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명동 서울 YWCA에서 북한이탈주민들과 함께 추석맞이 송편빚기를 하고 있다
명동 서울 YWCA에서 북한이탈주민들과 함께 추석맞이 송편빚기를 하고 있다 ⓒ 김진석
추석을 맞이해 서울YWCA가 4일 오후 1시 탈북주민 초청 한가위 송편빚기 행사를 열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마련하는 이번 행사엔 하나원에서 적응교육을 받고 최근에 퇴소한 탈북주민 여덟 명이 참석해 한가위의 정을 나눴다.

초반엔 서로들 처음 만난 얼굴에 서먹함을 표했지만 먹음직스런 송편이 하나 둘 쌓일수록 그들의 정겨움도 무르익어 갔다. 각자 만든 송편을 먹여주고 맛을 비교하는 사이 어느덧 그들은 서로의 외로움을 달래며 둘도 없는 고향 친구가 되었다.

함북 무산이 고향인 마순희(51)씨는 “북한에서도 추석엔 온 길이 성묘하러 가는 사람들의 머리로 새까맣게 물든다”며 “고향 생각이 가장 많이 나는 명절에 고향 사람과 함께 할 수 있어 반갑다”고 기뻐했다.

마씨는 이어 “우리가 북한에 있을 때 남한에 건너 간 사람들을 좋게 보지 않았던 것처럼 북에 남겨진 친척도 우리가 남한에 온 걸 알면 좋게 보지 않을 것이다”며 “어제도 대구에 온 고향 사람들을 밤늦게까지 TV로 보느라 잠을 못 잤다, 그들을 보며 고향 생각이 나 얼마나 많이 울었는지 모른다”고 전했다.

활짝 웃으며 송편을 빚고 있는 참석자
활짝 웃으며 송편을 빚고 있는 참석자 ⓒ 김진석
또 마씨는 “북한에 있을 때는 남한 사람이 통일을 원하지 않을 거라 생각했는데 실제로 와보니 우리와 같은 마음이었다”며 “우리 마음대로라면 금방이라도 통일이 될 것 같은데 왜 그리 어렵고 오랜 시간이 걸려야 되는지 모르겠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함북 함흥이 고향인 주미영(43)씨는 “냉면집에서 같이 일하는 아줌마들끼리 모여 음식을 만들고 사는 얘기를 나누던 그 시절로 돌아 간 것 같다”며 “처음엔 내 말을 못 알아들을까 걱정했는데 막상 나와 보니 너무 좋다”고 감회를 밝혔다.

주씨는 “좋은 음식을 볼 때 고향에서는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생각이 가장 많이 난다”며 “그저 열심히 살아 돈을 많이 벌어 북에 남겨진 친척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또 그는 “고향에 있는 어머니 산소와 중국에 있는 남편 묘를 생각하면 한판 크게 울고 싶은 심정이다”며 “올 추석엔 외로움을 달래러 어머님 고향인 순천에 다녀 올 생각이다"고 전했다.

민속촌에 다녀왔던 게 가장 기억에 남는 여행이었다는 김선화(43)씨 또한 “남한 사람이랑 같이 마음을 나누니 마치 한집에 모여 사는 가족이 된 것 같은 느낌이다”며 “중국에서 잃어버린 남편과 고향에 두고 온 시어머님이 생각난다”고 눈물을 글썽였다.

이어 김씨는 “대구 U대회를 보며 얼마나 가고 싶었는지 모른다”며 “명절이 다가올수록 고향 생각에 더 가슴이 아팠다”고 덧붙였다. 그는 “통일이 되는 그 날까지 열심히 살아 성공하여 북에 남겨진 우리 친척들에게 꼭 보답하고 싶다”며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겠다”고 다짐했다.

송편을 만드는 방법도 다양하다. 숟가락으로 모양을 내는가 하면 컵으로 찍어 누르기도 하고 다른 색깔의 떡을 엮어 두 가지 색을 지닌 탐스런 송편이 되기도 한다. 그들이 지닌 사연만큼이나 각양각색의 송편이 빚어졌다. 취재를 하는 기자에게 하나라도 더 송편을 먹이려는 그 모습이 다름 아닌 우리네 부모와 꼭 닮았다.

정몽헌씨의 자살 얘기부터 시작해 남한 정세 및 경제 상황, 사랑하는 가족 얘기까지 이어진 그들의 대화는 그저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네 서민들의 삶과 다름 아니었다.

“작은 건 얘비하죠!”
북측 송편이 남측 송편보다 2배 이상 큰 이유는?

▲ 사진 왼쪽이 북측 송편이다
ⓒ김진석
북측 송편과 남측 송편의 차이가 있다면 ‘크기’ 를 뽑을 수 있다. 북측 송편의 크기는 한 입에 들어가는 남측 송편에 비해 무려 2배 이상이 컸다.

이에 탈북자 한정선(29)씨는 “남측 송편은 얘비하죠!” 라며 “북측 송편이 큰 이유는 북한 사람들의 인심이 후하고 마음 씀씀이가 크기 때문” 이라고 말했다.

‘얘비하다’ 는 단어가 무슨 뜻이냐는 질문에 한씨는 “눈에 차지 않는다” 라는 북한 사투리라며 “보는 것만으로도 푸짐하고 배부르게 만드는 게 북한이 음식을 만드는 방법이다”고 밝혔다.

이어 한씨는 “그 이면엔 쌀이 비싸기 때문에 떡을 크게 만들어 쌀을 좀더 효율적으로 쓰기 위한 이유도 있다” 며 “눈에 차게 만들어 음식을 더 맛있게 보이는 효과를 얻는다” 고 덧붙였다.
/ 김은성


행사를 주최한 서울 YWCA 김효정(38) 간사는 “작은 송편 하나로 그들과 마음을 터놓고 그간 나누지 못한 대화를 나누고 싶어 작년에 이어 행사를 마련했다”며 “작년에 비해 더 많은 분들이 참석하고 또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해 12월에 송년 모임도 계획 중이다”고 밝혔다.

또 그는 “탈북 주민들이 점점 더 많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 비해 막상 그들이 남한에 오면 살 길이 막막하다”며 “그들이 자립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할 것 같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이어 그는 “탈북 주민들을 바라보는 무조건적인 동정 어린 시선은 바뀌어야 한다”며 “그들이 스스로 남한에 적응해 살아 갈 수 있는 취업 조건 등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송편 빚기 행사에 모인 탈북자 8인은 모두가 밝은 표정이었다. 그들은 모두 금년에 남한으로 들어 온 사람이었다. 둘 셋의 자녀를 거느린 그들은 “그 누군들 걱정, 근심 없는 가정이 있겠어요?”라며 “앞으로 열심히 살아요!”라고 입을 모았다. 가슴 속 깊이 자리한 시름을 뒤로 송편 하나로 이어진 그들의 동포애는 속절없는 시간과 함께 저물어 갔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