회용 비닐봉투 분리수거'가 늑장 행정과 홍보 부족으로 시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아 대책이 시급하다.
환경부는 1회용 비닐봉투를 별도 수거해서 매립·소각되는 비닐봉투의 양을 줄이고, 비닐봉투를 경제성 있는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하자는 취지로 7월부터 '1회용 비닐봉투 분리수거'를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 말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 시행지침'을 개정하고 올해 5월 '1회용 비닐봉투 분리수거 추진지침'을 마련했다. 환경부의 당초 방침대로라면 지방자치단체 조례 개정이 끝나는 7월부터 1회용 비닐봉투 분리수거가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환경부와 지자체간 실무 협의가 늦어져 현재 서울시의 경우 18개 구에서만 이를 시행하고 있고, 대부분의 시민들도 비닐봉투가 분리수거 된다는 사실조차 잘 모르고 있다.
김인경(양천구) 주부는 "일반주택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비닐봉투를 별도로 수거해간다는 사실을 잘 몰라 여전히 종량제 봉투 안에 버리고 있다"면서 "우리 집에도 30여 개의 비닐봉투가 늘 쌓여 있는데, 지자체에서 이를 별도로 수거해간다면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자체에 비닐봉투 분리수거 세부 지침을 배포하고 행정적인 지원과 독려를 해왔지만 월드컵과 지방선거 등으로 시행이 늦어진 측면이 있다"며 "현장 문제가 개선 되는 대로 더 많은 지자체가 이 제도를 시행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1회용 비닐봉투는 연간 11만 톤, 장수로는 150억 장 생산되고 있으나 재활용 비율은 거의 '0'에 가까운 실정이다.
더욱 심각한 점은 비닐봉투가 땅 속에서 썩는 데만 100년 이상 걸리고, 소각한다해도 유해성분 '다이옥신'이 배출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일한 대책은 수거율을 높여 폐기량을 최소화하는 방법 밖에는 없는 셈이다.
행정이 늑장 부릴수록 우리 땅은 죽어가고 시민들의 호흡기는 암발병 위험에 노출된다는 사실을 관계당국은 직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