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미국의 <뉴욕타임즈>는 3월 6일자 3면(국제면)에서 <오마이뉴스>를 메인 기사로 보도했다. 하워드 프렌치 기자가 서울발로 보낸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의 설립과 지난 대선에서의 활동, 노무현 대통령과의 관계, 그리고 오연호 대표기자를 인터뷰한 내용이 소개됐다. 한국의 <오마이뉴스> 독자나 뉴스게릴라들에게는 그다지 새로운 것이 없지만, 미국 언론인의 눈에 비친 <오마이뉴스>를 전하기 위해 그 전문을 번역한다. = 역자 주)

▲ 3월 6일자 <뉴욕타임스> A3면에 실린 <오마이뉴스> 관련 기사
“인터넷 신문이 한국 정치 뒤흔든다” (하워드 프렌치)

한국은 하루아침에 보수에서 자유로, 노인지배에서 젊은 문화로, 견고한 친미에서 요동하는 우방 정도로 변해 버렸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그 이유가 무엇인지 토론될 것이다.

그런 변화의 상징으로 흔히 지난 12월 대선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된, 한국 정계 기준으로는 청년에나 해당할 56세의 적의없고 꾸밈없는 스타일의 개혁성향의 변호사 노무현이 꼽히곤 한다. 하지만 사실 그보다 더 중요한 변화의 동인은 인터넷이다.

어떤 면에서 한국은 세계에서 인터넷망이 가장 발달한 나라다. 전가구의 70퍼센트 정도가 브로드밴드로 인터넷에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작년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한국의 수구 신문보다는 재기발랄한 인터넷 매체를 통해 선거 정보와 정치 해설을 읽는 사람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해 온 것이 바로 올해로 창립 3년을 맞는 <오마이뉴스>라는 다소 이례적인 이름의 신문이다.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이 신문은 대선 기간 중 하루 2천만 페이지뷰를 기록하곤 했다.

이후 다소 분위기가 가라앉았지만 요즘도 하루평균 페이지뷰가 1400만 회이다. 한국인구가 4천만에 불과한 것을 생각하면 놀랄만한 숫자다.

모두 4명의 직원으로 출발했던 이 신문은 사실 올해 38세인 오연호 대표의 눈에 어렸던 희미한 빛이 실현된 것이다. 오연호 대표는 한국의 오랜 독재정권 시절, 진보적 지하잡지(월간 <말>...편집자 주)에 글을 써온 사람으로 언론계에서는 그저 말썽꾼(rabble rouser)정도로 알려져 있던 사람이었다.

<오마이뉴스>라는 이름은 영어 표현 "오 마이 갓!"을 변형시킨 것인데, 2000년 회사 창립 당시 한 코미디언(김국진...편집자 주)이 유행시켰던 말이다.

지금은 직원수가 41명에 이르지만, 전자신문이라는 이례적 개념으로 출발한 이 신문은 처음부터 기사의 대부분을 전국에 산재한 독자 겸 시민기자들의 기고에 의존했다. 그들은 지역 행사와 개인의 대소사로부터 국정 전반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를 빠짐없이 취재해 왔다.

상근기자가 작성하는 기사는 전체의 20퍼센트 뿐이다. 컴퓨터 집계를 보니까 지금까지 약 1만명 이상의 시민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사는 기사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 각 기사를 내용에 따라 등급을 매기며, 스트레이트 기사들은 편집자들이 그 사실성을 확인한다. 시민기자들은 기사에 대한 소정의 원고료를 받는데, 액수는 기사 등급에 따라 달라진다. 기사의 등급은 임학(사실은 장작때기) 용어(forestry terminology)를 빌어서 “생나무”에서 “잉걸”까지로 매겨진다.

"제 목표는 모든 시민이 기자라는 개념으로 20세기형 한국 언론을 청산하는 것입니다." 끊임없이 울리는 핸드폰을 받느라 바쁜, 깡마르고 열정적인 오연호 대표의 말이다. 그는 신문 이름이 자신의 이름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주장했다.

"저는 항상 직업기자들의 언론문화가 망쳐 놓은 우리 언론을 되살리고 싶었습니다. 돈이 없었기 때문에 게릴라 전술이 가능한 인터넷을 사용하기로 했지요."

