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진차연은 못난이 같지만 그 점이 바로 우리들의 가슴을 파고든다.
진차연은 못난이 같지만 그 점이 바로 우리들의 가슴을 파고든다. ⓒ sbsi
<내사랑 못난이>에서 신동주(박상민 분)는 잠깐의 인연을 맺고 헤어진(쫓아냈다는 말이 맞겠다) 진차연(김지영 분)이 자꾸 신경 쓰인다. 지지리 궁상으로 살아가는 그녀를 차마 무시하지 못하고 "넌 평생 그렇게 남 뒷바라지나 하며 살 거다"라고 독설을 퍼붓는다. 그건 아직 관심이 있다는 얘기다.

신동주의 동생, 신동현(경준 분)은 레지던트다. 동현은 경계성 인격장애를 겪고 있는 최은우(박다안 분)에 자꾸 신경이 쓰인다. 은우의 병은 전부가 아니면 오히려 고통만을 겪을 뿐이라는 걸 잘 아는 동현은 은우와 헤어지려 하지만, 늘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은우를 어쩌지 못한다.

사랑 없이 신동주와 결혼했다가 이혼해 엔터테인먼트 사장으로 변신한 정승혜(왕빛나 분). 승혜는 스캔들을 일으키고 결국 이혼을 하게 한 장본인인 진차연을 미워해야 할 것이지만, 왠지 차연에게 자꾸 신경이 쓰인다. 도저히 되지도 않는 차연을 가수로 만들려 한다. 승혜는 가난과 불행의 구렁텅이에서 차연을 건져내고픈 욕구가 생기는 것을 어쩔 수 없다.

자꾸 신경이 쓰이는 드라마

그들은 어찌 보면 전혀 관계가 없는(혹은 없어진) 이들에게 왜 그리도 신경을 쓰는 걸까. 물론 여기서 "신경이 쓰인다"는 말은 "관심있다", "사랑한다"는 말의 우회적 표현일 것이다. 요즘 식으로 하면 '쿨'한 표현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사랑인가. 물론 이 드라마는 제목에서부터 느껴지듯이 사랑 얘기임이 틀림없다. 잘 나가는 남자와 지지리 복도 없는 아줌마의 사랑, 로맨스, 판타지는 이 드라마의 주된 골격이다. 그것은 금요드라마의 전통과 잘 맞닿아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단지 이 드라마가 갖는 힘을 사랑타령으로만 볼 수 있을까. 과거의 여타 금요드라마들처럼 자극적인 상황이나 불륜 코드가 나오는 것도 아닌데, 30대 이상 아줌마 시청자들은 물론이고 젊은 층까지 끌어 모으는 이 드라마 속에는 혹시 아줌마의 사랑, 그 이상의 어떤 것이 있는 건 아닐까. 그저 그런 사랑 얘기일 거야 하면서도 시청자들을 자꾸 신경 쓰이게 하는 이 드라마의 진짜 힘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연애 드라마치고는 수상한 구조

이 드라마는 먼저 '잘난이들'과 '못난이들'을 나누어 놓는다. 잘난이들의 대표주자가 신동주, 정승혜 같은 인물이고, 못난이들의 대표주자가 진차연이다. 그들은 각자의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었다. 그런데 신동주와 진차연이 계약결혼을 하면서부터 이 전혀 다른 세상 사람들의 인생은 하나 둘 엮이게 된다.

이렇게 보면 신데렐라의 아줌마 버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겉으로 드러난 설정에 지나지 않는다. 이 드라마에서 중요한 것은 서로 다른 세상에서 살던 캐릭터들의 부딪침이다. 희귀병을 앓고 있는 아들 두리를 위해서는 '무엇이든 한다'는 진차연으로 대표되는 '못난이들'의 현실은 각박하고 눈물 나는 것이다.

