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광해군! 검은빛에 상처 입은 비신(碑身)은 순탄하지 않은 그의 생을 나타내기라도 하는 것 같다
광해군! 검은빛에 상처 입은 비신(碑身)은 순탄하지 않은 그의 생을 나타내기라도 하는 것 같다 ⓒ 김정봉
그렇다고 서울에서 멀리 있는 것도 아니다. 서울근교 남양주시 진건면에 있다. 광해군묘는 따로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사릉 표지판을 보고 찾아가야 한다. 태릉을 지나 퇴계원 사거리에서 곧바로 진건면으로 직진하면 사릉이 나오는데 사릉을 지나자마자 다리를 건너 왼쪽으로 들어가면 된다. 개천을 따라 산기슭으로 오르면 영락교회 공원묘지가 있고 그 안 언덕에 쓸쓸히 누워 있다.

서울에서 출발하여 맨처음 보이는 '광해군묘' 표지판이다. 다리를 건너기 직전에 사릉이 있다. 어느 업체를 찾아가는 것도 아닌데 표지판을 보고있으면 갑갑해진다
서울에서 출발하여 맨처음 보이는 '광해군묘' 표지판이다. 다리를 건너기 직전에 사릉이 있다. 어느 업체를 찾아가는 것도 아닌데 표지판을 보고있으면 갑갑해진다 ⓒ 김정봉
사릉(思陵)은 한 많은 생을 살다간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능이다. 불과 몇km 떨어져 있지 않은 채 광해군과 정순왕후는 서로 등지고 누워 있다. 한 많은 삶을 살다간 두 분이 앞뒤로 누워 있는 것이다.

인조반정 이후 강화도로 유배 간 광해군은 15년 동안 위리안치 형벌을 받았다. 위리안치 형벌은 집 둘레에 가시가 많은 탱자나무를 심고 그 안에 사람을 가두는 형벌을 말하는데, 광해군 묘 둘레에 철망이 쳐 있어 마치 죽어서도 위리안치 형벌을 받는 듯하다.

광해군묘에 들어가려면 자물쇠를 열고 철망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철망이 쳐있는 모양이 아직도 위리안치 형벌을 받고 있는 듯하다.
광해군묘에 들어가려면 자물쇠를 열고 철망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철망이 쳐있는 모양이 아직도 위리안치 형벌을 받고 있는 듯하다. ⓒ 김정봉
어찌하여 이런 곳에 오게 되었을까 의아히 여겨질 정도로 인적이 드물고 풍수지리도 그다지 훌륭하다 할 수 없는 곳에 묻혀 있다. 광해군과 그의 부인 문성군이 나란히 누워 있는데 왼쪽이 문성군묘, 오른쪽이 광해군묘다.

영락교회 공원묘지가 없었다면 찾는 이 드문 스산한 곳이었을 게다
영락교회 공원묘지가 없었다면 찾는 이 드문 스산한 곳이었을 게다 ⓒ 김정봉
묘 앞에는 까맣게 타 들어간 광해군의 마음을 나태내기라도 한 듯 검은빛을 띤 비석이 있다. 비석에는 '광해군지묘'라 쓰여 있고 비석머리에는 덧없이 흘러 다니는 구름을 새겨 넣었다. 비석머리 바로 밑에는 총탄의 흔적인지 깊이 패인 자국이 있어 안타까울 뿐이다.

오석도 아니면서 돌이 까맣게 변색되고 총탄의 상처인지 깊이 패인 자국이 보기에 딱하고 애가 탄다
오석도 아니면서 돌이 까맣게 변색되고 총탄의 상처인지 깊이 패인 자국이 보기에 딱하고 애가 탄다 ⓒ 김정봉
비석 앞에는 석상과 향로가 놓여 있고 가운데에 장명등이, 좌우에 망주석과 문인석이 있다. 장명등 지붕돌은 날렵하면서도 튼튼해 보이고 화창(火窓)을 받치고 있는 상대석은 일부분이 깨지긴 했어도 활짝 핀 꽃 모양을 새겨 넣어 스산한 묘역을 그래도 환하게 한다.

