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주 남산 봉화골 신선암의 해맞이 죽어가던 해가 다시금 생명을 얻고 되살아나는 동짓날, 남산의 억센 바윗덩이에 잠든 하늘신의 성산(聖山)은 순결한 태초의 불꽃을 머금고 긴 잠에서 깨어난다.
경주 남산 봉화골 신선암의 해맞이죽어가던 해가 다시금 생명을 얻고 되살아나는 동짓날, 남산의 억센 바윗덩이에 잠든 하늘신의 성산(聖山)은 순결한 태초의 불꽃을 머금고 긴 잠에서 깨어난다. ⓒ 남병직

봉화골의 긴 겨울밤은 아득히 잠들어 있고

날이 새려면 아직 두어 시간 남짓이다. 짙은 먹빛의 돌산과 어슴푸레한 하늘만이 산과 하늘의 경계를 확연히 갈라놓은 이른 새벽녘. 밤새 내리던 빗줄기가 차차 잦아들더니 희끗희끗한 눈발만이 매섭게 흩날린다.

따뜻한 날씨 탓에 서라벌에서 겨울눈을 맞이하기란 가뭄에 콩 나듯 드문 일이다. 눈 덮인 산을 오르는 건 여러모로 힘들고 번거롭지만, 부처님을 찾아뵙기에는 더없이 좋은 날이기도 하다. 새 하얀 눈꽃 속에 홀로 자비로운 미소를 떠올리니 찾아가는 걸음걸음이 한결 가볍고 설렌다.

칠불암 등산로가 시작되는 통일전주차장의 새벽은 희뿌연 가로등 불빛만이 간신히 어둠을 밀어낸다. 고깔모자에 마스크와 목도리까지 온 몸을 빈틈없이 동여매도 옷깃을 파고드는 동장군의 기세를 한풀 꺾을 도리는 없다. 귓전을 윙윙대는 사나운 바람소리에 질려 몸은 자꾸만 안으로 한껏 움츠러들 뿐이다.

은은한 달빛 한 줄기가 빛을 드리운다. 주변에 달리 불빛이 없어 달빛은 더욱 맑고 밝다. 자주 오가는 길이건만 어두운 밤길이라 그런지 발끝에 부딪치는 나뭇가지나 돌부리에도 식은땀이 흐르고 등골이 오싹하다. 동 남산의 깊은 가슴 속, 봉화골(烽火谷)의 긴 겨울밤은 아직 아득히 멀고 고요히 잠들어 있다.

차가운 바위에 새겨진 일곱 부처님의 따뜻한 마음

거친 숨을 몰아쉬며 한 시간 정도 왔을까? 날은 벌써 저만치서 환하게 밝아온다. 지난 밤 어둠 속에 잠들었던 산과 나무들이 갖가지 고운 자태를 골골이 뽐내기 시작한다. 죽어가던 해가 다시금 생명을 얻고 되살아나는 동지가 조금 지난 초겨울 무렵이다.

언덕길을 내내 오르내렸더니 어느새 숨은 턱밑까지 차오른다. 산비탈에 켜켜이 쌓아올린 무심의 돌층계 사이로 하늘로 솟은 소나무들이 구불구불 끝도 없이 이어진다. 길의 끝 가파른 바위산의 허리에 동 남산 최고의 불적, 칠불암(七佛庵)이 웅대하다.

칠불암 사방불 중 동면여래상 동향으로 앉아 손에 약그릇을 든 모습이 동방유리광정토를 다스리는 약사여래임을 알려준다. 먼 산을 지긋이 바라보는 부처의 자비로운 미소가 찾아오는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어루만진다.
칠불암 사방불 중 동면여래상동향으로 앉아 손에 약그릇을 든 모습이 동방유리광정토를 다스리는 약사여래임을 알려준다. 먼 산을 지긋이 바라보는 부처의 자비로운 미소가 찾아오는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어루만진다. ⓒ 남병직

