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것이 진짜 고속도로다. 붐비지도 않다. 추월하려고 액셀을 밟을 필요도 없다. 이렇게 달리기를 한 시간 정도. 붐비지 않으니 지나가는 풍경을 마음껏 감상할 수도 있었고, 중간 중간 눈에 띄는 시골 마을의 정겨움을 눈에 담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다. 고속도로 위에서 아무런 표식도 없이 중앙분리대 근처에서 쓰레기를 줍는 사람도 눈에 들어온다. 지인에게 물어보니 괜찮다고 말한다. 이것이 중국에서 처음 본 고속도로 광경이다.

돌고 돌아서간 북녘 하늘. 순천에서 인천. 인천에서 연길. 연길에서 도문까지. 이미 마음은 도문의 건너편 북녘 하늘에 먼저 가 있었다. 이곳이 그리도 가고 싶었던 우리 동포가 사는 북녘 하늘이라고 생각하니 한동안 공허한 외침이 마음속을 울렁거리게 한다.

이곳 도문은 길림성(吉林省) 연변(延邊) 조선족자치주 중동부에 있는 중소도시란다. 북쪽으로 흐르는 두만강(豆滿江)과 남동쪽으로 흐르는 가야강이 합류한 서쪽에 위치한 곳. 한 때는 중국과 북한을 연결하는 유일한 무역통로로서 북⋅중무역의 중심지였다고 자랑한다.

1910년대까지만 해도 도문은 중국 연길현에 속한 아주 작은 자연마을에 불과했다. 심지어 1925년까지도 20여 호가 살아가는 작은 마을이었을 뿐. 그러나 1931년에 100여 호 규모로 커졌고, 1934년에는 연길현 도문시로 승격.

두만강 건너 북한의 남양(南陽)과는 철교로 연결되어서 장춘(長春)∼도문(圖們)뿐 아니라 목단강(牧丹江)∼도문(圖們) 등을 연결하는 중국내외의 교통 중심지였다고 한 마디 더 자랑.

중국쪽에 세워진 변경 표시판 중국과 북한의 국기가 선명하게 그려진 중조변경 표시판에서 북한을 향해 찍은  모습.
중국쪽에 세워진 변경 표시판중국과 북한의 국기가 선명하게 그려진 중조변경 표시판에서 북한을 향해 찍은 모습. ⓒ 윤병하

도문시의 유례와는 상관없이 이미 마음이 가 있는 곳은 북녘 땅. 그러나 먼발치에서 철교를 바라보며 씁쓸한 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는 가혹한 현실이 누 앞에 버티고 있다. 저기 보이는 곳이 바로 돌고 돌아서 온 북녘 하늘, 남양시(南陽市)란다.

두만강 철교 황토색 부분이 중국이고 회색부분이 북한이라고 한다. 국경을 넘기위해 중국인들이 검문을 받고 있는 모습.
두만강 철교황토색 부분이 중국이고 회색부분이 북한이라고 한다. 국경을 넘기위해 중국인들이 검문을 받고 있는 모습. ⓒ 윤병하

철교의 중간에 색깔이 다른 것이 국경선. 황토색으로 칠해진 곳이 중국이고 하늘색으로 칠해진 곳이 북한이라 한다. 하지만 색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중국인은 마음 놓고 갈수 있는 곳이지만 같은 민족인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들의 뒷모습만 바라보고 돌아서야 한다는 사실이 현실이 되어버린 것을.

남양시의 모습 중국의 도문시에서 바라본 북한 땅 남양시에 건축된 아파트. 60년대에 건축된 후 지금까지 거의 보수 공사는 이루어지지 않는듯한 모습이다.
남양시의 모습중국의 도문시에서 바라본 북한 땅 남양시에 건축된 아파트. 60년대에 건축된 후 지금까지 거의 보수 공사는 이루어지지 않는듯한 모습이다. ⓒ 윤병하

국경 표시판 이곳이 중국과 북한의 국경임을 나타내는 붉은색 국경표시가  가슴을 조이게 한다.
국경 표시판이곳이 중국과 북한의 국경임을 나타내는 붉은색 국경표시가 가슴을 조이게 한다. ⓒ 윤병하

도문에서 바라본 북한의 들판은 회색빛으로 변해 있었다. 산의 팔부능선까지 개간의 흔적이 목격됐고, 60년대에 건축된 5∼6층 규모의 아파트는 보수를 하지 않아 폐허처럼 너덜거렸다.

같이 간 초등학생 조카의 물음에 시원한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 왜 북쪽에 있는 아파트 창문 유리창은 비닐로 되어있냐는 물음에 먼 산만 쳐다 보기를 한참. 그리고 말없이 돌아서 왔다. 다음에는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허무한 꿈이 아니기를 바라면서.

연변과학기술대학 연변고학기술대학 본관 옆 공원에 화강암 자연석이  학교의 웅장함을 표호하고 있는 듯.
연변과학기술대학연변고학기술대학 본관 옆 공원에 화강암 자연석이 학교의 웅장함을 표호하고 있는 듯. ⓒ 윤병하

내일은 연길시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한 한국인이 세운 연변과학기술대학을 방문할 계획이다. 그곳은 1992년 설립된 중국 최초의 중외합작대학이라고 지인은 살짝 귀띔한다.


#도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