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신: 30일 오후 4시>
"정말 죽을 각오를 하고 나왔다!"
250여명의 노점상인들, 청계고가 진입 시도
청계천 노점상 생존권 사수 투쟁위원회는 서울시의 대책없는 청계천 복원 사업을 비판하는 집회를 벌였다.
집행 위원장 김종상(41)씨는 "복원 이후 거대 자본이 투입되면 영세 빈민 상인들은 과연 어떻게 살아나겠는가? 정말 분노가 차오른다"며 열변을 토했다.
경기가 안 좋아 가곗세를 못 내고 있다는 오국열(44)씨는 "복원을 반대하는 게 아니다. 노점상이든 상인이든 현실적인 대책이 없지 않느냐? 없어서 죽는 사람을 한번 더 죽으라는 소리와 다를 게 없다"며 깊은 한숨을 내뱉었다.
"정말 죽을 각오를 하고 나왔다"는 노점상인 정기남(65)씨는 "내 손에 일곱 식구의 목숨이 달렸다. 왜 그리 없는 사람의 마음을 몰라 주느냐? 서민이 살아야 국가가 살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같은 노점상인인 박성순(48)씨는 "자식들이 어려 그저 앞이 깜깜할 따름이다. 정말 먹고 살려고 열심히 발버둥쳐왔는데 이게 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집회가 끝난 뒤 참석자들은 "노점상, 영세상인, 철거민 등 청계천 빈민생존권 보장없는 청계천 복원사업 중단"를 외치며 청계천 고가 도로를 향해 행진을 시작했다.
노점상인들, 전경들과 치열한 몸싸움
고가 도로 행진 도중 벌어진 노점상인들과 전경들 사이에 벌어진 몸싸움은 처절했다. 수박과 빈 생수통이 허공을 날아다녔으며 노점상인들의 깃발은 모조리 부러졌다.
기자들의 취재 열기 또한 치열했다. 그러나 그런 언론사들의 취재 경쟁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았다.
어떤 노점상인은 "아무리 언론에 대고 하소연을 해도 도대체 달라지는 게 없다. 정말 우리 마음을 알긴 아느냐? 심지어 몰래 사진을 찍어 우리를 불쌍한 노숙자로 보도하기도 한다"며 언론에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한편 길거리 곳곳에는 청계천의 마지막 모습을 기억하려는 아마추어 사진작가들이 북새통을 이뤘다. 그들은 상인들의 애환을 담기 위해 분주히 사진기를 누르고 있었다.
상인들이 전경들과 치열한 몸싸움을 벌이며 행진을 계속하려는 사이, 한쪽 진입로에서 한 노점상인과 전경의 거친 몸싸움이 벌어졌다. 이를 말리는 과정에서 노점상인과 전경 모두 흥분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갈수록 그들의 대치 상태는 점점 더 살벌하고 험악해졌다.
노점상인들의 행진은 결국 전경들의 저지로 고가 진입로에서 멈췄다. 그러자 노점상인들은 도로에 앉아 연좌 농성을 벌였다.
길을 가다 이를 지켜본 시민들도 안타깝기는 마찬가지였다. 어린 시절부터 청계천 다니는 걸 좋아했다는 조수진(20)씨는 "대부분 나이든 할아버지 할머니들인데 정말 오죽하면 저리 하겠는가. 환경이 과연 저 분들의 희생보다도 더 중요한 것인가?"라며 서울시의 정책에 아쉬움을 표했다.
처음엔 노점상들이 그리 탐탁치 않았지만 지금은 상인과 노점상들이 서로 공생 관계라며 말문을 연 정선철(29) 씨는 "우리 상인도 서울시에 요구해 봤지만 소용이 없었다. 아마 서울시는 아랑곳없이 힘으로 밀어붙일 것이다"라며 "노점상이 없으면 우리도 같이 힘들다. 당장 그들이 없으면 유동인구가 눈에 띄게 줄어들 것이다. 정말 잘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우연히 지나가다 농성을 보게 된 김병옥(63)씨는 "안타깝다. 그러나 집회만이 능사가 아니다. 무언가 다른 방법을 모색해봤으면 한다"고 했고, 최삼채(47)씨는 "서글프다. 그들이 집회를 하는 게 당연한 것 아닌가? 아무리 발전도 좋지만 서울시는 너무 무모한 것 같다"며 답답해했다.
<1신: 30일 오전 11시>
"대책없는 청계천 복원 사업 반대"
청계천 노점상 생존권 사수 투쟁위원회 집회
청계천 복원 공사를 하루 앞둔 30일 청계천 노점상과 서울시가 서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노점상의 '생존권 보장' 요청에 서울시가 반응을 보이지 않자 청계천 노점 생존권 사수를 위한 투쟁위원회, 전국노점상 연합, 중구지역노점상 연합, 성동광성노점상 연합, 서울지역노점상 연합 등 400명 남짓의 노점상인이 모여 청계천 8가 삼일아파트 20동 앞에서 사전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 참가한 이들은 "구체적인 준비없는 청계천 복원공사를 중지라하", "청계천변 노점상, 영세상인 세입자들의 생존대책을 마련하라", "노점상을 대화상대로 받아들여라" 등을 요구하며 결의를 다졌다.
청계천노점 생존권 사수를 위한 투쟁위원회는 서울시에 '장사를 할 수 있는 안전장치 마련'과 '상인들에게 주어지는 개발비' 등을 비공식적으로 요청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서울시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