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어느 날, 나는 휴전선이 가까운 전방 어느 마을 들머리 고갯마루 초소에서 경계 근무를 서고 있는데 멀리서 불빛이 반짝거렸다. 그 불빛은 점차 고갯마루 초소를 향해 다가왔다.
그것은 마을 사람의 등불이었다. 그 무렵 전방 지대에서는 야간 통행 때는 반드시 등불이나 플래시를 들고 다니게 홍보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계 근무자로서 아무리 마을 사람이라도 경계를 게을리 할 수는 없다. 간첩이나 무장 공비가 불을 켜고 다닐 리야 없을 테지만, 만에 하나 역으로 허를 찔릴 수도, 또 상급 순찰자일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초소에 가까이 다가온 분은 뜻밖에도 일흔은 넘겼을 듯한 할아버지였다.
“할아버지, 이 밤중에 어딜 가세요?”
“군인 양반들 수고가 많아. 그냥 여기까지 왔어. 문산에 간 자식 놈이 여태 오질 않아서.”
“네, 그러세요. 할아버지 밤길에 조심하세요.”
“고맙소. 이 길은 원체 발에 익은 길이라서.”
마침 나도 무료하던 터라 초소 밖으로 나와서 할아버지와 이런저런 얘기를 나눴다. 주로 마을의 내력과 한국전쟁 때의 얘기들이었다. 한 삼십여 분 지났을 무렵 반대편 고갯길에서 플래시 불빛이 번쩍하고 인기척이 들렸다.
“아비냐?”
꽤 떨어진 거리였건만 할아버지는 육감으로 당신의 아들임을 알아차렸다.
“네, 아버님. 주무시지 뭐 하러 나오셨어요.”
아들의 목소리가 눅눅한 밤공기를 타고 들려왔다.
곧장 아들이 잔걸음으로 성큼 다가왔다. 내 예상과는 달리 아들은 쉰은 넘은 듯했다.
“잠도 오질 않고 바람도 쐴 겸 나왔다. 왜 이렇게 늦었냐?”
“놀다가 보니까 차가 끊어져 그냥 쉬엄쉬엄 걸어 왔어요.”
그들 부자는 곧장 초소를 떠났다. 등불을 든 아버지가 앞서고 아들이 뒤따랐다.
“군인 양반들 수고하시오.”
“네, 살펴 가십시오.”
나는 다시 초소로 들어가서 총구를 통해 그 등불이 사라질 때까지 부자의 뒷모습을 지켜보았다. 벌써 삼십여 년 전의 일이건만 아직도 그 선연한 아버지의 등불이 내 뇌리에 아름답게 남아 있다.
아들을 기다리는 아버지의 등불
내 어린 시절, 또래 친구 가운데에는 아버지가 없는 아이들이 여럿 있었다. 대부분 그들 아버지가 한국전쟁 때 돌아가셨지만, 어떤 친구는 자기 아버지가 그때까지도 일본이나 만주에 계신다고 했다.
많은 세월이 지난 후에야 알게 됐지만, 그런 아버지들은 거지반 자의나 타의로 공산정권에 부역했다가 보복이 두려워 후퇴하는 인민군을 따라 월북했거나, 어디서 전사했을지도 알 수 없는 행방불명이 된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런 얘기는 내놓고 할 수 없던 시절이라, 아버지를 찾는 아이에게 어른들은 네 아버지는 일본에 계신다, 또는 만주에 계신다고 둘러댔다.
그 무렵 사회 분위기로서는 공산주의나 사회주의에 가담한 사람이라면 인간 백정이나 머리에 뿔이 달린 흡혈귀로 여겨졌으니 어린아이에게 곧이곧대로 얘기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내 외가의 어떤 분은 한국전쟁 무렵 처음은 의용군으로 참전했다가 후퇴 길에 집에 돌아왔다가 나중에는 국군으로 입대해서 제대한 분도 있었으니, 동족상잔의 전쟁이 만들어 낸 웃지 못할 사연은 너무나도 많다.
또, 자식들이 양편으로 나뉘어 싸우다가 전사하거나 장애자가 된 일도 있으니, 부모는 어느 자식 편을 들어야 할지, 그저 하늘만 쳐다보며 시절을 원망할 뿐이었다. 어리석은 백성들은 시대 분위기에 따라, 총칼 앞에 이리 휩쓸리고 저리 휩쓸렸다.
우리집 이웃에 목수인 김 영감이 있었다. 그분의 맏아들이 한국전쟁 때 부역을 하다가 유엔군이 대 반격을 하자 행방불명이 됐다.
어떤 마을 사람들은 북으로 넘어갔을 거라고도 했고, 다른 이는 후퇴하던 가운데에 B-29 제트기의 융단 폭격에 죽었을 거라고도 했다. 하지만 시신을 거두지 못한 김 영감은 아들의 죽음을 쉽게 인정치 않았다.
휴전이 된 후에도 날이면 날마다 아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살았다. 낮보다는 밤에 더 기다렸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그 집 대청 기둥에는 밤이면 늘 등불이 켜져 있었다.
그렇게 기다리기를 수십 년, 그 아들은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그래도 김 영감은 포기하지 않았다. 제발 아들이 살아서 당신 생전에 다시 만나는 걸 삶의 최대 목표로 삼았다.
소문에 따르면 김 영감은 당신 아들이 제발 살아서 간첩으로라도 내려오길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 아들을 꼭 붙들어 관계 당국에 자수시켜서 죗값을 치른 후 함께 살고자 했다. 간첩으로 내려온다면 환한 대낮에 올 리가 없을 테니, 그 아들이 한밤중에 집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등불을 밝혀 두었던 것이다.
그렇게 아들을 기다리기 50여 년, 그동안 오매불망 아들을 기다리던 할머니, 남편을 기다리던 며느리는 그리움이 병이 되어 먼저 이승을 떠났다. 그 후 김 영감은 손자 손부와 함께 살며 오직 아들을 만날 그날을 학수고대하며 살았다.
5년 전 내가 고향에 갔을 때도 김 영감은 옛 집터에 새 집을 짓고 아흔의 고령임에도 건강하게 지내고 계셨다. 손자의 말을 들어보니 그 즈음도 식사를 잘하시고 이따금 당신의 건강을 위해 금오산에 올라 약초와 산채를 뜯어다가 드신다고 했다. 당신만은 아들을 꼭 만나야 눈을 감을 수 있다는 집념으로 강인한 삶을 사셨나 보다.
지난 해 서울에 온 김 노인 손자를 만났더니 몇 달 전에 돌아가셨다고 했다. 진작 할아버지가 남긴 유언은 집은 새로 짓거나 고쳐 살더라도 이사는 가지 말 것, 또 문패는 항상 크게 달아 둘 것, 그리고 전기료가 들더라도 밤에는 꼭 외등을 켜 두라고 했다 한다.
이상의 실화(實話)에서 아버지의 등불은 어두운 밤길을 걸어오는 자식의 앞길을 비춰주는 사랑의 등불로, 생사를 모르는 자식을 무작정 기다리는 희망의 등불로 험한 세상을 밝혀주고 있다.
이 세상에서 아버지의 등불이 꺼지지 않는 한 인류의 앞날은 밝을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박도 기자가 최근에 펴낸 ≪아버지의 목소리≫에 실려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