보물 제200호 경주남산칠불암마애석불(慶州南山七佛庵磨崖石佛) 칠불암은 병풍바위에 삼존대불을 새기고, 그 앞에 면마다 여래상을 새긴 사방불(四方佛)을 두었으니 모두 일곱 분의 부처를 모시고 있는 셈이다.
보물 제200호 경주남산칠불암마애석불(慶州南山七佛庵磨崖石佛)칠불암은 병풍바위에 삼존대불을 새기고, 그 앞에 면마다 여래상을 새긴 사방불(四方佛)을 두었으니 모두 일곱 분의 부처를 모시고 있는 셈이다. ⓒ 남병직

먼 산에 곱게 내려앉은 간밤의 잔설이 투명한 아침햇살에 더욱 반짝거린다. 아직 이른 시간이라 암자를 찾는 발길은 뜸하지만, 야외에 마련된 법당 앞 작은 마당은 벌써 부지런한 손길로 말끔하게 단장되었다.

칠불암 유적 주위로 커다란 난간이 둘러쳐 있어 부처님의 온기를 가깝게 느낄 수 없다. 마당 한쪽에 웃자란 나무그늘에 기대어 사방불에 가려진 본존불의 미소를 한참 동안 바라본다. 눈 쌓인 마당을 쓸어내던 보살님의 엄한 꾸중에도 불구하고 다시금 용기를 내어 부처님께 한 발짝 다가섰다.

칠불암 마애삼존불 본존여래는 다소 근엄한 얼굴이나, 딱 벌어진 어깨와 굴곡있는 가슴 등에서 통일신라 전성기의 불상으로 이행하는 당당한 힘과 위엄이 느껴진다.
칠불암 마애삼존불본존여래는 다소 근엄한 얼굴이나, 딱 벌어진 어깨와 굴곡있는 가슴 등에서 통일신라 전성기의 불상으로 이행하는 당당한 힘과 위엄이 느껴진다. ⓒ 남병직

병풍바위에 돋을새김 한 삼존대불은 중앙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手印)을 맺은 본존여래를 두고, 그 좌우로 연꽃과 정병을 든 보살상을 세웠다. 간혹 이 삼존대불을 아미타삼존으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앞에 놓인 사방불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하면 석가여래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불보살의 굳게 다문 입술에서 풍기는 근엄함은 박제된 듯 경직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하지만 온 몸을 감싸 흐르는 유쾌한 옷 주름과 잘록한 허리를 내민 삼곡(三曲)의 앙증맞은 보살상이 미완의 삼존대불에 생명을 불어 넣는다. 아담한 연꽃 모양의 탐스런 두광에서 중생을 향한 부처의 소박한 마음이 밝게 빛난다.

하늘 신(神)의 성산(聖山)으로 이르는 마음의 문(門)

칠불암에서 잠시 상념에 잠겨 있는 동안 해는 벌써 떠올라 먼 산자락을 붉게 물들인다. 서둘러 가파른 암벽능선을 타고 신선암으로 빠른 걸음을 옮겼다. 동이 터 솟아오른 햇살이 가장 먼저 고운 빛을 내어주신 땅, 서라벌의 수줍은 아침이 살며시 얼굴을 내민다.

동 남산 열여섯 골짜기의 옅은 개울물은 저마다 남천(南川)의 푸른 강물로 모여들었다. 차고 시린 겨울 강바닥 아래 신의 성전을 향해 달려가는 거룩한 산들의 질주가 마치 한 폭의 비단을 풀어헤쳐놓은 듯 시원하고 장엄하다.

