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종석 문화예술과장(우)과 사회를 맡은 문윤걸 교수.
이종석 문화예술과장(우)과 사회를 맡은 문윤걸 교수. ⓒ 권오성
지난 15일 전주정보영상진흥원 1층 세미나실에서 <2006 전북의 문화정책>이란 주제로 마당 수요포럼이 열렸다. 서른여덟 번째로 치러진 이번 포럼은 문윤걸 예원예술대 교수의 진행으로 이종석 전라북도 문화예술과장이 발제를 맡았다.

주제 발표에 앞서 이종석 과장은 "원래 참석하기로 하신 유숙자 문화관광국장을 대신하여 나왔음"을 상기시키고, "최근에 담당업무를 맡다 보니 오늘 논의에서 다소 부족한 점이 있을 것"이라며 참석한 도내 문화예술인들에게 미리 양해를 구했다.

발제자는 미리 배포한 자료집 <2006년도 주요업무계획>의 주요 내용인 '2005년도 주요성과' '2006년도 시책 방향 및 주요업무' 등의 순서로 전북도의 문화정책을 설명했으며, 이후 질의응답과 열띤 토론의 시간이 이어졌다.

이날 논의에서는 전북도의 문화정책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핵심 쟁점이 부각되었다.

[쟁점1] 전북도만의 독자적인 문화 정책이 있는가?

포럼에 참여한 상당수는 질의를 통해 "도가 중앙정부와 시∙군 사업에 이끌려 따라가기만 할 뿐, 독자적인 문화 정책을 통해 도의 전반적인 문화∙예술을 견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더 나아가 "문화 정책과 관련한 전북도만의 포괄적인 비전과 목표가 분명하지 않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사업도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고 발언 수위를 높여갔다.

이에 대해 이종석 문화예술과장은 "도만의 고유한 문화정책 기조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나 발상 등의 의견 수렴은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운을 뗀 뒤, "우리 도의 주요 역할은 시∙군 사업의 조정 기능이라고 생각하며, 도의 독자적인 시책과 사업은 많다고 해서 결코 좋은 것은 아니고 그 현실 가능성이 가장 우선적이다"라며 대안이 없는 무분별한 지적은 삼갈 것을 주문했다.

이에 덧붙여서 그는 "'F-Tour'(전북 관광 브랜드로 Festival, Food, Foot, Farm Tour를 지칭) 사업은 우리 도만의 자체 사업으로 좋은 본보기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

참석한 문화예술인들이 발제자의 말을 경청하고 있다.
참석한 문화예술인들이 발제자의 말을 경청하고 있다. ⓒ 권오성
[쟁점2] 급변하는 중앙 문화 정책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은 있는가?

김동영 전주시정발전연구소 연구원은 "문화예술위원회 출범과 함께 변화하는 중앙의 문화정책에 따라 '문화 예술 장르의 기준' '문예진흥기금의 지출 방향' 등이 숨가쁘게 바뀌고 있는데, 도는 이러한 일련의 흐름을 얼마나 파악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포문을 열었다.

이어서 그는 '시민들의 문화예술 창작과 향유에 대한 지원'과 '도의 주도적인 문화 사업 발굴' 등을 주문한 뒤, 마무리로 "우리 도는 민관의 협력적인 '거버넌스'가 부족하다며 민간 전문가들이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체계와 채널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종석 과장은 약간의 부연 설명을 한 뒤, 구체적이고 상세한 답변은 차후 문서 자료로 대체하기로 약속했다.

한편 이밖에도 "정읍의 제2종합촬영소 유치 문제는 정읍시와 전북도가 합심하여 강력한 지역추진위원회를 만들어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그 성과를 얻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으며, "영상 산업 부문에 비해 지역 문화 예술 창작 역량에 대한 도의 지원은 재정적인 것은 물론 정책적으로도 매우 인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날 포럼은 여러 논쟁 속에서도 전반적으로 민∙관의 의견차를 줄이고 이해하는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막을 내렸다. 다만 참석한 민간 문화예술인의 대다수가 전주에 근거를 두고 있어서 다른 시∙군의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한 점은 상당히 아쉬웠다. 또한 발제자가 교체되는 바람에 좀더 심도 깊고 구체적인 논의를 전개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