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즉 훈민정음은 언제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
훈민정음 머리 글에 보면 창제의 동기와 목적에 대해 밝혀 놓았다.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국지어음 이호중국 여문자불상유통)
故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고우민 유소욕언 이종부득신기정자다의)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여위차민연 신제이십팔자 욕사인인이습 편어일용이)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서 한자와는 서로 잘 통하지 못한다.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어도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것을 가엽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한다.)
이 말이 뜻하는 바는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하겠다. 그야말로 세종 임금이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그대로 들어있는 것이다. 또 그 속에는 민족의식을 깨닫고 있음이 드러난다.
그러면 이 훈민정음을 세종은 어떻게 창제하였을까?
세종실록에는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및 반포에 관한 극히 간단한 내용만이 들어있다. 하지만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의 상소문 등을 살펴보면 훈민정음 창제는 어려운 과정을 거친 것으로 추정된다.
세종이 한글 창제에 밤낮으로 고생한 나머지 안질이 나서 치료하기 위하여, 청주 초정에 가게 되었다고 한다. 그때 시종을 줄이고, 모든 절차를 줄이며, 정무까지도 다 정부에 맡겨 버렸는데, ‘훈민정음'의 연구는 요양하러 간 행재소에서까지 골몰하였다.
이렇게 각고의 노력 끝에 `훈민정음'이 25년 계해 겨울에 완성되었지만 곧 최만리 등의 격렬한 상소 등 반대가 크게 일어나 세종의 고심이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훈민정음의 창제는 세종 25년(1443년) 계해 12월이요, 그 반포는 그보다 3년 뒤인 28년(1446년) 병인 9월이다. 또 정인지의 해례 서문 가운데에 “癸亥冬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계해년(1443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정음 스물여덟 자를 처음으로 만드시어..)”라는 구절도 나오지만 정확한 반포일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
일부에서는 훈민정음이 독창적인 것이 아니라 단군3세 가륵임금 때인 기원전 2181년에 정음 38자를 만들어‘가림토(加臨土)’ 문자라고 명명하여 발표한 것을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을 시켜 다듬어 낸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훈민정음’이 ‘한글’로 된 까닭은?
한글은 세종이 28자를 반포할 당시 훈민정음이라 불렀다. 그런데 양반 식자층에서는 이 훈민정음을 천대하여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 암클, 아랫글이라고 했으며, 한편에서는 가갸글, 국서, 국문, 조선글 등의 이름으로 불리면서 근대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개화기에 접어들어, 언문이라는 이름은 ‘상말을 적는 상스러운 글자’라는 뜻이 담긴 사대주의에서 나온 이름이라 하여, 주시경 선생께서 1913년‘한글’이라는 이름으로 고쳐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조선어학회에서 훈민정음 반포 8회갑이 되던 병인년 음력 9월 29일을 반포 기념일로 정하여 처음에는 ‘가갸날’이라고 부르다가 1928년에 ‘한글날’이라고 고쳐 부르게 되면서부터 ‘한글’이 보편적으로 쓰여졌다고 한다. ‘한글’이라는 이름의 뜻은 ‘한나라의 글’, ‘큰글’, ‘세상에서 으뜸가는 글’등으로 풀이된다.
한글의 특징
한글이란 세종이 창제한 훈민정음이며, 우리 겨레가 쓰는 글자로 반포 당시에는 28글자였으나 현재는 "촵咬壙胱" 등 4 글자는 쓰지 않고 24 글자만 쓴다. 한글의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든 과학적인 글자이다. 즉 닿소리(자음)는 소리를 낼 때 발음기관의 생긴 모양을 본뜨고, 홀소리(모음)는 하늘(·)과 땅(ㅡ)과 사람(ㅣ)을 본떠서, 글자가 질서 정연하고 체계적인 파생법으로 만들어 졌다.
둘째, 독창적인 글자이다. 지구상에 있는 대부분의 글자는 오랜 세월에 걸쳐 복잡한 변화를 거쳐 현재의 글자로 완성되었거나, 남의 글자를 흉내 내거나 빌린 것(일본의 ‘가나’, 영어의 ‘알파벳’)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한글은 세종이 각고의 노력 끝에 독창적으로 만든 글자이다.
