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산의 회고
합니하의 신흥무관학교는 분교로, 신흥무관학교가 가장 전성기일 때에 세운 학교다. 이곳은 당시 조선의 뜻있는 젊은이들에게는 꿈의 동산으로, 산 넘고 물 건너 수륙 만리 이곳까지 찾아왔다. 님 웨일즈가 지은 <아리랑>의 주인공, 김산(본명 장지락)도 그들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신흥무관학교를 다니면서 혁명가의 꿈을 키웠다.
..마침내 목적지에 도착했다. 합니하에 있는 조선독립군 군관학교- 이 학교는 '신흥학교'라 불렀다. 아주 신중한 이름이 아닌가!
하지만 내가 군관학교에 들어가려고 하자 사람들은 겨우 15살밖에 안된 꼬마였던 나를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입학자격 최저 연령이 18살이었다. 나는 가슴이 찢어지는 것만 같아서 엉엉 울었다.
마침내 여기까지 찾아온 내 기나긴 순례 여행의 모든 이야기가 알려지게 되자, 학교측은 나를 예외로 대우하여 시험을 칠 수 있게 했다. 지리·수학·국어에서는 합격하였지만, 국사와 엄격한 신체검사에서는 떨어졌다. 다행히 3개월 코스에 입학하도록 허락 받았고 수업료도 면제받았다.
학교는 산 속에 있었으며 18개의 교실로 나뉘어 있었는데, 눈에 잘 띄지 않게 산허리를 따라 나란히 줄지어 있었다. 18살에서 30살까지의 학생들이 100명 가까이 입학하였다. 학생들 말로는 이제까지 이 학교에 들어온 학생들 중에 내가 제일 어리다고 하였다.
학과는 새벽 4시에 시작하여, 취침은 저녁 9시에 하였다. 우리들은 군대전술을 공부하였고, 총기를 가지고 훈련을 받았다. 그렇지만 가장 엄격하게 요구하였던 것은 산을 재빨리 올라갈 수 있는 능력이었다.
이른바 게릴라 전술 훈련이었다. 다른 학생들은 강철 같은 근육을 가지고 있었고 등산에는 오래 전부터 단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나는 학우들의 도움을 받아야만 간신히 그들을 뒤따라갈 수 있었다.
우리는 등에다 돌을 지고 걷는 훈련을 하였다. 그래서 아무 것도 지지 않았을 때에는 아주 경쾌하게 달릴 수 있었다. ‘그 날’을 위해 조선의 지세, 특히 북조선의 지리에 관해서는 주의 깊게 연구하였다. 방과 후에 나는 국사를 열심히 파고들었다.
얼마간의 훈련을 받고 나자, 나도 힘든 생활을 해나갈 수 있었으며, 그러자 훈련이 즐거워졌다. 봄이면 산이 매우 아름다웠다. 희망으로 가슴이 부풀어올랐으며 기대에 넘쳐 눈이 빛났다. 자유를 위해서라면 무슨 일인들 못할쏘냐?
- 님 웨일즈 <아리랑> 중에서
뒤틀린 현대사
잔뜩 찌푸린 하늘이 조금씩 이슬비를 뿌렸다. ‘합니하’는 독립운동사에 숱하게 나오는 강인데, 실제로 와서 보니 상류인 탓인지 자그만 했다. 신흥무관학교가 잘 보인다는 합니하 건너편 언덕에 올랐다.
합니하 건너편 산기슭에 신흥무관학교 교사가 있었고, 그 아래 지금은 논과 포도밭이 지난날 연병장이요, 그 뒷산이 생도들이 산악 훈련했던 곳이라고 했다.
합니하 이편 언덕 위의 동네는 지금도 ‘고려촌(高麗村)’이라고도 부르는 바, 지금의 행정상 명칭은 ‘광화칠대(光華七隊)’라고 했다. 이 마을의 밭은 생도들이 농사지었던 둔전이요, 이 마을의 집들은 신흥무관학교 교관들과 가족들이 거처하던 마을이었다고, 이 마을 호로 함수림(咸樹林·51)씨가 소달구지를 몰고 가다가 지난날을 증언해 줬다.
