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대-창원대 통합과 관련, 양 대학의 통합 본부는 경상대가 아닌 창원대에 두는 것으로 양측이 합의했으나, 지역민들과 상공계, 경상대 동문들이 반발하는 등 파문이 일고 있다.
또 로스쿨과 한의대학원 유치가 확정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 대학본부를 창원대에 두기로 한 것에 대해 성급한 결정이란 지적이 나오는가 하면, 통합의 실질적 주체인 대학구성원 간의 협의가 없었다는 절차상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비밀리 추진 오히려 걸림돌
즉 대학총장을 비롯한 고위급 간부들이 대학구성원들을 ‘왕따(?)’시킨 채 내부반발 등을 우려해 편의적으로 통합을 진행했고, 양 총장 등은 협상내용이 알려지는 것이 통합의 걸림돌이 된다고 했지만 정작 숨기려 한 것이 오히려 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창원대 김현태 총장은 “경상대 조무제 총장과 통화에서 서로 인터뷰를 자제하고, 보도가 계속되면 두 대학 총장이 학내 의견을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한다는 말이 먼저 나올 수 있어 통합에 도움이 안된다”고, 창원지역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말한 적이 있다.
결국 합의문이 만들어진 것은 아니라고 하지만 구체적 내용의 의견일치를 봐 지역의 첨예한 사안을 교육부와 대학 관계자 몇 명에 의해 비밀리에 추진했다는 비난에 직면해 있다.
이런 이유 등으로 경상대의 경우 ‘대학본부 창원 위치’문제에 대한 언론과 지역민 대학 동문들의 지지를 얻는 데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본부는 창원에
이와 함께 ‘통합 합의문이 있다’고 처음 보도한 언론에 대해 경상대측은 “오보다”고 말하고, 창원대측은 “사실무근”이라며, 해명자료까지 배포(당일 철회)하다가 불과 하루만에 ‘의견 조율내지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8-10일 3일간 지역민들을 어리둥절케 했다.
10일 경상대와 창원대, 교육부 관계자 등은 “9일 경상대-창원대 기획처장과 교육부 관계자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대학 통합 관련 회의를 열었고, 다음해 3월 1일 통합대학을 출범하는 내용이 포함된 초안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기초적인 합의안이라고 하지만 지난해 통합 결렬 때까지 최고의 쟁점이었던 대학본부의 위치를 창원대에 두고, 진주에는 한의학 전문대학원과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을 두기로 하는 것 등의 내용이 논의됐다.
또 통합 대학명은 ‘경남국립대학교’ 내지 ‘국립경남대학교’로, 통합이 성사될 경우 지금의 조무제 총장과 김현태 총장은 사임하고, 새로운 총장을 외부에서 영입하는 것에 합의를 봤다는 것 등이 논의됐다.
동창회 학생 지역민 상공계 모두 반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지난해 통합 결렬 때도 마찬가지지만 지금도 ‘대학본부’ 위치 문제가 또다시 쟁점화되고 있다.
당장 김재경(국회의원) 경상대 총동문회장이 “대학본부 창원 불가” 입장을 밝혔고, 지역 유지들과 시민들도 “대학본부 이전은 안될 말”이라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유은주 경상대 총학생회장은 “로스쿨, 한의대학원 등이 확실치 않은 상황에서 대학본부가 거래 수준으로 결정돼선 안되고, 학생들이 없는 방학 중에 통합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라고 밝혔다.
지역민 김정철(66)씨는 “진주 사람들은 80년전 도청이 부산으로 옮겨갈 때의 아픔을 잊지 못한다”며 “도청 대신 남강다리 하나와 경남문화예술회관을 선물받은 것 말고, 수십년간의 침체를 겪은 것을 기억해야 한다”며, “대학의 중심이 이동하는 것은 도청의 이동과 결코 틀리지 않다”고 강조했다.
진주지역 상공계는 합리적인 방안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진주상공회의소 정상효 조사부장은 “대학 패권을 잡기 위한 양 대학의 집착을 떠나 정말 있어야 할 곳에 본부가 있어야 하는 합리적인 결정이 우선”이라며 “타협을 통해 대학본부 위치를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창원대 한 교직원도 “교육부가 단시일 내에 합의하라는 압력을 주는 듯한 인상이고, 경상대-창원대 총장 간의 통합 추진은 보도된 대로, 월권행위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양 지역민들과 대학관계자 등은 통합 자체에는 반대하고 있지 않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바른지역언론연대 소속 '진주신문'(http://www.jinjunews.com) 819호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