그런 새로운 저널리즘인 <오마이뉴스>의 '직접성'은 지난 1월말 대구에서 발생한 지하철 방화 참사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됐다. 당시 200여명이 사망한 이 사고에 대한 '따끈따끈한' 기사가 대구 중심가에서 근무중이던 한 소방관 기자로부터 송고됐던 것이다.(당시 대구 참사에 대해 글을 쓴 소방관은 대구에 근무한 사람은 아니었음...편집자 주)

<오마이뉴스>가 한국 정치문화에 더 큰 영향을 준 것은 지난해 여름에 발생했던 두 여중생 사망 사건이다. 당시 <오마이뉴스>는 순찰중인 미군 장갑차에 깔려 숨진 두 소녀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오마이뉴스>의 보도가 나가자 과거라면 무시해 버리고 말았을 그 사건에 대해 주류 언론 매체들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그 이후의 이야기는, 그들 말대로, 역사가 됐다. 가을에서 겨울까지 이르는 동안 주한미군에 반대하는 일련의 시위가 눈덩이처럼 불어났고, 마침내 거대한 국민 운동으로 자리잡았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 국민 운동이 노무현 후보에게 큰 힘이 됐었다고 보고 있다. 신임 대통령은 그때까지만 해도 별로 알려지지 않았었고 세 명의 주요 대통령 후보 중에서도 3위에 처져있었다.

아무도 (여중생들을 위한 촛불시위와 노무현 후보의 약진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해도, 아마도 노무현 후보는 그걸 이해한 것 같았다. 그래서인지 선거 후 노무현 당선자는 다른 한국 언론 매체를 제쳐두고 <오마이뉴스>와 첫 번째 단독 기자회견을 가졌다.(If no one else caught on to this link, Mr. Roh appears to have. After his election, he granted OhmyNews the first interview he gave to any Korean news organization.)

오연호 대표에게 여중생 사망 사건은 그의 첫 야심작, 노근리 사건 보도의 메아리로 볼 수도 있다. 1994년, 이름없이 자유기고 언론인(당시 월간 <말> 기자였음...편집자 주)으로 일했던 오연호 사장은 한국전쟁 중인 1950년 여름 한 철도 밑 터널 아래서 미군이 남한 피난민에게 발포해 대량학살을 자행한 노근리 사건을 발굴해 보도했다.

당시 이 보도가 나간 뒤 한국 언론들은 그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다. 그로부터 5년 후 AP통신은 그 사건과 관련된 미군 병사들을 취재 보도해 퓰리쳐상을 받았다.

"미국 언론이 그 이야기를 거론하니까 비로소 한국 주류 신문들도 노근리 사건에 대해 기사를 내보내더군요. 마치 그게 막 나온 뉴스인 것처럼 해서 말이지요." 오연호 대표의 말이다. "그때 보수 80퍼센트에 진보 20퍼센트라는 한국 언론의 심한 불균형을 깨달았습니다. 그 불균형은 바로잡아야 합니다. 제 목표는 50대 50입니다."

노근리 기사를 발표한 후, 오연호 대표는 석사학위를 위해 미국 유학을 떠났다. 팻 로버트슨이라는 복음주의 목사가 총장으로 있던 버지니아주 버지니아 비치 소재 리전트 대학에서였다. 그의 학교 선택은 좀 이상해 보였다. 그러나 오연호 대표는 그게 나름대로 의도된 선택이었다고 한다.

"로버트슨 목사님과 저는 기질과 이념이 아주 달랐지만 전략 면에서는 비슷했습니다." 미국 체류 중 진지한 기독교인이 됐다는 오연호 사장의 말이다. "우익인 그들은 그들이 자유주의적이라고 보는 (미국 주류) 언론 매체를 무너뜨리고 싶어했습니다. 반대로 저는 (한국의 주류인) 우익 언론매체를 무너뜨리고 싶어했지요. 그들에게서 많이 배웠습니다."

<오마이뉴스>가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보수는 다른 주류 신문사 기자들보다 적다. 그러나 그들의 사기는 아주 높아 보인다.

여중생 사망 사건을 보도하는데 기여한 31세의 손병관 기자는 "가는 데마다 '얼마나 받느냐?'는 질문을 받는다"면서, "여기서 일하느라고 월급이 30퍼센트는 줄었지만 크게 만족한다. 회사가 유명해진 덕분에 나도 유명해 졌고, 더구나 내 기사가 진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NYT, 3/6/2003
"Online Newspaper Shakes Up Korean Politics"
By HOWARD W. FRENCH

SEOUL, South Korea - For years, people will be debating what made this country go from conservative to liberal, from gerontocracy to youth culture and from staunchly pro-American to a deeply ambivalent ally, all seemingly overnight.

For most here, the change is symbolized by the election in December of Roh Moo Hyun, a reformist lawyer with a disarmingly unfussy style who at 56 is youthful by South Korean political standards. But for many observers, the most important agent of change has been the Internet.

