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휴가철을 맞은 여행객들이 '추억의 해수욕장'인 포항 송도해수욕장을 찾고 있으나 해수욕장 기능조차 할 수 없어 발길을 되돌리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모래와 울창한 송림을 자랑하는 백사송림(白砂松林)의 절경을 이젠 찾을 수 없습니다. 현재는 모래사장 위로 해안도로 건설공사가 한창입니다. 더욱이 주변 상가와 주택도 정비되지 않아, 슬럼화로 방치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2007년부터는 아예 해수욕장을 폐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1990년대만 해도 피서철이면 으레 수십만 명이 찾는 동해안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서 그 명성이 대단했던 송도해수욕장이 폐허로 방치되어 신음소리를 내는 듯합니다.
해안도로 건설을 반대하던 포항의 포항지역발전협의회 등 그 많던 사회단체들은 지금 어디서 뭘 하고 있습니까? '송도해수욕장을 살리자!'는 말이 단지 구호에 불과한 것이었는지? 분통 터질 상황입니다.
앞으로 해수욕장 기능을 복원할 대책은 없는 걸까요? 포항시는 2007년 2월, 송도백사장 복원을 추진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습니다. 부산 송도처럼 수중보(잠제) 설치 방식으로 백사장 복원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었습니다.
이 복구공법은 해면길이 1700m중 백사장 전면 약 300m 정도에 폭 40m 길이 300m의 잠제 3개소 총길이 900m를 설치하고, 유실된 사장은 폭 100m 정도로 양빈(모래채움)하는 것이었습니다.
포항시는 390억 가량 소요되는 예산의 상당부분은 국비지원을 받고 2010년에 완공하겠다는 구체적 계획까지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복원 청사진은 현재 빨간불이 켜진 상태입니다. 포항시는 사업비의 상당금액을 중앙정부 예산으로 추진하려 했으나 아직까지 그 예산을 확보하질 못했습니다. 2007년 해양수산부의 국가연안정비계획에 예산신청을 했으나 심의에서 탈락했습니다.
따라서 포항시가 12억을 들여 추진된 '송도백사장 복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도 추진도중에 중단됐습니다. 포항시가 구체적인 청사진도 내놓지 못한 채 복원계획은 물거품이 된 상태입니다. 또 사업비를 분담할 걸로 기대했던 포스코에서도 아직 묵묵부답입니다.
송도백사장 모래 유실 책임은 포스코에 있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지난 2003년 3월 한국해양연구원의 '송도백사장 복구 및 보상대책 관련 최종보고서'에도 포스코 책임이 75%라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 용역을 맡긴 '송도백사장 복구 및 보상대책협의회'는 포항시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시민단체 상공회의소 등 민-관-기업을 망라한 대책기구였습니다. 이구택 당시 사장도 7인 위원회 한사람으로 참여했습니다.
2004년 들어 포스코는 송도상가 피해보상금으로 117억원을 지급했습니다. 또 당시 포스코는 상가피해보상금과 더불어 송도백사장 복구비 30억원을 제시하며 일괄타결을 시도했으나 포항시부시장이 위원장인 실무협의회에서 거부된 바 있습니다. 그 정도 금액으로는 일시적인 모래채우기는 가능할 지라도 백사장 복원과는 거리가 멀다는 이유였습니다.
지금까지 단 한차례의 회의 소집도 없는 상태입니다. 그 사이 송도백사장은 더욱 없어지고 인근 상가 및 주택은 슬럼가로 방치됐습니다. 박승호 시장 취임 후 동빈내항 복원과 연계한 송도백사장 복원을 추진했으나 위에서 언급한대로 계획은 있되 사업비가 뒷받침되지 못해, 현재 장벽에 부딪혔습니다.
해수욕장 모래유실 원인은 포항제철소 건립이 1차 것입니다. 원인자 부담으로 복원하는 게 맞는 이치겠지요. 포스코에 당당히 요구하지 못하면서 중앙정부 예산을 쳐다보는 포항시 태도. '영 아니올시다!'란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요?
송도해수욕장 복원에 드는 비용 가운데 일정액을 포스코로부터 우선 확보한 다음에 중앙정부에 예산지원을 요청하는 것이 순리가 아닌가 하는 판단이 듭니다.
송도 연안을 언제까지 이렇게 방치해야 합니까? 민-관-기업이 지혜를 모아, '송도 재생 프로젝트'를 가동해야 한다는 주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영일만뉴스>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