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난 토요일(30일). 하루 중 아주 짧은 두어 시간 동안 난 32년 전 내가 초등학교 3학년이었던 그때로 여행을 다녀왔다.
파란 칠을 한 긴 나무 책상과 나무 의자. 배불뚝이 갈탄 난로 위엔 찌그러진 노란 양은 도시락이 겹겹이 쌓여 있고 낡은 교탁 옆엔 역시나 낡은 풍금이 놓여 있었다.
앞이 보이지 않는 여선생님은 그 낡은 풍금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하고 계셨다. 그 선생님의 성함은 '이인숙'이었다.
지난 90년. 선생님은 등교 길에 교통사고를 당하셨고 시신경을 크게 다치셨다. 시간이 갈수록 점점 시야는 뿌옇게 흐려졌다. 시력을 잃으면서 아이들을 가르칠 수 없었다.
92년. 교직을 떠난 선생님은 하루하루를 절망의 고통 속에서 힘들어 하셨다. 그러나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역경이라도 꿋꿋하게 이겨내야 한다고 아이들에게 가르쳤던 순간을 떠올리며 선생님 앞에 놓여진 어둠의 생활에 적응하려 노력하셨다.
다시 웃음을 찾았고 희망이란 것을 가슴에 품었다. 그런 선생님 곁에는 언제나 남편이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었고 끝내는 못다 이룬 선생님의 꿈을 이루게 해주었다.
선생님께서 마지막으로 담임을 맡으셨던 3학년 2반. 10년을 훌쩍 넘은 지금도 3학년 2반 교실에선 여전히 선생님의 정겨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선생님께선 열심히 풍금을 치시고 학생들은 그 풍금소리에 맞추어 열심히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뜨거운 감동이 거대한 파도가 되어 네 가슴을 뒤덮고 있었다. 목구멍으로 울컥하고 뭔가가 턱 걸리는 것 같았다. 내가 부르는 '고향의 봄' 노래엔 얼룩얼룩한 눈물자국이 번지고 있었다.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에 있는 '덕포진 교육 박물관'은 전직 교사인 김동선 이인숙씨 부부가 함께 설립한 곳으로 사랑의 학교, 추억의 학교로 불리고 있었다.
그곳은 32년 전의 바로 내가 철없이 깔깔거리며 공부했던 그 옛날 3학년 2반 교실 풍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정녕 꿈같은 과거의 한 귀퉁이였다.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여러 가지 교육 자료들, 생활필수품들이 빼곡하게 전시되어 있었다. 그날도 이인숙 선생님은 그 낡은 풍금을 두드리며 여전히 수업을 진행하고 계셨다.
마침 여름방학을 맞아 많은 아이들이 엄마 아빠의 손을 잡고 그곳을 찾았는데 선생님의 풍금소리에 맞춰 크게 합창하는 엄마도 아빠도 또 아이들도 그 순간만큼은 똑같이 3학년 2반 학생들이었다.
내 마흔 둘의 어느 여름 날 하루. 꿈처럼 다녀온 32년 전 그때 그 시절은 오래오래 내 기억 속에서 소중한 한때로 남겨질 것 같다.
덧붙이는 글 | 찾아 가는 길: 서울시청 광화문에서 631번 이용. 덕포진 입구에서 하차. 덕포진 표지판을 따라 한참 들어가면 '덕포진 교육박물관'을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