셋째, 한글은 가장 발달한 낱소리(음소) 글자이면서 음절 글자의 특징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한글은 글자 하나하나가 낱소리(하나의 소리)를 표기하는 것이다. 홀소리와 닿소리 음을 합치면 하나의 글자가 되고, 여기에 받침을 더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글은 그 구성 원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배우기가 대단히 쉽다.
또 한글은 글자 그대로 읽을 뿐 아니라, 인쇄체나 필기체 등이 따로 없다. 그러나 영어는 인쇄체와 필기체가 서로 다르고,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이 있으며, 글자대로 읽지 않는다. 그런 이유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나라이다.
넷째, 한글은 배우기 쉬운 글자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있는 정인지의 꼬리글에는 "슬기로운 사람은 아침을 마치기도 전에 깨칠 것이요, 어리석은 이라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고 써 있을 정도이다.
다섯째, 글자를 만든 목적과 만든 사람, 만든 때가 분명한 글자이다. 현재 세계에는 5000여개(20세기 초에 프랑스 한림원(Academia de France) 에서는 세계의 언어를 2796개로 보고함)의 말이 있고, 이 중 100여 개 만이 글자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글자들도 모두 만든 목적과 만든 사람 그리고 만든 때를 모르고 있다.
여섯째, 글자 쓰기의 폭이 넓다.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바람 소리, 학 소리, 닭 우는 소리, 개 짓는 소리까지 무엇이든지 소리 나는 대로 글자로 쓸 수 있다"고 하였다. 한글 총수는 1만 2천 7백 68자로, 세계에서 제일 많은 음을 가진 글자이다.
재미동포 박춘양님이 발표한 것을 보면 한글로 영어발음을 90%이상 표기할 수 있고, 소리의 표현을 8800개나 적을 수 있다고 한다. 이에 비해 일본어는 300개, 중국말(한자)은 400여개 정도로 우리말의 표현력이 무려 20배가 넘는다.
이 외에 문법적인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얘기된다.
첫째, 닿소리에 있어서 예사소리(보통소리), 거센소리<숨이 거세게 나오는 파열음 : 국어의 'ㅊ', 'ㅋ', 'ㅌ', 'ㅍ' 등. 한자말≒격음(激音)>, 된소리<후두(喉頭) 근육을 긴장하거나 성문(聲門:목청문)을 폐쇄하여 내는 'ㄲ', 'ㄸ', 'ㅃ', 'ㅆ', 'ㅉ' 따위의 소리 한자말≒경음(硬音)>의 차이가 분명하다. 둘째, 임자말(주어)이 잘 생략되고, 높임말(경어)이 발달돼 있다. 셋째, 국어는 몽골어와 같이 주어+목적어+서술어형의 어순으로 형성된다.
그런가 하면 한글의 특징을 도형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경우도 있다.
그 이론에 의하면 한글이 점.선.면으로 이루어진 조형언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예가 자음의 맨 끝자인 "., -, ㅇ"의 집합체 "ㅎ"에 있다고 한다. 이것은 직선(線)을 갖고 묘사할 수 있는 모든 형식을 표현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ㄱ"에서 "ㅍ"까지는 변화의 세계를 묘사하였다고 본다. 점, 선, 면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모든 양상을 표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모음에서 보이는 변화의 양상도 우리가 이점은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가 문자체를 하나 더 만들고자 하였을 경우 더 이상 만들 여지가 없을 만큼 모음형식을 완벽하게 조형화 하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외국인도 극찬하는 한글의 우수성
그러면 우리만 한글을 우수한 것으로 주장하는지, 외국에서는 한글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살펴보자.
유네스코(UNESCO)에서는 한글을 인류가 발명하거나 발전시킨 세계적 기록 문화유산으로 공인하였을 뿐 아니라 '세종대왕 문맹퇴치상(King Sejong Litercy Prize)'을 제정하여 해마다 세계 문명퇴치에 공이 큰이들에게 주고 있다.
미국에 널리 알려진 과학전문지 디스커버 지 1994년 6월호 「쓰기 적합함」이란 기사에서, ‘레어드 다이어먼드’라는 학자는‘한국에서 쓰는 한글은 독창성이 있고, 기호 배합 등 효율면에서 특히 돋보이는 세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문자이며, 또 한글이 간결하고 우수하기 때문에 한국인의 문맹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다.’라고 극찬한 바 있다.
또 소설 『대지』의 유명한 여류작가 ‘펄벅’은 한글이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하며,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하였고, 세종대왕을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극찬하였다.
