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문에서 바라본 임시정부 청사 내부 건물군.
정문에서 바라본 임시정부 청사 내부 건물군. ⓒ 모종혁
1945년 4월 29일 아침. 안개가 잔득 낀 중국의 피난 수도인 충칭(重慶)시 치싱강(七星崗) 롄화츠(蓮花池) 38호에 위치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앞마당. 20여명의 군복 입은 젊은이들이 비장한 표정으로 도열해 있다. 이들 옆에는 안경을 낀 중년의 지휘관 이범석 장군이 전면의 청사를 바라보며 서 있다.

시계가 7시를 가리키자 두루마기를 입은 중키의 한 노인이 자욱한 안개를 가로질러 청사 안에서 나왔다. 단아하면서 신념에 찬 모습의 그는 안경 너머로 도열한 청년들을 응시했다. 아직 20대 초중반에 앳되면서도 긴장된 모습의 젊은이들. 노인은 자신을 우러러 보는 청년들의 눈빛 하나하나를 살펴보면서, 아무 말 없이 두루마기 안주머니에서 작은 회중시계 하나를 꺼내서 높이 쳐들었다. 그리고 무겁게 입을 열었다.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의 전경. 주변 고층 건물과 아파트에 둘러싸여 있지만 고풍스럽고 단아한 모습으로 그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의 전경. 주변 고층 건물과 아파트에 둘러싸여 있지만 고풍스럽고 단아한 모습으로 그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 모종혁
1호 건물 1층 진열관에 전시된 충칭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태극기와 김구 주석 흉상.
1호 건물 1층 진열관에 전시된 충칭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태극기와 김구 주석 흉상. ⓒ 모종혁
"오늘 4월 29일은 내가 13년 전인 1932년 윤봉길(尹奉吉)군을 죽음으로 보내던 날이오. 또 지금이 바로 그 시각인 아침 7시이요. 상하이(上海) 홍커우(虹口) 공원에서 폭탄을 던져 일본 시라카와(白川) 대장 등을 죽였던 그 의사 윤봉길이 나와 시계를 바꿔 차고 떠나던 날이오. 윤군을 생각하며, 바로 같은 날인 오늘 윤 의사와 꼭 같은 임무를 담당할 여러분을 또 떠나보내는 내 심중이 괴롭기 한이 없구려."(김준엽 저, <장정, 나의 광복군 시절> 참조 재구성)

비장감 어린 어조로 말을 잇던 노인, 백범(白凡) 김구(金九)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은 또 다른 사지로 떠날 젊은이들의 모습에 더욱 목이 메어져 갔다.

그로부터 다시 60년이 지난 8월 10일, 같은 장소인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 롄화츠 청사는 하루 종일 찾는 이 없이 쪽문만 빼곡히 열어 놓은 채 깊은 적막감에 휩싸여 있었다.

임정, 일본의 핍박 피해 롄화츠에 자리 잡기까지

1932년 윤봉길 의사의 의거 이후 일본의 거센 핍박 때문에 제대로 된 거처를 정하지 못하던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37년에 발발한 중일전쟁으로 전면적인 피난길에 올랐다. 임시정부를 지원했던 국민당 정부는 윤 의사의 거사 후 1937년 11월, 당시 중국 수도인 장쑤성 난징(南京)에 있던 임정 요인들과 그 가족들에게 배 한 편을 주어 후난성 창사(長沙)로 이동시켰다.

충칭으로 이동하기까지와 충칭시기 임시정부의 역사를 보여주는 진열관 내 전시물.
충칭으로 이동하기까지와 충칭시기 임시정부의 역사를 보여주는 진열관 내 전시물. ⓒ 모종혁
일본군의 진격 속도가 빨라지자, 1938년 7월 임시정부의 대가족은 창사를 떠나 광둥성 광저우(廣州)로 옮겼고 다시 푸산(佛山), 광시자치구 류저우(柳州), 꾸이저우성 꾸이양(貴陽)과 준이(遵儀)를 거쳐, 1939년 3월 충칭 바로 아래에 위치한 치장(綦江)에 도착했다. 이념으로 갈라진 좌우익의 합작으로 7당 통일회의가 열리기도 했던 치장의 임시정부가 당시 중국 피난 수도인 충칭의 양류제(楊柳街)에 입성한 것은 1940년 8월. 난징을 떠난 지 2년 9개월 만에 임정은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은 것이다.

