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선시대의 기본적인 지방 행정기구는 도(道)입니다. 태종 13년(1413)에 전국을 8도로 나누었고 도 밑에는 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 등을 두었습니다. 인천도호부 내에는 10개의 면과 그 밑에 다수의 동-리-촌이 있었고, 동-리의 밑에는 매 호를 한 개의 통으로 하는 5가작통제가 시행되었습니다.

 

도호부는 중앙에서 파견된 도호부사 아래 이-호-예-병-형-공방의 6방을 두어 사무를 분담하게 하였고, 이를 담당하는 자는 지방의 향리였습니다. 인천부읍지에 의하면, 도호부의 관할구역은 영조 24년(1748) 당시에는 강화-영종-덕적도 등이 인천에 속했으며 인구는 2,600여 가구에 8천여명이 거주했다고 기록되고 있습니다.

 

 인천도호부청사 안내도
인천도호부청사 안내도 ⓒ 이장연

 

 동헌에서 집무를 보는 도호부사
동헌에서 집무를 보는 도호부사 ⓒ 이장연

 

 인천도호부청사를 찾은 아이들과 엄마
인천도호부청사를 찾은 아이들과 엄마 ⓒ 이장연

 

그리고 지방수령으로 모든 지방행정을 통괄하는 도호부사의 주된 임무는 수령칠사(守令七事)라 하여, 1) 농사와 누에치는 일을 잘 돌볼 것, 2)인구를 늘릴 것, 3) 교육을 진흥시킬 것, 4) 군대에 관한 사무를 바르게 할 것, 5) 부역을 균등히 할 것, 6) 민사의 소송을 바르게 할 것, 7) 간교하고 교활함이 없도록 할 것 등이었습니다.

 

인천이 도호부로 승격된 것은 조선 세조 5년(1459)로 세조의 비인 자성왕후 윤씨의 외향이기 때문입니다. 인천 남구 문학동 문학초등학교에 자리한 인천도호부청사는 건축 시기가 명확하지 않지만, 객사를 보수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지붕 기와에서 '강희 16년'이라는 명문이 나온 것을 볼 때 숙종 3년(1677)에 중수된 것임을 알 수 있을 뿐이라 합니다.

 

 문학초등학교 내 인천도호부청사
문학초등학교 내 인천도호부청사 ⓒ 이장연

 

 임금의 위패를 모신 객사
임금의 위패를 모신 객사 ⓒ 이장연

 

 외직에 근무하는 관원이 궁궐에 나아가 임금을 직접 뵙지 못할 때 멀리 궁궐을 향해 행하는 망궐의식
외직에 근무하는 관원이 궁궐에 나아가 임금을 직접 뵙지 못할 때 멀리 궁궐을 향해 행하는 망궐의식 ⓒ 이장연

 

현재 인천도호부청사는 인천향교 옆에 객사와 동헌-아문-중문-공수-삼문 등을 복원해 놓았습니다. 객사는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건물이고 집무실인 동헌보다 격이 높아 관아건물 중에서 규모가 제일 크고 전망이 가장 좋은 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아문은 관아의 정문으로 2층 누대로 팔작지붕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공수는 객사의 부속건물로 부엌, 곳간, 온돌방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객사를 관리하는 인원과 중앙 사신을 수행한 수행인력들이 유숙하고 필요한 물품들을 보관하던 곳입니다.

 

복원시킨 관아건물 외 도호부청사에는 전통놀이를 체험하거나 옛 관아에서 사용하던 곤장을 맛볼 수도 있습니다. 곤장은 버드나무로 넓적하게 만들어 도둑이나 군률을 어긴 죄인의 볼기를 치는 형구입니다.

 

 공수에 전시된 옛 생활용품들
공수에 전시된 옛 생활용품들 ⓒ 이장연

 

 볼기를 치던 곤장
볼기를 치던 곤장 ⓒ 이장연

 

 관아의 정문인 아문
관아의 정문인 아문 ⓒ 이장연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U포터뉴스와 블로거뉴스에도 송고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인천도호부청사#도호부사#곤장#문화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