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월출산 무위사 앞에 서면 입가엔 정지용 시인의 시어가 맴돌고, 눈가엔 아늑한 고향의 정취가 아른거린다.
ⓒ 한석종
▲ 우리 이웃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막생긴 돌들이 계단과 바닥에 허물없게 깔려 발바닥을 간지럽힌다.
ⓒ 한석종
우리나라 최남단 남도 답사 1번지 강진에 오려면 세상에서 달을 가장 먼저 맞이한다는 월출산을 휘감고 돌아 나와야만 한다.

강진과 영암은 월출산을 남북으로 절반정도씩 차지하고 있는데 영암 쪽 월출산 자락에는 도선국사가 창건한 도갑사가, 강진 쪽 월출산 자락에는 무위사가 자리 잡고 있다.

흔히, 월출산을 일컬어 "남도의 금강산"이라 부르고 있지만, 가만히 음미해보노라면 "월출산을 펼쳐 놓은 것이 금강산"이라고 할 만큼 계절과 보는 위치에 따라 변화무쌍한 자태를 뽐낸다.

이처럼 조각품처럼 빼어난 월출산 동남쪽 능선 아래 자락에 엄마 품에 안긴 아기처럼 무위사가 포근히 안겨 있다. 무위사는 작고 둥글다. 아니, 무위사는 소담하고, 무위사의 하늘이 둥글다고 말하는 것이 맞겠다.

무위사에 들어서니 고향 시골집에 온 듯한 아늑한 분위기가 물씬 풍겨난다. 우리 이웃 어디서나 손쉽게 만날 수 있는 '막생긴' 돌들이 계단과 바닥에 허물없이 여기저기 깔려있어 발바닥을 간지럽힌다.

▲ 간결하면서 절제된 아름다움의 극치, 무위사 극락보전.
ⓒ 한석종
▲ 중생들의 소망이 담긴 오색창연한 연등
ⓒ 한석종
▲ 구조적인 간결한 아름다움이 내재된 극락보전의 측면
ⓒ 한석종
몇 개의 돌계단을 오르면 소박하고 정갈한 극락보전의 모습이 시름에 겨운 답사객들의 마음을 일순 안온하게 이끈다. 곧 다가오는 석가탄신일을 기리기 위하여 연등행사 준비에 여념이 없었다.

이웃집에 사는 흰둥이 두 마리가 자신들의 소망을 사람들이 매달아 놓은 연등 사이에 끼워 놓고 싶은 듯 연등행렬 사이를 이리저리 뛰어다니고 있었다. 짐승에게나 사람에게나 서로를 구별하지 않고 존귀한 생명 그 자체를 소중히 여긴 석가모니의 자비를 온전히 누리고 싶어서일까?

강원도 지방에 때 아닌 폭설이 내렸다는 소식을 접한 지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았건만 벌써 기온은 계절의 여왕 5월을 무색케 하며 한 여름으로 치닫고 있었다.

때 이른 무더위에 지쳐 우리는 잠시 나무 그늘에 앉아 연초록 신록에 흠뻑 취해가고 있는데 조금 전까지만 해도 법당에서 피아노 건반에 맞춰 흘러나오던 찬불가 소리가 갑자기 가요 '타향살이'로 바뀌어서 나오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각자의 귀를 의심하면서 서로의 얼굴을 쳐다보다가 배시시 웃음을 터트리고 말았다. 산사에서 흘러나오는 가요가 이처럼 애절하고 사람들의 심금을 울릴 줄이야….

▲ 극락보전 천정에는 두 가족의 제비보살이 사이좋게 살고 있다.
ⓒ 한석종
▲ 이웃집 흰둥이도 함께 끼어들어 소망을 연등에 달아 놓았다.
ⓒ 한석종
나는 가요가 흘러나오는 법당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십여 명 남짓의 보살님들이 피아노에 맞춰 가요를 부르고 있었는데 그 얼굴 표정마다에는 행복의 꽃이 산사 밖의 유채꽃 보다 더 활짝 피어 있었다.

중생들의 애환이 고스란히 스며있는 가요를 들으며 나는 조선초기 주심포양식의 극치인 극락보전을 감상하다가 뜻하지 않게 극락보전 현판 위 도리와 서가래 사이에 걸려있는 두 가족의 제비보살을 만났다.

요즘 환경오염이 심각하기 때문인지 몰라도 시골에서조차 예전처럼 제비를 쉽게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주심포양식의 건축물의 하나인 무위사 극락보전 현판 위에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한 살림 제대로 차린 두 가족의 제비보살을 보면서 다시 한번 사랑과 자비의 뜻을 마음속에 새겼다.

▲ 무위사에는 수십 점의 국보급 탱화가 성보박물관을 환하게 밝히고 있다.
ⓒ 한석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