임시정부는 충칭에서도 네 차례나 청사를 바꿔야 했다. 당시 충칭은 날마다 밤낮없이 계속되는 일본 공군의 폭격으로 안전지대를 찾기 힘들었다. 산과 언덕이 많은 충칭에서도 중심가에다 평지인 양류제는 폭격에 쉽게 노출되어 임정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스반제(石板街)로 옮겼다. 이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스반제 일대에 폭격으로 큰 화재가 나자, 임정은 청사를 우스예샹(吳師爺巷)으로 옮겼고 다시 국민당 정부가 마련해 준 롄화츠 38호로 이주했다.

오늘날 '충칭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로 통칭되는 롄화츠 청사는 그로부터 1945년 8월 15일 민족해방을 맞이하기까지 한반도와 해외 곳곳에 흩어져 있던 우리 겨레의 정신적인 중심 역할을 했다.

1944년 학도병으로 일본에 끌려왔다가 임시정부의 소식을 듣고 탈출했던 김준엽 전 고려대 총장은 수차례 죽을 고비를 넘기며 6천㎞를 걸어서 탈출 10개월만인 1945년 1월 롄화츠에 도착했다. 롄화츠 청사 대문 위에 한글로 쓰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현판과 꼭대기에 걸린 태극기를 보고 감동한 그는 "건물을 보고 감격한 것은 생전 처음"이라며 "눈물이 글썽하여 태극기에 정성껏 경례하였다"고 훗날 기록했다.

김구의 집무실부터 광복군 장준하의 숨결까지

ⓒ 모종혁
임시정부 현판을 위로 하고 청사 안에 들어서면 가파른 언덕에 왼쪽으로 2층짜리 1호 건물이 있고 오른쪽으로 2~3층의 2,3,4,5호 건물이 줄지어 서 있다. 원래 서무국과 선전국 사무실로 사용되었던 1호 건물 1층은 홀 중앙에 김구 주석의 흉상과 충칭 임정이 사용한 대형 태극기를 세워놓는 등 다양한 자료가 전시된 진열관으로 변모했다. 이 진열관에는 1919년 상하이 시절부터 1945년 해방 후 임시정부의 환국까지 각종 문헌과 사진이 전시되어, 관람객들에게 충칭시기 임정의 치열했던 역사를 일깨워준다.

진열관 반대편 2호 건물의 1층은 임시의정원 회의실 겸 식당으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헌법에 명시된 최고기구였던 임시의정원에서는 1919년에 구성된 이후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모두 39회의 의회가 개최됐다. 2호 건물 2층은 외무부 사무실과 외무부장, 외무차장의 집무실로 사용되었다.

이어진 3호 건물은 3층으로 되어있는데, 1층에는 내무부와 경위대 사무실, 2층은 재무부 사무실, 3층에는 김구 주석의 집무실과 국무위원회 회의실이 있다. 김구 주석의 집무실에는 옷장 옆에 한복 두루마기가 걸려있고 서가에는 박은식 선생이 쓴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가 놓여져 있어 보는 이의 심금을 울리게 한다.

검소하고 소박한 김구 주석의 집무실. 김구 주석의 생활상을 사실과 가깝게 복원한 이 곳에는 한복 두루마기와 박은식 선생의 서적이 놓여져 있다.
검소하고 소박한 김구 주석의 집무실. 김구 주석의 생활상을 사실과 가깝게 복원한 이 곳에는 한복 두루마기와 박은식 선생의 서적이 놓여져 있다. ⓒ 모종혁
김구 주석과 함께 청사 내 거주했던 조소앙 선생은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삼균주의연구소를 두고 학문 정진에 몰두했다. 조 선생 옆방에 거주했던 이시영 선생 또한 조그만 풍로에 친히 밥을 지어 드시면서 조국 해방의 의지를 불태웠다.