이슬비를 맞으며 합니하 신흥무관학교 옛 터를 카메라에 담은 후, 보다 가까운 곳에서 살피고자 왔던 길을 돌아서 합니하를 다리로 건너 산 아래로 갔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그 사이 80년이 더 지났다. 신흥무관학교 연병장은 그새 논으로, 포도밭으로 변해 빨간 지붕의 포도주 공장이 들어섰다고 했다.
신흥무관학교 옛 터를 좀 더 가까이서 보고자 포도나무 지주를 고개 숙이며 다가갔다. 연병장이었다는 곳은 지금은 논으로 변해 농사꾼들이 한창 모내기를 하고 있었다. '상전벽해(桑田碧海)'란 이런 때 하는 말인가 보다.
동행 이국성씨는 몇 해 전에 이곳 조선족 동포들이 성금을 모아서 이곳에다가 “신흥무관학교 옛 터”라는 돌비석을 세웠지만 이곳 인민정부에서 돌비석을 깨트려 연못에 빠트려버렸다고 했다.
그 새 한 세기가 지나 옛 모습은 온 데 간 데 없다. 다행히 필자 일행에게는 역사의 현장을 증언해 줄 사람이 있어서 이곳을 찾았지만, 이 분들도 모두 다 떠난다면 누가 이 산하를 ‘합니하 신흥무관학교 옛 터’라고 전해 줄 리가 있겠는가?
일제하 일본 육사나 만주 군관학교를 나온 이는 해방 후 역사의 주역이 되고, 신흥무관학교나 동북항일연군이 된 이는 이름도 없이 초야에 묻혀버리는 현실에 앞으로 국난이 닥치면 누가 겨레를 위해 총을 들까?
이국성씨는 곧장 이 길로 고산자 신흥무관학교도 들리자고 했지만 나는 이, 김 선생이 매우 섭섭해 할 것이라며 내일로 미루자고 했다. 당신네 선조가 피땀 흘린 현장을 우리만 봐서 마음이 편치 않았다. 거기다가 비까지 내려서 일찍 빈관에 들고자 매하구로 달렸다.
늦은 점심을 먹고 예약된 빈관에 가자 이미 일행이 도착하여 반겨 맞았다. 노트북은 어떻게 되었냐고 묻자 컴퓨터 가게에서 켜자 곧장 작동이 되더라고 했다. 귀신 곡할 노릇이다. 아무튼 다행스러웠다.
국경도 뛰어넘는 사람의 정
우리 일행에게 한 가지 고민은 진 기사와 심양에서 빌린 승용차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 문제였다. 애초에 심양공항에서 구두 계약으로는 우리가 통화, 삼원포 일대를 다 둘러보고 백두산 도착까지 6일간 그 차를 이용키로 했다.
그런데 이미 공안에 차 번호가 노출돼 버려 그 차를 타고 다니면 계속 공안의 감시를 당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었다. 그렇다고 두 대로 다닐 수도 없는 일이다.
진 기사에게 "우리는 공안의 추적 감시 때문에 애초 일정을 생략하고 곧장 백두산으로 가기에 더 이상 당신 차를 이용할 수 없다"고 하루치 사용료를 더 주며 돌려보내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사실대로 이야기하고 돌려보내는 게 좋다는 의견으로 가닥을 잡았다. 궁지에 몰릴수록 정직 이상 상책이 없다는 게 나의 지론이다.
저녁 식사 후 진 기사를 불러서 그 사실을 통보하자, 그는 그 새 정이 들었는지 눈물이 글썽거렸다. 자기도 공안 때문에 우리의 일정이 엉망이 된 걸 이미 알고 있다면서, 우리의 처사에 섭섭지는 않다고 했다.
권 PD는 하루치를 더 계산해 주었고, 이 김 두 선생도 주머니 돈을 꺼내 그의 노고를 치하했다. 이미 방을 따로 얻어두었으니 자고 다음날 떠나라고 하였으나 굳이 밤길에 심양으로 가겠다고 했다.
나도 “하오하오” “쎄쎄”라는 귀동냥으로 배운 중국말로 배웅하면서 그의 손에 한 닢 전해 주었다. 그는 자기 일에 대단히 성실한 직업인이었다.
그의 눈에는 눈물이 흥건히 괴었다. 사람의 정은 동서고금 국경도 뛰어넘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