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쯤은 홍대 앞 근처에 '인디'라는 단어가 식수되던 때이기도 하다. 지금도 내가 기타를 치고 있는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 역시 그 무렵에 시작된 인디 밴드다. 나는 홍대 앞의 '인디'라는 낱말과 함께 나의 30대를 보냈고 그만큼 잊혔거나 자랐다.
클럽에서 공연을 하거나 놀고 나온 후, 새벽 3시에 나는 물건들과 겹치는 수많은 사람들을 봤다. 그들의 운명은 비닐봉지의 그것이나 다를 바가 없었다. 순간적인 사운드에 몸을 맡긴 뮤지션이나 순간적인 소비에 활용되는 물건들, 그 공간을 누비는 수많은 젊은 눈동자들을 봤다. 그걸 꼭 덧없다고 할 필요도 없고, 잘났다고 할 필요도 없다. 우린 매일 그렇게 살고 있다. 편의점에서 너를 보았고 홍대 앞에서 너를 보았다."(3호선버터플라이 기타리스트 성기완, '<홍대 앞 새벽 세시> 책 머리글'에서)홍대 앞 새벽 세시, 인디 문화 10년의 기록2009년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노래상, 최우수 록 음악상을 거머쥔 장기하가 있기 전에 "어딘가 예술적이고, 어쩐지 괴짜 같고, 멋이 있고, 전위적일 것 같은"(<홍대 앞 새벽 세시> 46쪽) 홍대 앞 문화가 있었다. 장기하도 지금처럼 '장기하와 얼굴들'로 뜨기 전에는 '눈뜨고 코베인(2002년에 결성된 홍대 앞 인디밴드)'에서 건반을 맡았던 연리목이었다.
그리고 지금도 장기하는 홍대 앞에 있고, 홍대 앞 인디문화도 살아 있다. 시시각각 변해 온 것은 홍대 앞 인디문화가 아니라 그것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평가일 뿐이다. 홍대 앞 인디문화는 대중에게서 잊혔을 때도 자라고 있었다.
10년 넘게 지속된 홍대 앞 인디문화의 역사와 함께 한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의 기타리스트 성기완이 홍대 앞 인디문화의 10년을 돌이켜보며 책 한 권을 썼다. <쇼핑 갔다 오십니까?>, <유리 이야기>, <당신의 텍스트>라는 시집을 낸 시인이기도 한 성기완의 시선으로 홍대 앞 인디문화 10년사를 맛있게 버무린 책 <홍대 앞 새벽 세시>가 나왔다. 홍대 앞 출판사 '사문난적'에서 이 책을 펴냈다.
홍대 앞에도 족보가 있다
홍대 앞 인디문화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나왔다는 것은 나와 같은 편리한 키치적 문화소비자에 대한 기습 공격이다. 홍대 앞에서 약속을 잡고 홍대 앞에서 술을 마시면서, 늘 홍대 앞의 왠지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즐기면서도 진짜 '홍대 앞'과는 늘 낯선 거리를 유지했던 나. 홍대 앞에는 매일 밤 기록되는 수많은 야사(野史)는 있을망정 정사(正史)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나.
그러나 그것은 오로지 나, 홍대 앞을 뻔질나게 다니면서도 늘 홍대 앞 문화를 잊어버린 나의 책임이다. 90년대 중반, 홍대 앞 펑크 클럽 드럭이 쏟아내는 에너지 방사능에 감염된 채 살았으면서도 크라잉넛이 TV에 심심찮게 출연하던 시절 이후부터는 그 에너지의 본원을 잊고 살았던 나.
그런데 대중들 속에서 시시때때로 멀어질 때도 홍대 앞 아방가르드 홍대파, 오방파 뮤지션, 펑크족, 신발만 쳐다보면서 악기를 연주하는 슈게이징 뮤지션, 인디라는 개념을 개발한 먹물족, 들이대는 힙합족, 첨단 일렉트로닉 하우스 음악을 즐기는 클러버들은 사람과 사람, 사건과 사건 속에서 만나 홍대 앞 역사를 쓰고 있었다.
"그렇게 홍대 주변이라는 공간과 거기서 만난 사람들은 그 때는 치명적이지 않았지. 그러나, 나도 모르게, 아마도, 우리들은 어떤 예감을 했을지도 몰라. 우리들은 우리가 모르는 예감을 자주 하는 편인 거 같아. 홍대 앞에서 너를 만났어."(<홍대 앞 새벽 세시> 22쪽)성기완의 인디문화 리믹스 <홍대 앞 새벽 세시>는 10년 넘게 홍대 앞에서 살아 온 뮤지션이자 시인이며 대중문화 평론가이며 영화 음악감독까지 한(싱글즈, 미스터 소크라테스, 플라이 대디, 라듸오 데이즈 등) 성기완이 기록한 홍대 앞 사람과 사람, 사건과 사건들을 에세이 형식으로 기록한 책이다. 39개의 에세이로 구성돼 있지만, 홍대 앞 인디문화의 생성과 발전 과정을 엿볼 수도 있고, 그 문화의 속살까지도 느껴볼 수 있다.