국민당 정부의 지원이 있었다고는 하나, 모든 임시정부 대가족들은 쌀에 밥을 쪄서 콩나물 국에 소금을 타 하루 세끼를 연명할 정도로 삶이 고단했다. 이러한 궁핍한 생활은 안개 많고 습도 높은 충칭의 기후와 더해져 80여명의 임정 가족들을 병으로 앗아갔다. 그 가운데는 김구 주석의 장남 김인도 포함되어 있다.

3호 건물 3층에 자리잡은 국무위원회 회의실. 주석과 국무위원들이 국무를 의결하고 정무를 총괄하는 자리였다.
3호 건물 3층에 자리잡은 국무위원회 회의실. 주석과 국무위원들이 국무를 의결하고 정무를 총괄하는 자리였다. ⓒ 모종혁
1호 건물의 2층에는 광복군 관련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1940년 9월 17일 재미동포들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창설된 광복군은 독립성과 자주성을 지닌 임시정부의 국군이었다. 광복군은 대한제국 군인들의 항일무장 투쟁정신을 계승하여, 태평양전쟁 발발 후 연합군의 일원으로 수많은 항일 연합작전에 참가했다. 중국 내에서 편성된 1,2,3지대는 중국군과 긴밀히 협조하여 전장에서 정보수집과 선무공작에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광복군 진열관에 전시된 다양한 사료와 사진은 이러한 광복군의 활약상을 보여준다. 특히 광복군은 1944년 5월부터는 미국 전략정보처(O.S.S)의 특수훈련에 참가하고 국내 진공작전계획이라는 합동작전을 수립하였다. 1945년 4월 29일 김구 주석의 배웅을 받고 충칭에서 O.S.S 훈련캠프가 있던 시안(西安)으로 출발했던 20여명의 젊은 전사들이 바로 국내 진공작전의 주역들이었다. 장준하, 김준엽 등 광복군 특공대는 잠수함과 낙하산으로 국내에 침투할 예정이었지만, 예상보다 빠른 일본의 항복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조국 광복의 감격이 가신 청사엔 쓸쓸함만

1호 건물 2층에 자리잡은 광복군 진열관에 소장된 태극기. 광복군 군인들이 환국 전 기념으로 사인과 글귀를 남긴 것이다.
1호 건물 2층에 자리잡은 광복군 진열관에 소장된 태극기. 광복군 군인들이 환국 전 기념으로 사인과 글귀를 남긴 것이다. ⓒ 모종혁
이렇듯 일제하 임시정부 요인들의 보금자리와 겨레의 등불로 일제 패망과 조국 광복의 감격을 맞이했던 롄화츠 청사지만 광복 60주년인 올해도 롄화츠를 찾는 한국인은 예상외로 저조하다.

조선족 동포인 이선자(여, 42) 임시정부 진열관 부관장은 "2000년 한국과 충칭 간 아시아나 항공의 직항편이 개통되면서 관람객이 늘어나 2002년에는 1만2천명이 청사를 찾았지만, 2003년 사스의 영향으로 관람객이 오히려 줄더니 작년에는 8천명, 올해는 7월까지 6천명이 간신히 넘었다"고 말했다.

이 부관장은 "올해는 우리 민족이 광복 60주년을 맞는 해라 기대가 컸지만, 4월 임시정부 수립 86주년 기념식과 5월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방문 등 이벤트성 행사 전후로만 찾는 사람들이 반짝 늘었을 뿐"이라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는 "아시아나항공이 운항을 중단하고 인근 쓰촨성에서 괴질이 발생하면서 여름 성수기인 7,8월에 한국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겼다"면서 "롄화츠 청사를 찾는 사람들은 95% 이상이 한국인들인데 관람객이 너무 없어서 청사 운영에 어려움이 많다"고 전했다.

