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꺼비 서식지로 알려진 충북 청주 원흥이 마을이 과연 현재의 모습대로 보존될 수 있을까?
43개 시민단체와 각계인사 130인으로 구성된 '원흥이생명평화회의'는 지난 29일 충청북도청 앞에서 원흥이 두꺼비 서식지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무기한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이 단체는 "공동주택단지를 재조정하고 6700여평의 생태공원 부지를 확보하도록 하여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해야 한다"며 택지개발사업 승인권자인 충청북도 이원종 지사를 압박했다.
'원흥이생명평화회의'는 천막농성을 포함한 '도민행동 5단계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오는 8월 12일까지 도정규탄 만장부착, 도지사 실정보고회, 시민사회 협력사업 중단선언, 장례 퍼포먼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이 단체는 '원흥이문제 국면전환을 위한 비상대책회의'를 거쳐 지난 5월초 발족된 단체이다.
자연의 모습 간직한 곳
원흥이 문제는 한국토지공사가 택지조성사업을 벌이고 있는 충북 청주시 산남동 일대의 산남3지구 내에서 환경보호법정보호종인 두꺼비 등 다량인 환경지표동물이 이 지역의 생태교육연구소 <터>에 의해 발견된 지난 해 3월부터 시작되었다. 또, 지난 해 5월 새끼두꺼비 10여 만 마리가 원흥이 방죽에서 산으로 이동하는 광경이 관찰되면서 관심을 받아고, 자발적 탐방객수가 1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원흥이 방죽은 약 3천여평의 방죽으로 70년대초 새마을운동의 하나로 물을 가두면서 형성된 것이다. 원흥이 방죽과 인접습지는 국내 최대 두꺼비 산란지로 두꺼비 외에도 멸종위기 보호동식물인 맹꽁이, 1급수 지표종인 도롱뇽 등 양서류 10종, 파충류 6종, 조류 41종, 포유류 10종, 곤충류 82종 거미류 7종, 어류 7종, 수서식물 15종 등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가 찾은 원흥이 방죽은 도심 속 공간이라고 보기 힘들 만큼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방죽과 그 옆의 습지는 산림과 조화를 이루어 생태계의 보고를 이루고 있었으나 방죽으로부터 불과 100여m 떨어지지 않은 곳까지 이미 한국토지공사에 의해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자연 그대로의 현재 모습이 얼마나 보호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현재의 계획대로라면 원흥이 방죽 북쪽에는 검찰청과 법원 건물이, 서쪽에는 아파트 단지 두 곳이 들어설 예정이다. 한국토지공사는 원흥이 방죽을 공원에 포함시키고 두꺼비들의 이동수로 2m를 포함한 폭 20여m, 연장 200여m의 이동통로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습지만 따라 이동하는 습성을 지닌 두꺼비가 그 동안 이동해 온 폭넓은 이동경로가 아닌 폭 2m의 이동수로를 포함한 폭 20여m의 이동통로에 적응하며 개체유지를 할 수 있을지는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원흥이생명평화회의'는 "이동통로를 만들었다고 하더라도 원래부터 그 곳을 이동경로로 삼았던 소수의 두꺼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도로와 콘크리트 시설물에 부딪혀 산란지를 찾지 못하고 떠나거나, 억지로 돌진하려다 자동차나 사람에 밟혀 죽게될 가능성이 훨씬 크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이 단체는 방죽 3천여평과 공동주택단지 6700평, 검찰청 부지 일부 2000여평 등 총 1만2000여평의 두꺼비서식지보전구역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토지공사 산남3지구 현장소장인 이재영씨는 "검찰청과 법원으로부터 부지 비용으로 128억씩 다 받은 상태라 계획대로 갈 수밖에 없다"며 "공원 2개와 광장 등으로 이 지역을 공원화시킬 것이며 두꺼비 통로를 만들어주면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재영씨는 "시민단체가 하나 해 달라고 해서 하나를 해 주면 또 달라는 계단식의 요구사항을 내 놓기 때문에 요구안을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로부터 해결요구를 받고 있는 충청북도 이원종 지사는 현재 하계 휴가 중이다. 김종운 충청북도 건설교통국장은 "시민단체의 요구는 압력을 줘서 변경하도록 하라는 것인데 분양이 거의 완료되었고, 심각한 하자가 없는 것을 변경하라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시민단체의 요구안을 한국토지공사가 수용해 변경을 요구하면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9일 오후에는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이 원흥이 방죽을 방문한 후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현재의 환경영향평가제도는 평가주체와 비용을 사업자가 하게 되어있어 환경파괴에 대한 예방기능을 갖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부실한 심사로 개발에 면죄부를 주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며 "원흥이 운동의 성과와 문제점을 쟁점화 시키며 친환경적인 정책을 제시하고 법적 제도적 개선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