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6일 오전 경기 평택시 칠괴동 쌍용자동차 공장 앞에서 정리해고에 제외된 직원들이 공장진입을 시도하며 '파업중단' 구호를 외치고 있다.
지난 16일 오전 경기 평택시 칠괴동 쌍용자동차 공장 앞에서 정리해고에 제외된 직원들이 공장진입을 시도하며 '파업중단'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유성호

 

국민 중 70%가 쌍용차 대량해고와 파업 사태에 정부 책임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80%에 가까운 국민이 파업 사태 해결을 위해 공권력을 투입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 4명 중 3명이 정부 책임을 지적하면서, 쌍용차 공권력 투입은 안 된다고 생각하는 셈이다.

 

이 같은 사실은 쌍용차 범국민대책위가 '한길리서치'에 조사를 의뢰해 지난 15~16일 이틀간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면접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에서 나타났다.

 

"쌍용차 사태, 노동자 파업 탓" 17.6% 불과

 

한길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쌍용차 파업 사태를 알고 있다"는 국민이 88.8%로, "모른다"는 국민(11.2%)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다.

 

또 정부가 중국 상하이자동차에 쌍용차를 매각한 것은 "잘못한 일"로 받아들이는 국민이 61.2%에 달했다. "잘했다"는 응답자는 15.4%에 불과했다. 나머지 23.4%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쌍용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간 책임을 묻는 질문에는 국민의 40.1%가 "정부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다음으로는 상하이자동차(19.9%), 근로자 및 노동조합(13.2%), 채권단(9.4%), 기타(4.3%) 순이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13.1%나 됐다.

 

쌍용차 회생을 위해 대량 정리해고를 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63.1%가 반대했다. 반면 31.1%는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잘 모른다"는 대답은 5.8%였다.

 

쌍용차가 구조조정과 대량해고를 하게 된 책임소재에 대해 70%에 달하는 국민들이 "상하이 자동차에 쌍용차를 매각해 투자를 하지 않고 기술만 빼가게 만든 정부 책임이 크다"고 답했다. 반면 "회사가 어려운데 파업을 하는 노동자의 책임이 크다"고 답한 사람은 17.6%에 불과했다.

 

다만 공적자금을 투입해 쌍용차를 공기업화하자는 의견은 찬성(45.3%)과 반대(42.6%)가 팽팽했다. 잘 모르겠다는 의견은 12.1%였다.

 

정부가 쌍용차 노동자들의 파업을 진압하기 위해 공권력을 투입하는 데는 거의 대부분 국민들이 반대했다. "공권력 투입에 반대한다"는 응답자는 79%로 국민 4명 중 3명꼴로 반대하고 있었다. "공권력을 투입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17%에 불과했다. 나머지 4%는 "잘 모른다"고 답했다.

 

쌍용차 범대위 "인력감축 구조조정 방식 개선하라"

 

한편 18일 쌍용차 범대위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지금 당장 정부가 쌍용차 문제 해결에 발벗고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쌍용차 범대위는 "정리해고 등 노동자를 자르는 식의 구조조정에 국민 다수가 동의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면서 "차제에 인력감축, 임금삭감 등 자구계획안을 마련하도록 한 기업구조조정촉진법도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나누기 등 고용유지 방식으로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권력을 투입할 경우 '강력한 투쟁'에 나서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쌍용차 범대위는 "국민의 79%가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는 공권력으로 노동자 파업을 해산시키려는 의도를 포기해야 한다"면서 "정부가 노조와 직접 교섭해 쌍용차 회생 방안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국민 여론을 무시한 대가를 톡톡히 치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쌍용차#공권력 투입#여론조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1년 오마이뉴스 입사 후 사회부, 정치부, 경제부, 편집부를 거쳐 정치팀장, 사회 2팀장으로 일했다. 지난 2006년 군 의료체계 문제점을 고발한 고 노충국 병장 사망 사건 연속 보도로 언론인권재단이 주는 언론인권상 본상, 인터넷기자협회 올해의 보도 대상 등을 받았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