신선암에서 내려다본 서라벌 전경 칠불암에서 신선암으로 오르다보면 멀리 토함산의 우뚝한 연봉과 천 길 낭떠러지 아래 거룩한 산들이 한 폭의 비단을 풀어헤쳐놓은 듯 시원하고 장엄하다.
신선암에서 내려다본 서라벌 전경칠불암에서 신선암으로 오르다보면 멀리 토함산의 우뚝한 연봉과 천 길 낭떠러지 아래 거룩한 산들이 한 폭의 비단을 풀어헤쳐놓은 듯 시원하고 장엄하다. ⓒ 남병직

예로부터 남산은 하늘 신과 인간의 염원이 맞닿은 소통의 성산(聖山)이었다. 불가(佛家)의 신(神)이 남산의 억센 바위에 고이 잠들고부터 서라벌의 옛 사람들은 오래도록 하늘 신을 잊은 듯했다. 그러나 그들의 간절한 바람은 끝도 없이 치솟은 바위산을 타고 지금껏 높다란 하늘로 내내 이어지고 있다.

칠불암(七佛庵)과 신선암(神仙庵) 봉화골 정상의 칠불암, 병풍처럼 펼쳐진 일곱 부처님 위로 하늘과 맞닿은 신선암이 천 길 낭떠러지 위에 우뚝하게 솟았다.
칠불암(七佛庵)과 신선암(神仙庵)봉화골 정상의 칠불암, 병풍처럼 펼쳐진 일곱 부처님 위로 하늘과 맞닿은 신선암이 천 길 낭떠러지 위에 우뚝하게 솟았다. ⓒ 남병직

멀리 토함산연봉에서 불붙은 햇살이 불그레한 볼을 부비며 하늘 신의 성산(聖山)을 흔들어 깨운다.

신선암 마애보살상의 해맞이1 멀리 토함산 연봉에서 불덩이가 솟아오른다. 남산의 억센 바위는 벌겋게 달아올랐다.
신선암 마애보살상의 해맞이1멀리 토함산 연봉에서 불덩이가 솟아오른다. 남산의 억센 바위는 벌겋게 달아올랐다. ⓒ 남병직

신선암 마애보살상의 해맞이2 깨끗하고 투명한 아침햇살이 부딪치자 티 없이 맑은 금빛으로 부처님이 빛난다.
신선암 마애보살상의 해맞이2깨끗하고 투명한 아침햇살이 부딪치자 티 없이 맑은 금빛으로 부처님이 빛난다. ⓒ 남병직

태초의 바윗덩이에 투명한 아침햇살이 부딪치자 억센 돌산은 온기를 머금고 한차례 살아 꿈틀거린다. 맑은 금빛으로 빛나는 32상의 미묘한 금색상(金色相)이 거룩한 돌부처에 장엄되는 순간이다.

보물 제199호 경주남산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慶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구름 위를 하강하는 유희좌(遊戱坐)의 보살상은 한 송이 작은 연꽃을 딛고 허공에 떠있다. 어깨를 타고 흘러 내리는 신비로운 천의 자락이 구름 속에 나부낀다.
보물 제199호 경주남산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慶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구름 위를 하강하는 유희좌(遊戱坐)의 보살상은 한 송이 작은 연꽃을 딛고 허공에 떠있다. 어깨를 타고 흘러 내리는 신비로운 천의 자락이 구름 속에 나부낀다. ⓒ 남병직

서라벌의 옛 사람들이 신에게 이르던 길은 지금껏 단 한 번도 닫힌 적이 없는 적멸의 시간에 마음의 열쇠로 열리는 무문(無門)의 문(門) 너머에 있다. 그 내밀한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선 자가 지난 천년의 세월 동안 과연 몇 명이나 될까?

하늘 신의 성산으로 가는 마음의 문 보살이 깃든 바위는 서라벌 옛 사람들이 그들의 신에게 이르는 마음의 문이었다.
하늘 신의 성산으로 가는 마음의 문보살이 깃든 바위는 서라벌 옛 사람들이 그들의 신에게 이르는 마음의 문이었다. ⓒ 남병직

거룩한 동지의 빛이 하늘 신의 성산에 반짝인다. 신에게 이르는 적멸의 문은 남산의 태산준령을 가로지르더니 쪽빛 푸른 하늘에 그려지다 마음 속 점점 잠기어온다.


#신선암#칠불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경북지역 대학생문학연합(효가대 난문학회) 동인/ 문화유산답사회 우리얼 문화지킴이간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연구원/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