By some measures, South Korea is the most wired country in the world, with broadband connections in nearly 70 percent of households. In the last year, as the elections were approaching, more and more people were getting their information and political analysis from spunky news services on the Internet instead of from the country's overwhelmingly conservative newspapers.

Most influential by far has been a feisty three-year-old startup with the unusual name of OhmyNews. Around election time the free online news service was registering 20 million page views per day. 

Although things have cooled down a bit, even these days the service averages about 14 million visits daily, in a country of only about 40 million people.
The online newspaper, which began with only four employees, started as a glimmer in the eye of Oh Yeon Ho, now 38, a lifelong journalistic rabble rouser who wrote for underground progressive magazines during the long years of dictatorship here. 

Its name, OhmyNews, a play on the expression "Oh my God!" which entered the Korean language by way of a comedian who popularized it around the time the online service was founded in 2000.

Although the staff has grown to 41, from the beginning the electronic newspaper's unusual concept has been to rely mostly on contributions from ordinary readers all over the country, who send dispatches about everything from local happenings and personal musings to national politics.

Only 20 percent of the paper each day is written by staff journalists. So far, a computer check shows, there have been more than 10,000 other bylines. 

The newspaper deals with questions of objectivity and accuracy by grading articles according to their content. Those that are presented as straight news are fact-checked by editors. Writers are paid small amounts, which vary according to how the stories are ranked, using forestry terminology, from "kindling" to "rare species."

"My goal was to say farewell to 20th-century Korean journalism, with the concept that every citizen is a reporter," said Mr. Oh, a wiry, intense man whose mobile phone never stops ringing ?and who insists his name has no connection with the 
newspaper's. 

"The professional news culture has eroded our journalism," he said, "and I have always wanted to revitalize it. Since I had no money, I decided to use the Internet, which has made this guerrilla strategy possible."

The kind of immediacy this brand of journalism can bring to a story was brought home again in late January by the dispatches of a firefighter from the central city of Taegu, who sent gripping accounts of the subway arson disaster there, 
which killed nearly 200 people.

More pertinent to the impact OhmyNews has had on the country's political culture were reports the service ran last summer after two schoolgirls were crushed to death by a United States Army armored vehicle on patrol. 

OhmyNews's reports of the incident were widely seen as forcing the hand of the mainstream media to pay attention to a story that conservative tradition here suggests they might have been inclined to ignore.

The rest is, as they say, history: a series of demonstrations against the Army presence here snowballed in the fall and winter, becoming a huge national movement that many see as having propelled the candidacy of Mr. Roh.

The new president was, until then, a relative unknown and third in a field of three major candidates. If no one else caught on to this link, Mr. Roh appears to have. After his election, he granted OhmyNews the first interview he gave to any Korean news organization.

For Mr. Oh, the story of the American military accident had echoes of one of his first big scoops, a story he wrote as a little-known freelance journalist in 1994 on the No Gun Ri incident, a reported massacre of South Korean refugees by United States military forces who opened fire on them at a railroad trestle in the summer of 1950, during the Korean War.

The South Korean press made almost no mention of his reports after he broke the story, but five years later The Associated Press wrote about the incident, winning a Pulitzer Prize for its subsequent investigation with American Army veterans. 

"Once the American media picked up the story, our mainstream newspapers wrote about No Gun Ri as if it was a fresh incident," Mr. Oh said. "This made me realize that we have a real imbalance in our media, 80 percent conservative and 20 percent liberal, and it needed to be corrected. My goal is 50-50."

After he broke the No Gun Ri story, Mr. Oh went away to school in the United States, earning a master's degree at the conservative, explicitly Christian Regent University in Virginia Beach, Va., whose president is the evangelist pastor Pat Robertson. It might have seemed like an unlikely choice, but Mr. Oh said it was deliberate.

"Pat Robertson and I are very different in temperament and ideology, but we are very similar in strategy," said Mr. Oh, who became what he calls a serious Christian during his stay in the United States. "They are very right-wing and wanted to overthrow what they saw as a liberal media establishment. I wanted to overthrow a right-wing media establishment, and I learned a lot from them."

Although OhmyNews pays its staff less than reporters earn at the top South Korean newspapers, morale appears to very high. 

"Wherever I go, people ask me, `What about the pay?' " said Son Byung Kwan, 31, a reporter who helped break the story about the American soldiers' accident. "I took a 30 percent pay cut to work here, but things couldn't be better. My company is so famous that I have become well known, and best of all, my stories have real impact."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