홍대 앞 인디밴드의 시대유감
그런데 홍대 앞 아방가르드족도 아니고, 오방파도 아니고, 펑크족도 아니고, 클럽 마니아도 아닌 나는, 90년대 중후반에 대학을 다닌 우리들은 왜 홍대 앞 에너지 방사능에 오염되어 살았었나? 우리들은 어떻게 늘 낯설기만 한 홍대 앞 문화로 걸어 들어갔으며, 어딘가 예술적이고, 어쩐지 괴짜 같고, 멋이 있고, 전위적일 것 같은 홍대 앞 식구들은 어떻게 세상으로 걸어 나왔나?
"크라잉넛 <말달리자> 노래의 톤은 절망적이다. 그런데 1990년대는 사실 젊은이들에게 그리 절망적인 시기는 아니었다. 신세대네, X세대네 하는 말이 나왔고 10대들에게 그들 나름의 느낌의 자유와 그것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이 불충분한 상태로나마 인정되고 어른들에게 이해되던 때였다.…그런데도 크라잉넛은 절망적이다. '이러다가 늙는 거'란다. 말하기도 싫은지 자기가 한 말에 대고 '닥쳐'하고 외친다.…곰곰 생각해보면 X세대 이후의 자유 공간은 보다 넓은 굴레에 불과할 뿐이다. 오히려 신세대는 그 굴레에 더욱 철저하게 얽혀있고 더욱 철저한 소비의 노예일 뿐이다. 어쩌면 그들이 얻은 자유란 고작 예쁜 핸드폰을 고를 수 있는 자유일지도 모른다."(<홍대 앞 새벽 세시> 89~90쪽)맞다. 홍대 앞 인디문화가 비주류인 이유는 내가 그들을 잘 몰라서가 아니다. 그것이 비주류인 이유는 늘 주류 문화에 대한 비판자, 도전자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90년대 중반 이후의 학번들, 혹은 386 이후의 젊은이들은 고작 예쁜 핸드폰을 고를 자유만 누리며 살게 됐으면서도 늘 탈출을 꿈꿨던 것이 아닐까? 주류 문화에 익숙한 우리가 홍대 앞 문화로 걸어 들어간 이유는 거기에 문화 혁명가들이 만들어놓은 탈출구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열심히 해드뱅잉 하던 10여 년 전 나와 마주치다7월 1일, 홍대 앞 '클럽打(타)'에서 아주 특별한 공연이 있었다. <홍대 앞 새벽 세시>의 출간을 기념하는 홍대 앞 인디밴드들의 무대가 만들어진 것이다.
얼마 전 <민들레 코러스>라는 첫 음반을 낸 휘루와 역시 최근에 <스카픽션>이라는 앨범을 발매 한, 자메이카 음악 역사에서 레게의 뿌리인 스카에 초점을 맞춘 그룹 킹스턴 루디스카, 그리고 10년의 홍대 앞 인디문화를 만들고 지켜 온 황신혜밴드와 3호선버터플라이가 <홍대 앞 새벽 세시> 출간에 대한 축사와 함께 열정적인 공연을 선보였다.
걸어 다닐 수 있는 통로만 제외하고는 관객으로 꽉 찬 공연에 함께 할 수 있었다는 것 말고도 나에겐 이 무대에 대한 특별한 감동이 있었다. 그 날 '클럽打'에서 10여 년 전 아마도 대학 축제로 기억되는 무대에 초대된 황신혜밴드의 열정적인 공연 앞에서 격렬하게 해드뱅잉을 하고 있던 나와 마주쳤던 것이다.
그 시절 머리를 노랗게 염색하고 록 음악이 흐르는 술집에서 얼마 되지 않는 상식으로 커트 코베인과 너바나, 지미 핸드릭스, 라디오헤드, 메탈리카 등을 이야기하며 일탈을 꿈꾸던 나. 그리고 우리들.
그 때 내 머리카락을 온통 뒤엉키게 하고, 내 머리 위에 물을 뿌려대던 홍대 앞 인디밴드들이 아저씨가 돼서도 여전히 열정적인 모습 그대로 무대 위에 섰다. 나는 잊고 있었지만 홍대 앞 인디는 소멸하지 않고 성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10여 년 전, 나는 아마도 이렇게 떠들었을 것이다. 그들이, 그 인디들이 주류 문화를 전복하고 새로운 주류가 되어야 해!
덧붙이는 글 | 임세환 기자는 얼마 전까지 인터넷신문 프로메테우스 정치부 기자로 일했으며 17대 대선 때는 금민 사회당 대통령 후보 공보비서로 일했습니다. 이 글은 임세환의 블로그(blog.daum.net/altpress)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