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현재 리콜중인 LG전자 압력밥솥 모델 P-M시리즈(왼쪽)와 P-Q시리즈(오른쪽). LG전자는 P-Q모델은 폭발사고의 위험이 없지만 사고예방 차원에서 두 모델의 리콜에 소비자들이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현재 리콜중인 LG전자 압력밥솥 모델 P-M시리즈(왼쪽)와 P-Q시리즈(오른쪽). LG전자는 P-Q모델은 폭발사고의 위험이 없지만 사고예방 차원에서 두 모델의 리콜에 소비자들이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 LG전자

계속되는 전기 압력밥솥 폭발 사고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높아가고 LG전자의 속은 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 첨단 디지털 가전제품 시장에서 세계의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LG전자가 밥솥 하나 때문에 기업 이미지에 막대한 타격을 받고 있는 것.

폭발사고를 일으키고 있는 제품은 2002년 1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생산된 LG전자의 P-M시리즈 제품으로 최근 3개월 사이 8건의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가장 최근에는 지난 6일 전남 고흥군에 사는 조 모씨(36)의 집에서 취사 중이던 압력밥솥이 폭발해 밥솥이 크게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압력밥솥 폭발 원인은 LG전자가 협력업체로부터 납품받은 내솥의 결함 때문. 압력밥솥의 구조상 뚜껑을 닫고 안전손잡이를 돌리면 내솥과 뚜껑이 맞물리게 되는데 내솥의 날개(뚜껑과 맞물리게 되는 돌출부분)가 작게 만들어져 완전하게 맞물리지를 못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엉성하게 맞물려 있던 뚜껑이 취사 도중 높아지는 내압을 견디지 못하고 폭발하고 있다.

압력밥솥 폭발의 원인은 내솥 결함

LG전자는 작년 7월부터 문제 압력밥솥에 대해 리콜을 시작했고 지난 5월 20일부터는 업계 최초로 리콜 신고 보상금 5만원까지 내걸고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6만1000대가 생산·판매된 P-M 모델의 경우 현재 98.2%의 리콜률을 보이고 있고 8000대가 팔린 P-Q모델은 리콜률이 60%를 넘어섰다.

가전제품의 리콜률로서는 상당히 높은 수치이긴 하지만 P-M 모델의 경우 1000여대, P-Q모델은 3000여대가 아직 리콜을 받지 않고 있다. 언제 어디서 사고가 또 터질지 불안한 상태다. 또 리콜률이 더 이상 오르지 않는다는 것도 LG전자로서는 큰 고민거리다.

LG전자 관계자는 "리콜률이 답보상태라 정말 안타깝다"며 "P-M모델은 물론이고 폭발사고의 위험이 없는 P-Q모델의 경우에도 사고 예방차원에서 소비자들이 귀찮더라도 관심을 기울였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LG전자는 100% 리콜을 위해 대대적인 TV광고를 하기로 했다. 이는 김쌍수 부회장의 직접 지시를 내린 것으로 김 부회장은 "빠른 시일 안에 마지막 1대까지 리콜 될 수 있게 TV 광고도 적극 검토하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LG전자는 대리점을 통해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확보한 연락처를 통해 직접 리콜에 응하도록 연락을 취했지만 할인점 등을 통해 제품을 구입해 연락처 확보가 불가능한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언론과 광고를 통해 리콜을 받도록 호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LG전자 관계자는 "이미 광고는 제작이 끝났다"며 "일정이 잡히는 대로 이르면 이번 주 중으로 광고를 내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LG전자 100% 리콜 위해 이번주 중 TV 광고하기로

이와 함께 LG전자는 임직원에게도 주위 사람들이 리콜에 관심을 갖도록 적극 홍보할 것을 독려하고 서비스 요원들이 수리를 위해 소비자를 방문할 경우 반드시 해당 가정의 압력밥솥이 리콜 대상인지를 확인하도록 했다.

한편 현재 리콜이 시행되고 있는 전기밥솥은 LG전자 P-M, P-Q시리즈 외에도 1999년 6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생산된 삼성전자의 SJ-A2000, SJ-A3000모델이다.

이 모델은 증기가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힘을 주면 뚜껑이 열리는 결함으로 리콜을 실시중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1년 6월 이미 이 모델에 대한 공개리콜을 발표했고 지난해 말 리콜 재공지를 통해 현재 리콜률을 90%대로 끌어올렸지만 최근 폭발사고가 발생하자 리콜 기간을 연장했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김자혜 사무총장은 "LG전자가 100% 리콜을 위해 TV광고까지 하겠다는 것은 소비자 안전을 위한 노력으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면서 "다만 불량제품이 발생한 즉시 이와 같은 신속하고 광범위한 홍보노력이 있었다면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총장은 또 "소비자들도 회사가 자사의 제품에 대해 자발적인 리콜을 실시하는 경우 소비자의 권리와 안전을 위해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