광해군 묘에서 그래도 볼만한 것이 장명등이다. 광해군 비석과 대조적으로 묘역을 환하게 해준다
광해군 묘에서 그래도 볼만한 것이 장명등이다. 광해군 비석과 대조적으로 묘역을 환하게 해준다 ⓒ 김정봉
묘지 주변의 소나무는 광해군을 때늦게 보호해주기라도 하듯 꼿꼿이 근엄하게 서있다. 화창을 통해 들어오는 풍경은 국제정세를 보는 광해군의 혜안과는 다르게 반 광해군 세력들의 근시안을 보는 것 같다.

반 광해군 세력들의 근시안을 보는 것 같다
반 광해군 세력들의 근시안을 보는 것 같다 ⓒ 김정봉
광해군은 폭군이었는가? 광해군을 폐위한 세력이 보면 폭군이고 패륜 왕이었으며 명분(名分)과 명(明)에 대한 의리를 중시하지 않은 위험한 인물이었지만 지금 그에 대한 평가는 다르다.

최근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에서 팬들로부터 사랑받는 인물과 사랑받지 못하는 인물이 나온다는 재미있는 기사가 있었다. 사랑받지 못하는 인물로 전두환(제5공화국,mbc)과 선조(불멸의 이순신, kbs)가, 사랑받는 인물로 광해군(불멸의 이순신)을 들고 있다.

광해군은 '백성이 하늘'이라는 혁신적인 말을 하면서 정략적인 이해보다는 백성을 위하는 입장에서 모든 일을 처리한 반면, 선조는 백성의 소리를 듣지 못하고 왕위 유지에만 급급하였기 때문에 그런 평가를 받았다 한다. 광해군의 이런 생각은 그가 왕위에 있는 동안 정책에 그대로 반영하면서 실천해 간다. 그가 내놓은 정책의 근저에는 백성이 자리하고 있었다.

광해군은 임진왜란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1608년에 즉위하게 된다. 즉위과정도 평탄치 않았다. 선조에게는 부인이 8명, 자녀가 15명이 있었는데 첫째부인인 의인왕후에게는 자식이 없었고 후궁 공빈 김씨에게는 임해군과 광해군이 있었으나 임해군은 왕이 될 재목이 못되었으므로 광해군이 자연스럽게 세자로 등장한다.

광해군이 즉위한 즉조당(왼쪽 건물, 경운궁 소재)
광해군이 즉위한 즉조당(왼쪽 건물, 경운궁 소재) ⓒ 김정봉
그러나 첫째부인 의인왕후가 죽자 인목왕후를 둘째 부인으로 맞아들이는데 광해군이 즉위하기 2년 전에 인목대비는 영창대군을 낳는다. 적자가 태어나 광해군에게는 또 다른 악재가 생긴 셈이다. 이런 와중에 선조가 죽게 되고 우여곡절 끝에 광해군이 왕으로 즉위하게 된다.

순탄치 않은 즉위 과정 결과 영창대군을 서인으로 폐하고 강화도로 귀양 보냈다가 죽이고 인목대비를 유폐시키는 폐비살제(廢妃殺弟)를 범한다. 후대에 광해군을 폭군으로만 기억하게 한 결정적 오점을 남기게 된다.

임진왜란은 조선과 왜와의 쌍방간의 전쟁이 아니라 명의 개입에 따라 자연스럽게 동아시아 전쟁의 성격을 갖게 된다. 임진왜란은 조선을 피폐하게 만들었고 명 또한 조선에의 파병으로 쇠락의 길을 재촉하였다. 이 와중에 여진족의 힘이 강해지면서 동아시아의 힘의 균형이 서서히 깨지고 있었다.

동아시아의 세력 판도가 바뀌고 있는 지금의 정세와 그리 다르지 않다. 역사적으로 한반도를 둘러싸고 단순하고 편안한 상황이 언제 있었겠느냐 만은 동아시아의 질서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생존을 모색해야하는 상황이 그 때와 별 반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광해군의 대내적 정책과 대외적 정책(외교정책)은 동아시아의 질서가 재편되고, 전쟁으로 피폐해진 국가를 재건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 나오게 된다. 밖으로는 새로운 질서의 태동 속에 생존을 모색해야 했고 안으로는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고 국가기강을 확립해야 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광해군에게 왕권중심의 일원화된 지배체제를 요구하였다.

