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신 : 21일 오후 5시 55분]
청와대, 김석기 내정자 교체쪽으로 가닥 잡은 듯
청와대가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를 교체해 조기에 사태를 수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청와대 내부에서는 이 사건을 매우 심각하게 보고 있다"며 "특히 검찰조사 결과 인화물질이 있는 걸 알면서도 경찰이 무리하게 진입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김석기 내정자가 자리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는 청와대가 여론이 악화되는 것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김 내정자의 교체를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노무현 정부 때 시위 도중 농민 1명이 사망하는 사건으로 허준영 당시 경찰청장이 결국 옷을 벗었다는 점에서 6명이나 사망한 이번 참사의 경우 책임자를 경질하는 것 외에는 다른 수습책이 없어 보인다.
김 내정자도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내가 한 일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거나 자리에 연연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경찰청의 한 관계자는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은 상당히 온화하고 합리적인 성품을 가진 분인데 교체설이 나와 참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 내정자가 교체될 경우 임재식 경찰청 차장과 김도식 경기지방경찰청장이 유력한 차기 경찰청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1신 : 21일 낮 12시 30분]
MB, 특공대 투입한 김석기 청장 경질하나
"인명 희생이 빚어져 참으로 가슴 아프고 안타까운 일이다. 다시는 이 같은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서울 용산 철거민 참사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은 21일 오전에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용산 철거민 참사 경위, 한나라당의 대책 등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용산 철거민 참사가 공교롭게도 개각이 단행된 직후 일어났다는 점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한 한 인사는 "아주 침중(沈重)한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진상 규명돼야 책임소재 따질 수 있어"
청와대는 이번 사건이 '제2의 촛불사태'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을 헤아려 여론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러한 사태의 심각성 때문인지 행정안전부장관과 국세청장 인사도 늦추고 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21일 오전 "행정안전부장관과 국세청장 인사는 서두르지 않겠다"며 "큰 사태가 빚어졌기 때문에 민심을 수습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청와대를 가장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의 사퇴 요구다. 민주당 등 야당과 시민·사회단체들은 김 내정자가 경찰특공대의 투입을 승인해 대형참사가 일어났다며 그의 사퇴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진상규명이 우선"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동관 대변인은 "상황이 어떻게 진행돼 여기까지 왔는지가 정확하게 밝혀져야 책임소재를 따질 수 있다"며 "진상규명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사태를 마무리 짓기 위해서는 당연히 선후-인과관계가 정확하게 밝혀져야 한다"며 "오늘 중에 인사와 관련된 결정이 내려질 가능성은 없다"고 일단 경질 가능성은 일축했다.
"지난해 촛불 때와 다르기 때문에 강한 수습책 내야" 의견도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사퇴압력을 받았던 어청수 경찰청장을 교체하지 않은 이유는 당시 논란이 컸던 조계사 검문을 '정당한 공무집행'으로 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는 이 대통령이 김석기 내정자의 경찰특공대 투입 등을 정당한 공무집행으로 볼 것인지 지나친 공권력 행사로 볼 것인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철거민들이 농성을 시작한 지 25시간 만에 경찰특공대가 전격 투입됐다는 점에서 '과잉진압' 논란을 피할 수는 없어 보인다. 특히 청와대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국정원장으로 내정한 원세훈 행정안전부장관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을 들어 김 내정자의 경질을 통해 사태를 조속히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청와대도 이번 사태를 예민하게 주시하고 있다"며 "지난해 촛불집회 때와도 좀 다르기 때문에 김 내정자의 교체 등까지 포함해 강한 수습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집권 2년차를 맞아 '비상경제정부'를 선언하고 경제위기 조기극복에 매진하겠다고 한 이명박 대통령이 '강한 결단'을 내리지 않으면 정권의 기반이 급속하게 와해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특히 그런 결단을 빨리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