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5일 오후3시 충남대에서 진행된 대청호살리기 운동본부 2003 정책워크샵
15일 오후3시 충남대에서 진행된 대청호살리기 운동본부 2003 정책워크샵 ⓒ 정세연
대청호 하수처리율이 전국 평균(73.2%)에 크게 못 미치는 40.8%에 불과해 고도하수처리 시설 설치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오후 3시 충남대 정심화 문화회관에서 열린 대청호살리기운동본부(이사장 이광진, 이하 운동본부) 정책워크샵에서 이상태 부장(한국수자원공사 댐관리처 환경관리부)은 “댐유역 하수처리율 제고를 위한 공동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부장은 “대청호의 하수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조류발생이 심화되고 수질이 3급수에 육박하고 있다”며 "기존 하수처리시설의 고도처리시설 설치 및 우하수 분리차집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장은 이어 대청호 수질개선을 위해 환경청, 시민단체, 지자체, 주민, 수자원공사가 참여하는 '공동 오염감시 체제 구축'과 민관이 협력하는 '우리강 살리기 사업' 등을 제안했다.

대전경실련 이광진 사무처장은 ‘대청호 수질개선을 위한 중하류 지역의 역할'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대청호 오염원을 제거하고 대청호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이해 당사자인 지역 주민의 관심과 노력을 전제로 한 합의가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지역민가 함께 하는 대청호 살리기 운동을 강조했다.

대청호살리기 운동본부 이광진 이사장
대청호살리기 운동본부 이광진 이사장 ⓒ 정세연
운동본부 보은옥천영동네트워크의 염 우 사무국장은 “보은옥천영동네트워크는 지난 2002년 주민참여형 감시활동체계 구축으로 상류지역 주민들을 수질보전활동의 주체로 세우고 주민감시활동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염 처장은 이어 “하지만 주민하천감시원들에 대한 교육 부족, 팀웍 부족으로 인한 편차 발생, 하천조사활동에 국한되는 한계가 나타났다”며 “다양한 영역으로 활동을 확대,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밭대 유병로 교수는 대청호 수질개선을 위한 올해 주요 사업과제로 지역환경지도 제작, 지천살리기 시민운동 등 주민참여 사업과 대안문화운동을 제안했다.

운동본부 정책분과 정종관 위원은 올해 집중과제로 '대청호 의제21 작성, 우수시책 발굴 대회, 대청호 환경 탐사' 등을 제안했다.

운동본부는 이 같은 논의 결과를 토대로 오는 2월 정기총회를 통해 사업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대청호 상하류 주민 "수질 불만족"
상류주민 "쓰레기 투기", 하류주민 "음식점 오폐수" 원인 꼽아

대청호 주변 주민의식 조사 결과 상.하류 주민 절반 가까이(48.2%)가 대청호 수질에 대해 ‘매우 불만족’(9%)하거나 ‘불만족’(39.2%)’ 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우 만족’(0.8%) 또는 ‘만족’(7.3%)한다는 답변은 8.1%에 불과했다.

이같은 내용은 대청호살리기운동본부 정책연구조사 분과가 지난해 말 대청호 수변 주민(480명)을 상대로 벌인 의식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대청호 수질오염의 가장 큰 원인으로 상.하류 주민 모두 생활오폐수(36.5%)를 꼽았지만 상류 주민들은 ‘행락객 쓰레기 투기’를, 하류 주민들은 ‘숙박 및 음식점의 오폐수’를 두 번째 원인으로 들어 상하류지역간 오염발생에 대한 책임소재를 달리 생각하고 있었다.

대청호 수질개선을 위한 우선 과제로는 상하류 주민 모두 ‘환경기초시설 확충’을 들었다. 하지만 하류 주민들은 상류 주민들보다 ‘단속과 규제의 필요성’을 중시한 반면 상류주민들은 ‘홍보 및 교육’을 선호했다.

주민들은 ‘금강특별법에 대해 절반이상(52.3%)이 ’모른다’고 답했는데 특히 하류지역 주민들에게서 그 답변비율(65.7%)이 높았다.

하지만 하류주민들의 78.7%가 수질 개선을 위해 물 이용 부담금을 내겠다고 응답했고 상류주민 절반 가까이가 물부담금 사용처를 ‘환경기초시설 운영자금’으로 쓰여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 정세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