하지만 그 대척점에 있는 신동주, 정승혜처럼 부족한 것 없어 보이는 인물들이 그리 행복해 보이지는 않는다. 부유한 사회적으로 '잘난이들'은 놀랍게도 가난한 '못난이들'의 행복에 끌린다.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살아가는 그들의 모습에서 자신들이 성공의 꼭대기에 올라오면서 잃었던 어떤 것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대척점의 맨 앞을 신동주와 진차연이 차지하고 있다면, 그 맨 뒤쪽은 진차연의 아들 두리와 신동주의 할머니, 조옥자(여운계 분)가 차지한다. 그 둘은 누군가의 보살핌이 필요한 인물들이다. 어찌 보면 가장 약자로 보이는 이들, 그러나 드라마 상에서 주인공을 움직이는 가장 강력한 동인으로 작용한다.

진차연을 비롯한 '못난이들'은 두리를 위해 어떤 일이든 마다지 않는다. 때론 비굴하기도 하고, 때론 굴욕을 당하면서도 그들은 두리를 위해 무언가를 한다는 것에 행복을 느낀다.

한편 신동주가 유일하게 애정을 쏟는 인물은 치매를 앓고 있는 조옥자다. 신동주는 결혼의 조건에서조차 상대가 조옥자를 위해 헌신할 인물인가를 먼저 살핀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조옥자가 다른 사람이 아닌 진차연만을 찾는다는 것이다. "진가년이 뭐가 그리 좋냐"는 신동주의 물음에 조옥자는 말한다. "그년에게서는 사람 냄새가 난다"고.

사람냄새 나는 드라마

이 할머니의 한 마디는 이 드라마의 구조를 빈부나 '잘난이와 못난이'가 아닌 '사람 냄새 나는 이'와 '그렇지 못한 사람'으로 나누어놓는다. 신동주는 이제 알아차린다. 왜 자신이 자꾸 진차연이 신경 쓰이는지. 그것은 바로 진차연에게서 나는 사람냄새다. 신동주가 할머니에게 이끌리던 그 묘한 힘을 진차연에게 똑같이 느낀 것이다.

이 이야기는 비단 진차연과 신동주 간의 얘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신동주의 동생 신동현과 최은우의 사랑 역시 마찬가지다. 신동현은 우리가 흔히 현실에서 보는 이성적인 인간의 전형을 보여준다.

'한 사람이 어떻게 다른 사람의 전부가 될 수 있는가'하고 신동현은 의문을 갖는다. 반면 최은우는 물론 병으로 포장되어있지만, '이것저것 따지지 않는 전부의 사랑'을 하는 인물로 극단화되어 있다. 신동현은 이성이니 사랑이니 하는 허울에 갈팡질팡하고 있는 반면, 최은우는 온몸을 던져(해줄 수 있는 게 안보는 거라면 그거라도 해주겠다는 식의) 사랑을 해나간다. 병자이지만 우리에게 더 인간적인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정승혜는 진차연과 자신의 단짝 친구인 이호태를 만나면서 '행복이 무엇인가'를 스스로 질문한다. 정승혜는 진차연에게 어떤 외면할 수 없는 인간의 예의를 발견하는 한편, 이호태를 통해 자신의 삶이 허울뿐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인간적인 삶과 행복'을 처음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측은지심'의 드라마

작가는 아마도 양끝에 자리한 두 약자(두리와 조옥자)를 세워놓고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 당신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 드라마를 보면서 우리들은 막 우물에 빠지려는 아이를 보는 것 같은 안타까움과 불쌍한 마음을 갖게 된다. 아픈 사람을 보며 자신도 아파하는 것, 불쌍한 사람을 보면 도우려는 마음이 생기는 것, 즉 맹자가 말한 측은지심을 우리는 이 드라마를 통해 경험한다.

물론 이 드라마는 사회 양극화의 문제를 구조적인 문제로 보지 않고 쉽게 개인적인 문제로 환원시키고는, 사랑이란 허울로 해결하려 한 혐의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하지만 드라마에서 그걸 다룬다면 시청률 제로에 도전하는 꼴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약점에도 이 드라마가 반짝반짝 빛나는 것은 허위의식으로 가득한 세상에 쓰러지지 않고 당당하게 맞장을 뜨는 진차연의 '인간적인 모습'이 소중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 오센뉴스(www.osen.co.kr)에도 게재된 글입니다. 블로그(더키앙 thekian.net)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