미국 시카고(Chicago) 대학의 세계적인 언어학자 맥콜리(J. McCawley) 교수는 20여 년 동안이나 동료 언어학자들과 학생들, 친지들을 초대해서 한국음식을 차려놓고, 한글날을 기념하고 있다고 한다. "세계 언어학계가 한글날을 찬양하고, 공휴일로 기념하는 것은 아주 당연하고, 타당한 일이다."고 그는 말한다.
유명한 동아시아 역사가인 하버드대학 라이샤워(O. Reichaurer) 교수는 그의 저서에서 "한국인들은 전적으로 독창적이고 놀라운 음소문자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세계 어떤 나라의 문자에서도 볼 수 없는 가장 과학적인 표기 체계"라고 말했다. 또 네델란드의 언어학자 보스(F. Vos) 교수는 그의 한국학 논문에서 "한글이야말로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문자"라고 평했다.
저명한 언어학자인 영국의 샘슨(G. Sampson) 교수는 "한글이 과학적으로 볼 때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글자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무엇보다도 한글은 발성기관의 소리내는 모습을 따라 체계적으로 창제된 과학적인 문자일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문자 자체가 소리의 특질을 반영하고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 외에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생리학자이며, 프리처상 수상자인 다이아몬드(J. Diamond) 교수, 일본 도꾜 외국어대 아세아 아프리카 연구소장인 우메다 히로유끼(梅田博之) 교수, 독일 함부르크 대학에서 한국학을 강의하는 삿세(W. Sasse) 교수, 파리 동양학 연구소의 파브르(A. Fabre) 교수, 미국 매릴랜드 대학 언어학과 램지(R. Ramsey) 교수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석학들이 한글을 극찬하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1986년 5월, 서울대학 이현복 교수는 영국의 리스대학의 음성언어학과를 방문하였다. 그때 리스대학의 제푸리 샘슨(Geoffrey Sampson) 교수는 한글이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글자를 만들었다는 것도 독특하지만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음성학적으로 동일계열의 글자를 파생해내는 방법(‘ㄱ-ㅋ-ㄲ’)은 대단히 체계적이고 훌륭하다고 극찬하였다고 전한다. 또 샘슨 교수는 한글을 표음문자이지만 새로운 차원의 자질문자(feature system)로 까지 분류하였다고 한다.
맺는 말
지금 대기업들은 세계화와 마케팅 논리에 파묻혀 기업의 이름을 영문자화 하고 있는 추세이다. 선경이 ‘SK’로 바꾸더니 한국통신은 ‘KT’로, 포항제철은 ‘POSCO’로, 삼보컴퓨터는 'TG'로 바꾸었다.
그런가 하면 한국인들에게 하는 광고에서도 그들의 구호는 영문이다. SK가 ‘OK SK'라고 해서 좀 덕을 보는 듯하니까 이젠 KT는 ’Let's KT'로, LG는 ‘Wlth LG’로 하는데 영어를 모르는 사람들은 전화도 쓰지 말아야 할까? 마케팅 전문서적을 보면 섣불리 이니셜로 상호를 바꾸면 역효과가 생길 수도 있다고 하는데 대기업들은 왜 이렇게 영문자를 좋아하는지 걱정스럽다.
지금 일부에서는 한글을 세계공용어로 하자는 운동을 하는 이도 있다. 미국이 세계를 온통 지배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난망할 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려해 볼 값어치도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내가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 겨레의 문화 중 가장 위대한 것을 꼽으라는 질문에 한글을 선택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그런데도 실제로는 한글이 우리 겨레에게서 푸대접받고 있다고 생각하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글은 그야말로 세계의 저명한 언어학자들이 격찬하는 큰 글이다. 이 큰 글을 가진 우리는 긍지를 가져야 될 일이다. 제발 잔칫상을 차려주니까 제 발로 차버리는 어리석음을 이젠 버려야 한다.
덧붙이는 글 | 한글학회 : http://www.hangeul.or.kr/index.htm
한글재단 : http://www.hangul.or.kr/
한글문화연대 : http://www.urimal.org/
우리말 배움터 : http://urimal.cs.pusan.ac.kr/edu_sys_new/frame2.asp
‘잘난척과 무식이 빚어낸 '한글 죽이기', 김영조, 오마이뉴스,
‘한글날을 문화국경일로!, 김영조, 오마이뉴스,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