광복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환국 전에 롄화츠 청사를 배경으로 찍은 기념사진과 자신의 심정을 담은 글을 담은 환국기념 서명포.
광복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환국 전에 롄화츠 청사를 배경으로 찍은 기념사진과 자신의 심정을 담은 글을 담은 환국기념 서명포. ⓒ 모종혁
실제 8월 10일 오전과 8월 11일 오후 각각 3시간 동안 청사 내의 외부 출입자는 오직 필자와 음식 배달원 단 두 명뿐이었다. 이 부관장은 "현재 임시정부 청사의 모든 운영과 관리는 충칭시 정부가 부담하여 경비를 지출하고 있다"면서 "뜻있는 중국인의 관람을 위해서 20위안(2600원)인 청사 입장료를 내리고 싶어도 쉽지가 않다"면서 한국 정부와 한국인의 지속적인 관심을 당부했다.

이와 관련, 시난(西南)사범대학교 역사학 천린(陳林) 교수는 "임시정부 청사의 운영방식에 대해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진열관 내 전시물에 임시정부와 국민당 및 공산당이 긴밀히 협조했던 역사적 자료와 사진을 보충하여 중국인도 찾을 수 있는 혁명 학습장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처럼 한국인 관광객만을 대상으로 한다면 훌륭한 한중 교류의 역사 교육장을 사장하는 꼴"이라며 "입장료를 충칭 내 공산당 혁명유적지 수준인 10위안(1300원)으로 낮추고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충칭 젊은이들이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도 모색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헐릴 위기의 롄화츠 청사 살린 이소심 여사

▲ 2000년 임시정부 청사의 복원 공사를 끝낸 뒤 세운 기념비.
중국 내에는 충칭 이외에도 상하이, 항저우, 난징 등 수많은 지역에 임시정부 청사가 산재해 있다. 1919년 이후 기나긴 역사의 풍상과 급격한 도시 개발로 인해 대부분의 임정 청사는 철거되었거나 원형이 심하게 훼손되었다.

그나마 롄화츠 청사가 원형 그대로 보존된 데에는 한 사람의 공로가 크다. 1980년대 말 충칭시의 도시재개발계획에 따라 헐릴 위기에 몰린 롄화츠 청사를 이소심(李素心, 66) 여사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살렸기 때문이다.

이소심 여사는 1920년대 후반 만주에서 김좌진 장군과 활동했고 1930년대에는 상하이의 남화한인청년연맹에 속했으며, 충칭으로 와서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 광복군 제1지대 등에서 활약했던 독립운동가 이달(李達) 선생의 딸이다.

1942년 사망한 이달 선생과 결혼했던 중국인 어머니 때문에 충칭에 남았던 이소심 여사는 현지에서 의사로 성공하여 1980년대 충칭시 인민대표를 지냈다. 한국 독립운동가의 후손이라는 강한 자부심을 가졌던 이 여사는 롄화츠 청사의 보전을 위해 당시 수교도 되지 않았던 한중 양국 정부에 '청사를 지켜 달라'고 청원했고, 이에 1991년 한중 정부간의 대화가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충칭시 도시계획 변경문제와 청사 거주주민대책으로 어려움을 겪던 협상은 1994년에 와서야 타결됐다. 롄화츠 청사는 독립기념관과 충칭시의 협의 아래 1995년 1월에 복원 공사에 들어가, 같은 해 8월 11일 '중경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구지(舊地)'라는 명칭으로 정식 개관했다. 그 뒤 1999년 한국 기업들의 도움을 얻어 훼손된 건물을 보수, 건축하고 전시실을 대대적으로 확장하여 광복군 창설 60주년인 2000년 9월에 재개관 했다. / 모종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