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28일, 경남 거창군에 있는 나비한약국을 방문했다. 추석 연휴 직후, 게다가 시외버스 터미널 앞에 길게 늘어 선 택시 때문인지, '낯선 동네'가 더욱 한산해 보였다. 잠시 후 10분이나 달렸을까. 택시 미터기 요금은 어느새 8천원에 육박하고 있었다. 거창 중심에서도 꽤 먼 곳에 왔다는 뜻이다. 그리고 눈앞에 '(주)나비네트웍스'란 글자가 나타났다. 산 그림자 아래 숨어 있는 한적하기만 한 동네와는 왠지 어울리지 않는 듯한 가설건물. 지난 8월에 거창 나비한약국 준공 소식이 꽤 많이 보도됐던 탓에 거창한 '그림'을 상상했지만, 기대에는 많이 못 미치는 수준. 이 곳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한방 네트워크가 쓰는 한약을 전문 제조한다? 이런 실망감을 아는지 모르는지, 한의생명의과학연구소 탁건태 책임연구원이 밝은 얼굴로 기자를 맞았다. 인사를 나누고 2층 탁 연구원 책상 앞에 마주 앉았다. 달랑 노트북과 전화기 각각 한 대, 휑하기는 역시 겉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공장 설비도 아직 정상 가동 단계가 아니다. "개업 준비중인 회원사가 많고, 이에 따라 아직은 대량 주문이 발생하지 않고 있어서"다. 탁 연구원과 함께 우선 2층 제조 시설부터 둘러보기 시작했다. 우선 커다란 탱크 두 개가 눈에 띈다. 먼저 한약재를 추출하는 탱크, 한꺼번에 많은 약을 달이는 일종의 대형 '약탕기'다. 나비한약국의 핵심 기능인 '공동 탕전(가열해 액을 짜는 방식)' 1차 과정을 수행하는 시설로 "한꺼번에 3∼4백개까지 조제가 가능하다"고 한다. 동일 처방 한약재를 나비네트웍스 소속 회원사들에게 대량 제조·공급하기 위한 기본 설비다.
하지만 나비한약국 핵심 기술은 바로 옆에 있는 탱크에 숨어 있다. 2차 과정으로 '대형 약탕기'로 추출된 한약재를 농축하는데, 나비네트웍스 박기태 대표가 "국내 유일의 기술"이라고 자랑하는 저온농축 탱크다. 탁 연구원은 "고온 농축했을 때는 약효 성분이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저온감압 농축으로 한약재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농축 한약은 조그만 유리병에 담긴다. 일반적으로 한약 파우치팩(포장 봉투, 비닐팩 종류가 많다)이 많이 쓰이지만, 나비한약국은 20ml짜리 유리병을 사용한다. 한약을 유리병에 담는 것에서 상표 부착 역시 모두 자동으로 처리된다. 이같은 '공정'은 외부로부터의 오염 가능성을 줄인다. 탁 연구원은 "일반 약탕기를 사용하면 같은 양을 여러 차례에 걸쳐 달여야 한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많은 양을 한 번에 달이고, 또 약재 투입부터 최종 출고까지 모든 과정이 자동화된, 약탕기처럼 뚜껑을 열고 닫을 필요가 없는 일종의 클로징 시스템이다. 그만큼 외부 오염 확률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한약재 안전성을 높이면 1차적인 혜택은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나비네트웍스 회원사는 대량 조제로 인한 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나비네트웍스는 이와 같은 '공동 탕전' 과정을 통해 표준화를 제고할 수 있다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 탁 연구원은 "소량씩 하다보면 탕전 시간이나 약탕기 예열 상태에 따라 조제 과정이 달라질 수 있지만, 한꺼번에 탕전하면 똑같은 환경에서 한약이 만들어짐으로써 표준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양약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 제조를 위한 요건들을 구체화한 기준)와 같은 기준을 세워 소비자들이 믿고 먹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전성 제고를 위해 필수적인 것이 또 검사다. 현재 나비네트웍스는 한약재 출고시에 나비한약국에서는 미생물 검사를, 한의생명의과학연구소에는 중금속·농약 등 유해성분 분석 검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검사 주기는 "탱크를 돌릴 때마다 매 번"이라고 한다. 탁 연구원은 "약 하나 팔면 17∼25만원 정도 하는데, 그때마다 5만원에서 7만원 정도 드는 분석 검사를 한다는 것은 개별 한의원에서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며 "하지만 우리는 제조 단위가 큰 만큼, 그 정도 비용은 큰 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탁건태 책임연구원은 현재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고 있다. 아내와 두 자녀는 창원에서 거주한다. 탁 연구원이 한의생명의과학연구소를 통해 나비네트웍스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올해 2월. 연구소가 수원으로 이사가고, 자신은 나비한약국에 '명'받으면서 졸지에 '주말 부부' 신세가 되고 말았다. 지금 그의 임시 거처는 나비한약국 2층에 있는 휴게실. 밤에는 혼자다. 탁 연구원은 "너무 조용한 곳이다 보니, 처음에는 밤에 무섭기도 했다"면서 "지금은 익숙해져 괜찮다"고 말했다. 현재 나비한약국에 출근하는 직원은 5명. 탁 연구원은 "모든 설비가 자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는 이 정도 인원으로도 감당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공동 탕전이 본궤도에 오르면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소에 들어오기 전만 해도, 탁 연구원은 한의학과는 '가깝고도 먼' 직장에서 일했다. 발효공정개발 전문가로 제약회사에서 7년 정도 근무했다. 아, 그리고 또 하나. 그는 "매일 오마이뉴스를 챙겨보는 애독자"라며 "기존 언론에서 잘 다루지 않는 부분에 대한 관심"을 주문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