이리하여 광해군은 명분보다는 실리와 공리를 중시하고 왕권에 의한 경제권 장악을 시도하여 농민층을 보호하고 지주와 기득권층에 반하는 경제정책을 시행하게 된다. 대동법의 시행은 그 대표적인 정책이었다.

이는 경제적 기득층의 이익의 일부를 희생시킨 정책으로 경제적 기득 보수층의 심한 반발을 야기한다. 이는 붕당정치에 길들여진 선조(宣祖)대의 붕당체제를 부정하는 것이었다.

명분과 의리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과 실용을 중시하는 정치의식은 대외정책에서 빛을 발한다. 명나라의 파병요구에 대해 파병불가피론자들은 명은 부모지국(父母之國)이요,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구해준 재조지은(再造之恩)이 있다고 주장하고 파병에 대한 대의명분을 주장한 반면 광해군은 조선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파병을 회피하려는 자세를 취하였다.

결국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파병을 하게 되지만 명의 요구에 밀려 파병하게 된 도원수 강홍립은 후금과 조우하게 되자 출병의 부득이함을 알려 화약을 맺는다. 이러한 조선군의 의도적 투항이 광해군의 밀명에 의한 건지에 대해서는 학자간의 논란이 많지만 광해군의 명과 후금에 대한 중립적 태도는 외교사에 남을 만한 역사적인 것이었다.

광해군은 명에 대해서도 상당한 눈치를 본 것으로 보인다. 광해군은 겉으로는 친명(親明)을 과시한다. 후금에 끝까지 항전한 김응하의 절의를 책으로 반포하는 하는 한편, 김응하의 항전사실을 표창한 것처럼 꾸몄다. 특히 중국사신이 다니는 길목에 김응하를 추모하기 위한 사당을 짓게 하여 명은 '부모지국'이요, 명과 조선은 '혈맹관계'임을 드러내 보인다. 조선의 투항이 의도된 것이 아니라 불가피한 조치였음을 명에게 알리려 했다.

한편 광해군의 후금에 대한 정책은 본심은 견제를 하되 관계는 끊지 않는 기미책(羈靡策)이었다. 후금과는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여 관계는 단절하지 않으면서 필요할 때는 견제하되, 정복하거나 지배하는 것과 같은 적극적인 대응을 피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부단한 정보수집을 통해 방어책도 마련한다.

명에 대해서는 겉으로는 친명을 천명하면서 후금에 대해서는 유연한 외교적 태도를 취하여 두 세력 사이에서 생존을 모색하게 된다. 실제로 인조반정이후 대후금 정책이 강경책으로 선회하기까지 조선은 후금으로부터 이렇다 할 피해를 입지 않았다.

위에서 정책으로 들고 있는 탈붕당정치와 경제면에서의 개혁적인 정책은 기득세력의 반발을 가져오기에 충분했다.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며 인조반정을 이끈 세력들은 표면적으로는 광해군의 현실적ㆍ실리적인 외교정책과 폐비살제의 실수를 폐위의 이유로 들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탈붕당정치의 정치의식 속에 진행된 대동법과 같이 기득세력의 목을 죄는 정치에 반발한 쿠데타라 할 수 있다.

광해군이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을 때 문초를 당했던 석어당(경운궁 소재)
광해군이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을 때 문초를 당했던 석어당(경운궁 소재) ⓒ 김정봉
광해군이 폭군인가? 역사는 승리자의 입장에서 기술하기 때문에 광해군은 폭군으로 그려지고 있다. 개인적으로 보면 즉위를 하는데 순탄하게 즉위하지 못하고 친 광해군의 세력의 도움을 받고 즉위한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런 연장선에서 폐비살제를 범하지만 그의 머리와 마음속에는 백성과 국가재건이라는 명제가 있었다.

광해군은 국가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붕당정치를 배격하고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려는 정치의식을 갖고 있었다.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기보다는 실리와 효율 그리고 현실지향적인 중립외교를 하였으며 기득세력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개혁적인 경제정책을 수행한 왕이었다. 그 이면에는 백성이 있었고 국가 재건이라는 사명이 있었던 것이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美不自美 因人而彰(미불자미 인인이창), 아름다움은 절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 인하여 드러난다. 무정한 산수, 사람을 만나 정을 품는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